훈상이 자주가는곳

▣자유게시판/▶지혜 및 건강

한약재의 종류와 효능

낚시천국 2009. 9. 16. 10:04

한약재의종류와효능


*1.나무껍질류*
계피(桂皮) / 상백피(桑白皮) / 후박(厚朴) / 두충(杜沖) / 오가피(五加皮) /
황백(黃白) / 목단피(牡丹皮) / 지골피(地骨皮) / 백선피(白癬皮) / 진피(秦皮) /
*2.등나무류*
구등(鉤藤) / 석곡(石斛) / 단향(檀香) / 쇄양(鎖陽) / 등심초(燈心草) /
육종용(肉從蓉) / 목통(木通) / 죽(竹)녀 / 소목(蘇木) / 침향(沈香) /
*3.뿌리류*
강황(薑黃) / 패모(貝母) / 현호색(延胡索) / 강활(羌活) / 향부자(香附子) /
옥죽(玉竹) / 고량강(高良薑) / 현삼릉(荊三稜) / 우절(藕節) / 대황(大黃) /
황련(黃連) / 지모(知母) / 모근 / 황정 / 창출(蒼朮) /
반하(半夏) / 산약(山藥) / 천궁(川芎) / 백급(白及) / 생강(生薑) /
천남성(天南星) / 백출(白朮) / 석창포(石菖蒲) / 천마(天麻) / 백합(白合) /
승마(升麻) / 택사(澤瀉) / 아출(莪朮) /
*4.뿌리줄기류*
담죽엽(淡竹葉) / 비파엽(批巴葉) / 애엽(艾葉) / 측백엽(側柏葉) / 상엽(桑葉) /
자소엽(紫蘇葉) /
*5.잎사귀류*
계관화(鷄冠花) / 금은화(金銀花) / 선복화(旋覆花) / 관동화(款冬花) / 밀몽화(密蒙花) /
신이(辛夷) / 괴화(槐花) / 번홍화(番紅花) / 원화(元花) / 국화(菊花) /
하고초(夏枯草) / 정향(丁香) / 홍화(紅花) / 포황(蒲黃) /
*6.꽃잎류*
곽향(藿香) / 형개(荊芥) / 음양곽(淫羊藿) / 마황(麻黃) / 박하(薄荷) /
인진호(茵陳蒿) /
*7.열매류*
노회(蘆檜) / 유향(乳香) / 송향(松香) / 몰식자(沒食子) / 오배자(五倍子) /
신국(新麴) / 몰약(沒藥) / 안식향(安息香) / 아위(阿魏) / 아다(兒茶) /
*8.종자류*
귀판 / 웅담(熊膽) / 석결명(石決明) / 녹용(鹿茸) / 해구신(海拘腎) /
섬수 / 망충 / 호골(虎骨) / 아교(阿膠) / 모려(牡蠣) /
사향(麝香) / 영양각(羚羊角) / 반모(斑毛) / 서각(犀角) / 용연향(龍涎香) /
백강잠(白鱇蠶) / 별갑(鼈甲) / 우황(牛黃) /
*9.전초류*
갈근(葛根) / 천독활(川獨活) / 감수(甘遂) / 감초(甘草) / 천오두(川烏頭) /
고본(藁本) / 고삼(苦蔘) / 파극천(巴戟天) / 괄루근(括樓根) / 시호(柴胡) /
현삼(玄蔘) / 길경(吉梗) / 단삼(丹參) / 홍아대극(紅芽大戟) / 당귀(當歸) /
우슬(牛膝) / 황기(黃耆) / 울금(鬱金) / 원지(遠志) / 황기II(黃耆) /
인삼(人蔘) / 자근(紫根) / 목향(木香) / 자원 / 적작(赤芍) /
백미(白薇) / 전호(前胡) / 지유(地楡) / 백작(白灼) / 지황(地黃) /
진교(秦 ) / 산두근(山豆根) / 방풍(防風) / 천문동(天門冬) / 서양삼(西洋蔘) /
백부(百部) / 초오두[草烏頭] / 속단(續斷) / 백지(白芷) / 하수오(何首烏) /
오약(烏藥) / 삼칠(三七) / 홍삼(紅蔘) / 당삼(糖蔘) / 세신(細辛) /
황금(黃芩) / 맥문동(麥門冬) / 광방이(廣防已) / 용담(龍談) /
*10.수지류,기타*
가자(訶子) / 백질려(白膣黎) / 대복피(大腹皮) / 괄루(括樓) / 복분자(覆盆子) /
대추(大棗) / 괴각(槐角) / 사군자(使君子) / 마두령(馬兜鈴) / 구기자(枸杞子) /
사상자(蛇床子) / 만형자(蔓荊子) / 귤피(橘皮) / 산사자(山飼子) / 맥아(麥芽) /
목과(木瓜) / 산수유(山茱萸) / 오미자(五味子) / 백두구(白豆寇) / 산치자(山梔子) /
오수유(吳茱萸) / 팔각회향(八角茴香) / 석련자(石蓮子 / 용안육(龍眼肉) / 필발(苾撥) /
시제 / 우방자(牛蒡子) / 호초(胡椒) / 여정자(女貞子) / 익지인(益智仁) /
화초(花椒) / 연교(連翹) / 자소자(紫蘇子) / 회향(茴香) / 오매(烏梅) /
창이자(蒼耳子) / 충위자(蟲胃子) / 천련자(川璉子) /
*11.동물류*
가채자(菜子) / 마전자(馬錢子) / 피마자(皮麻子) / 겨자(芥子) / 목별자(木鼈子) /
빈랑자 / 검실 / 백과(白果) / 산조인(酸棗仁) / 견우자(牽牛子) /
백편두(白扁豆) / 송자인(松子仁) / 결명자(決明子) / 보골지(補骨脂) / 아마인(亞麻仁) /
담두시 / 축사(縮砂) / 육두구 / 대풍자(大風子) / 파두(巴豆) /
의이인(薏苡仁) / 도인(桃仁) / 토사자 / 차전자(車前子) / 동과자(冬瓜子) /
행인(杏仁) / 천금자(千金子) / 마자인 / 호로파(胡蘆巴) / 호마자 /
*12.광물류*
노감석(爐甘石) / 주사(朱砂) / 용골(龍骨) / 대자석(代紫石) / 활석(滑石) /
우여량(禹餘糧) / 망초(芒硝) / 석고(石膏) / 적석지(赤石脂) / 명반(明礬) /
*13.은화식물류*
뇌환(雷丸) / 복령I(茯笭)Ⅰ / 복령II(茯笭)Ⅱ / 동충하초(冬蟲夏草) / 저령(猪笭) /
해인초(海人草) /
▶계피(桂皮)
 
▶ 산지: 중국
▶ 선품 방향: 단맛과 매운맛이 함께 강하며, 떫은 맛과 점액성(粘液性)이 좋다.
▶ 용도,성능 : 계피는 성열(性熱), 달고, 매우며 명문(命門)의 상화(相火)를 보(補) 하는 효능이 있다. 계지 는, 성온(性溫), 맵고 달며 발한해기(發汗解肌) 온경통락(溫經通絡), 통양거어(通陽祛瘀)의 효능이 있다. 계심에는 보양활혈(補陽活血) 의 효능이 있다.
▶ 효능 : 계피는 건위(健胃), 구풍(驅風), 교미(矯味), 수렴약(收斂藥)어로서 사지궐냉(四肢厥冷), 복통, 상열하한(上熱下寒), 요슬동통(腰膝疼痛), 소변불리 등의 증세에, 계지는 해열, 진통 약으로서 풍한표증(風寒表症), 복통, 한습비통(寒濕痺痛)에 응용.
▶ 용량: 계피- 1~5g. 계지- 1.5g~10g.
▶ 금기 : 계피는 음허양항자(陰虛陽亢者) 와 임부는 피한다.
계피는 정력이 허하여 열이 있을 때 및 출혈중엔 금지.
▶ 수치 : 계피는 조(粗) 피(皮)를 긁고 절편(切片)으로 하여 이용한다.
▶ 처방예 계지탕, 팔미지황환, 오령산, 계지복령환, 계지인삼탕.

▶상백피(桑白皮)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 색이 희고 살이 두툼하고 유연한 것이 좋다. 황적색의 껍질이 새롭거나 상백피는 그대로 껍질을 벗긴 것이 좋으며 물에 담가서 껍질을 벗긴 것은 약용으로 적당하지 못하다.
▶ 용도,성능: 성한, 맛은 달고 폐화(肺火)를 사하고, 기침을 멎게 하며 폐기(肺氣) 를 깨끗하게 한다. 물을 이롭게 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소염성 이뇨(利尿), 해열, 진해(鎭該) 약(藥)으로서 기관지염, 천해토혈(喘咳吐血), 수종(水腫), 복창(服脹)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폐허무화(肺虛無火), 다뇨(多尿), 풍한해수(風寒咳嗽) 인 사람은 금할.
▶ 수치 생용- 이수소종(利水消腫) 에 이용한다. 밀제- 폐를 촉촉하게 하여 기침을 멎게 한다. 폐가 약한 사람에게 이용된다.
▶ 처방예 사백산, 오피음, 오호탕.

▶후박(厚朴)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껍질이 두껍고 유성(油性)이 풍부하며, 단면은 자홍색으로 광택이 있으며 향기가 농후하고 이것을 씹으면 찌꺼기가 남지 않으며 맛은 맵고 달콤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건위소화, 정장(整腸), 수렴, 거담(祛痰), 이뇨(利尿)약으로서 흉복부의 창만(脹滿), 천해(喘咳) , 복통, 구토설사 등 증세에 이용한다.
▶ 효능: 성온, 맵고 쓰다. 습(濕)을 조절하고 창만(脹滿)을 흩어버리고 기(氣)를 순환시키는 효능이 있다.
▶ 용량 3~8g
▶ 금기: 비위가 약한 사람이나 임부는 금함.
▶ 수치 강제, 염제- 인후(咽喉)의 자극을 감소하여 온중산한(溫中散寒) 효과를 증진시킨다.
▶ 처방예 후박삼물탕, 평위산, 반하후박탕.

▶두충(杜沖)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 껍질이 두껍고 외면은 황갈색, 내면은 흑갈색의 광택이 있고 절단했을 때 강인한 흰실을 끄는 것이 좋다. 사천성의 파중, 달현, 광원에서 산출된 것이 가장 질이 좋으며 천충(川沖) 이라고 부른다.
▶ 용도,성능 성온 :달고 약간 매우며 간신(肝腎)을 보하며 근골(筋骨)을 강화하고 안태(安胎) 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 강정, 진통 :약으로서 신허(腎虛), 요슬(腰膝)의 동통(疼痛), 임부의 요종(腰腫), 족슬연약(足膝軟弱), 태동(胎動)유산(流産) 등에 응용한다.
▶ 용량 6~10g
▶ 금기 :정력이 허하여 열이 있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은 적으며 보통 소금물에 담갔다가 약간 누를 정도로 볶아서 이용한다. 두충탄-자보음신(滋補陰腎), 소금물볶음- 보신작용을 증강시킨다.
▶ 처방예 독활기생탕, 두충음.

▶오가피(五加皮)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껍질이 두껍고 길며 향기가 있고 목심이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 :맛은 맵고, 풍(風)을 제거하며 근골(筋骨)을 강화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 이수(利水), 습기를 제거하고 진통약으로서 류마티즘, 신경통 등의 요슬동통(腰膝疼痛), 각기 피부풍습, 수종(水腫), 음랑습양 등 증상에 응용한다. 또 오가피주의 원료로서의 용도도 많다.
▶ 용량 5~10g
▶ 금기 :정력이 허하고 열이 많은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목심을 제거한다. 그리고 그늘에서 말려 날것으로 사용 또는 술로 씻거나 불에 볶아서 이용한다.
▶ 처방예 오가피환.

▶황백(黃白)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콜크층을 제거한 껍질이 두껍고 파절면 이 선황색이며 매우 쓰고 점액성 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 맛이 쓰고 상화(相火)를 조절하며, 하초(下蕉)의 습열을 깨끗이 지워 주는 효능이 있다.
▶ 효능: 고미건위약(苦味健胃藥), 정장약(整腸藥), 소염성수렴약(消炎性收斂藥)으로서 위장염, 복통, 황달, 설사, 치창, 대하(帶下), 변혈(便血) 등 증세에 이용되며 또 벨베린의 추출 원료로서의 용도도 다양하다.
▶ 용량 5~10g.
▶ 금기 :실화증(實火症) 이 아니며 또 비허설사(脾虛泄瀉) 나 위가 약한 사람은 금할 것.
▶ 수치,생용- 실화(實火)를 사한다. 염수초- 허열을 내리게하고 신화(腎火)를 사(瀉)하고 또 음화(陰火)를 다스린다. 주초- 상(上) 초(焦)의 열을 식히고 또한 활혈(活血)의 효능이 있다. 초 탄- 지혈(止血)에 이용된다. 밀제: 중초(中焦)를 낮게 한다.
▶ 처방예 치자백피탕, 지백팔미환, 백두옹탕, 황련해독탕, 온청음.

▶목단피(牡丹皮)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외면이 보라색으로 절면 과 내면에 흰색의 결정을 붙이고, 새롭고 향기가 강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 쓰고 맵고 혈열(血熱) 을 깨끗이 하며 어혈(瘀血)을 흩어버리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진정, 진통, 구어혈약(驅瘀血藥) 으로서 두통, 복통, 부인과질환, 월경불순, 월경곤란, 정체(停滯) 하는 혈행장해 가 있을 때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비위허한(痺胃虛寒) 설사하는 사람에겐 금할 것.
▶ 수치 생용- 혈열(血熱)을 깨끗이 한다. 초제-어혈(瘀血)을 흩어버린다. 초탄- 지혈에 이용되며, 기침을 잘 멎게 하며 열을 정상화한다.
▶ 처방예 가미소요산, 서각지황탕, 대황모란피탕, 계지복령환, 온경탕.

▶지골피(地骨皮)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비대하여 목심이 없는 황갈색의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 달고, 양혈사화(凉血瀉火), 청폐열(淸肺熱), 제골증(除骨蒸) 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 강장약으로서 결핵의 조열(潮熱), 해수(咳嗽), 토혈(吐血), 번열소갈(煩熱消渴), 음허(陰虛) 의 다한증(多寒蒸)에 응용된다.
▶ 용량 6~10g
▶ 금기 :영분에 열이 없고, 비위허한(痺胃虛寒) 한 자는 금할 것.
▶ 수치 잡질 과 목심을 제거하고 절단하여 생용 한다.
▶ 처방예 지골피산, 사백산.

▶백선피(白癬皮)
 
▶ 산지: 중국.
▶ 선품: 권통형으로 목심이 없고 껍질이 두꺼우며 분백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 맛은 쓰고, 습열(濕熱)을 거두며, 풍습(風習)을 제거하며, 해독(解毒), 이수(利水)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 진통, 이담약으로서 류마티즘, 신경통, 황달, 개선(疥癬) 등에 응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하초허한(下蕉虛寒) 인 사람.
▶ 수치 조피를 제거하고 두께 약 1~2mm 의 절편으로 만들어서 날것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술과 개어서 볶아서 이용한다.
▶ 처방예 백선피산.

▶진피(秦皮)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회피는 회백색으로 반점이 있으며, 대롱 모양을 한 것이 있는 게 좋다.
▶ 용도,성능 :성미 한 맛이 쓰고 청(淸) 열(熱), 조습(燥濕), 수렴제 로서 유행성감기, 관절염, 장염설사, 양목적종동통(兩目赤腫疼痛), 열리 등 증상에 응용한다.
▶ 효능 해열, 강장 약으로서 결핵의 조열(潮熱), 해수(咳嗽), 토혈(吐血), 번열소갈(煩熱消渴), 음허(陰虛) 의 다한증(多寒蒸)에 응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위가 허하여 음식을 적게 먹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절괴 또는 절단하여 날 것으로 사용한다.
▶ 처방예 백두옹탕.

▶구등(鉤藤)
 
▶ 산지 :중국, 일본.
▶ 선품: 쌍 갈고리가 있고 가시가 없으며 색은 촉촉한 홍색을 띠고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이 달고 청열(淸熱) 평간식풍(平肝熄風), 진경(鎭痙) 의 효과가 있다. .세에 이용된다.
▶ 효능: 진정 약으로서 고혈압 환자의 두통, 현기증, 어린이의 경(驚)간(癎)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풍열(風熱)과 실열(實熱) 이 없는 사람에게는 금할 것
▶ 수치: 묵은 가시를 제거하고 1~2시간 찐 다음, 바래고 말려서 생용한다.
▶ 처방예 억간산, 구등탕, 칠물강하탕

▶석곡(石斛)
 
▶ 산지: 중국.
▶ 선품: 줄기가 길고 비만하여 질은 연하다. 색이 선명하고 광택이 있으며 뿌리나 잎등이 섞이지 않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달고 자음(滋陰), 익위(益胃), 생진(生津)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解熱), 건위강장약으로서 타액 분비를 촉구하여 열병시의 입마름, 식욕 부진, 위장장애 등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위와 신에 허열 이 있는 사람은 금할것.
▶ 수치: 2~4cm로 잘라서 날것으로 사용한다. 염수 초- 보신(補腎)과 신화(腎火), 위화(胃火)를 가라앉히는 작용이 있다.
▶ 처방예 석곡산.

▶단향(檀香)
 
▶ 산지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지아, 중국.
▶ 선품 :질이 단단하고 무게가 있고 향기가 농후하다. 이것을 태울 때 연기가 한 줄기로 되는 것이 좋다. 인도산을 “노산단향” 일라 칭하며 품질이 가장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맵고, 이기(理氣), 온중(溫中), 화위(和胃) 지통(止痛) 의 효과가 있다.
▶ 효능 방향건위, 지혈, 진통 약으로서 완복(脘腹)의 동통(疼痛), 구토, 열격(?隔), 설사 등 증세에 이용된다 백단유(白檀油) 는 요도(尿道) 소독제로서 이용되며 또한 귀중한 향료이기도 하다.
▶ 용량 5~10g.
▶ 금기: 음허화왕(陰虛火旺) 한 사람, 또 신염, 혈뇨 및 단백뇨(蛋白尿) 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쪄서 방편 을 만들고 서늘한 곳에서 말려서 생용한다.
▶ 처방예 단삼음.

▶쇄양(鎖陽)
 
▶ 산지: 중국, 내몽고.
▶ 선품:육질경(肉質經)이 비대하여 길며 질은 단단하고 자홍색, 적흑갈색으로 단면에 기름이 촉촉하게 스며 나오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온(性微溫), 맛은 달고 보신(補腎), 장양익정(壯陽益精), 윤조활장(潤燥滑腸)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 강정약으로서 임포텐쯔, 요슬허약(腰膝虛弱), 유정(遺精)에 이용되며 또 사하약(瀉下藥) 으로서 허 증의 변비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대변(大便)당설 및 원기부족 현상인 사람에겐 금할 것.
▶ 수치: 두께 약3㎜로 자르고 생용 한다.
▶ 처방예 호잠환.

▶등심초(燈心草)
 
▶ 산지: 중국, 일본.
▶ 선품: 색이 희고 경수(硬水) 가 길며 가볍고 탄력성이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심화(心火)를 내리고 폐열(肺熱)을 가라앉히며 소장(小腸)을 이롭게 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이뇨(利尿)해열(解熱), 청량(淸凉), 진정약으로서 임질, 소변불리(小便不利), 수종(水腫), 번민(煩悶)으로 불면을 호소하는 데 이용된다.
▶ 용량 1.5~3g.
▶ 금기: 허한 증세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청열이뇨(淸熱利尿), 주반제(朱拌製)- 정신안정제로서 이용된다, 청열해독력(淸熱解毒力) 이 강하고 단후비뉵(段後脾?)을 멎게 햐며 혈열(血熱)을 식히고 후비(喉痺) 을 멎게 한다.
▶ 처방예 가미해독탕, 팔정산.

▶육종용(肉從蓉)
 
▶ 산지: 중국
▶ 선품 :담종용- 육질경이 크고 살이 두터우며 질이 유연하고 유성이 많은 것이 좋다. 함종용- 편원형으로 색이 검고 질이 연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달고 시고 짜며 신(腎) 을 보하며 정혈(精血)을 이롭게 하여 장양활장(壯陽滑腸) 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 강정약으로서 임포텐쯔, 요슬(腰膝)의 냉통(冷痛), 유뇨(遺尿), 혈붕(血崩), 변비 등 증세에 이용한다. 또 지혈약(止血藥)으로서 방광출혈, 신장출혈에도 이용된다.
▶ 용량 7~10g.
▶ 금기 :대변당설(大便唐泄) 신중(腎中)에 열이 있어 원기부족현상 인 사람은 쓰지 않는다.
▶ 수치: 제종용- 보윤(補潤)작용을 증강한다.
▶ 처방예 환소단.

▶목통(木通)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내피는 황색이며 절단면이 선 황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이 쓰고 심화(心火)를 내리며 폐열(肺熱)을 가라앉히고, 소변을 순조롭게 하며 혈맥(血脈)을 잘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소염성(消炎性) 이뇨(利尿), 통유(通乳) 진통제로서 소변불리(小便不利), 월경불통, 유즙부족(乳汁不足), 신체(身體)동통(疼痛)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습열(濕熱)이 없는 사람과 임부는 금할 것.
▶ 수치: 껍질과 마디를 제거하고 생용한다.
▶ 처방예 팔정산, 도적산, 용담사간탕, 당귀사역탕.

▶죽(竹)녀
 
▶ 산지 :중국.
▶ 선품 :황백색으로 유연하며 절단하기 힘드는 것이 좋다. 가공 방법은 산지에 따라 다르며, 세죽녀, 조죽녀 등이 있는데 세죽녀가 품질이 좋은 것으로 되어 있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단맛이 나며 청열(淸熱), 양혈(凉血), 제번지구(除煩止嘔), 안태(安胎)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 양혈, 진구(鎭嘔), 진해, 제번약(除煩藥)으로서 위열구역(胃熱嘔逆), 상초번열(上焦煩熱), 태동(胎動)불안(不安), 토혈(吐血), 붕루(崩漏) 어린이의 경간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비위허한(痺胃虛寒) 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청열화담(淸熱化痰), 초죽녀- 죽녀의 한성을 감소한다. 강제죽녀= 한성을 감소하고, 지구작용을 증강한다.
▶ 처방예 귤피죽녀탕, 온담탕, 죽피대환, 청폐탕, 죽녀온담탕.

▶소목(蘇木)
 
▶ 산지: 인도, 말레이지아 반도, 인도네시아. 중국.
▶ 선품: 심재가 거칠고 크며 견실하다. 홍황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 맛이 달고 짜며, 행혈통락(行血通絡), 거어지통(祛瘀止痛), 산풍화혈(散風和血) 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구어혈(驅瘀血), 항염증(抗炎症), 통경(通經) 진통약으로서 산후어조(産後瘀阻) 경폐(經閉), 복통, 월경불순, 옹종(癰腫), 타박상 등에 이용된다. 현재는 약용보다 염료 로서의 용도가 많다.
▶ 용량 3~5g.
▶ 금기 혈허 로 어체(瘀滯)가 없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포편으로서 생용한다.
▶ 처방예 소목탕, 파리산, 통도산.

▶침향(沈香)
 
▶ 산지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버어마, 인도
▶ 선품 :흑우각색으로 질이 단단하고 기름이 자르르 흐르는듯 물에 잘 가라앉으며 태우면 기름이 스며나온다. 방향이 있으며 지속성이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性微) 온(溫), 맛이 맵고 한(寒)을 흩어버리며, 기(氣)의 순환을 돕고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진정, 진통, 해독, 방향성건위(芳香性健胃), 구풍약(嘔風藥)으로서 구토, 심복동통(心服疼痛), 요슬허냉(腰膝虛冷), 기역천식(氣逆喘息), 심장쇠약 등의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1.5~3g.
▶ 금기: 음허화왕, 기허하함 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포편으로 만들어서 생용한다. 사용할 때는 부수거나, 또는 가루로 만들어서 이용한다.
▶ 처방예 침향강기환, 침향화담환, 침향천마탕.

▶강황(薑黃)
 
▶ 산지 :원산지는 열대 아시아, 현재 인도네시아, 인도, 중국 남부, 베트남, 대만, 멕시코, 일본
▶ 선품 :외면은 황색으로 윤절(輪節)이 있으며 질이 단단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쓰고 매우며 파혈(破穴), 행기(行氣), 통경(通經), 지통(止痛) 효능이 있다.
▶ 효능 :이(利)담, 방향성건위제(芳香性健胃劑)로서 월경불통, 흉복통, 황달, 사지의 풍한습비(風寒濕痺), 토혈, 혈뇨(血尿)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3∼5g
▶ 금기 :혈허(血虛)로 기체(氣滯)한 이는 쓰지 않는다.
▶ 수치 :혈어(血瘀): 절편을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 처방예 강황산(薑黃散).

▶패모(貝母)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질이 충실하며 과립(顆立)이 평균적이며 정단(頂端)이 개열(開裂)하지 않고 색은 순백(純白)하며 분성(粉性)이 풍부한 것이 좋다 (川貝母). 인편(鱗片)이 비후(肥厚)하며 표면 및 단면은 백색이며 분성(粉性) 이 풍부한 것이 좋다 (浙貝母).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맛은 쓰다. 지해화담(止咳化痰), 청열산결(淸熱散結) 효능이 있다.
▶ 효능 :진해(鎭咳), 거담, 배농제(排膿劑)로서 번열(煩熱), 후비(喉痺), 현기증, 해수, 구갈, 일체의 종독(腫毒)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비위허한(脾胃虛寒)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절편을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강즙초(薑汁炒)- 위한(胃寒)인 사람에게 이용된다.
▶ 처방예 당귀패모고삼환료(當歸貝母苦蔘丸料),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 길경백산(桔梗白散), 패모탕(貝母湯).

▶현호색(延胡索)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괴경(塊莖)이 크고 충실하며 황색이고 단면도 황금색으로 광택이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고 쓰다. 활혈(活血), 산어(散瘀), 이기(理氣), 지통(止痛) 효능이 있다.
▶ 효능 :정혈(淨血), 진통, 진경제(鎭痙劑)로서 흉복제통(胸腹諸痛), 월경불순, 산후복통, 두통, 월경통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임부와 혈허자(血虛者)는 금할 것.
▶ 수치 생용- 파혈파기(破血破氣).
단초(單炒)- 조혈(調血).
주초(酒炒)-활혈거어(活血祛瘀)
초초(醋炒)- 평간(平肝), 지혈, 지통.
초자(醋煮)- 양간(養肝).
주초초(酒醋炒)- 지통(止痛).
▶ 처방예 삼신환(三神丸), 안중산(安中散), 절충음(折衝飮).

▶강활(羌活)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은 비후(肥厚)하며 솟아오른 고리무늬가 있으며 단면은 국화무늬를 나타내며 기미가 청향(淸香)으로 짙은 것이 좋다. 잠강(蠶羌)은 품질이 가장 좋으며 죽절강(竹節羌)은 이것에 버금간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고 쓰다. 산표한(散表寒), 거풍습(祛風濕), 관절을 이롭게 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진통, 진경(鎭痙), 신진대사부활제활제(新陳代謝賦活劑)로서 두통, 관절통, 류마티즈, 신체동통, 풍한습비(風寒濕痺), 항강근급(項强筋急), 옹저(癰疽)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10g
▶ 금기 혈허(血虛)로 풍한습사(風寒濕邪)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절편을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 처방예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천궁다조산(川芎茶調 散), 당귀념통탕(當歸拈痛湯), 진환강활탕(秦還姜活湯)

▶향부자(香附子)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이 비후(肥厚)하며 회갈색으로 질이 단단하고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척강성산은 남향부' 산동성산을 ' 동향부'라 부르며 품질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맛은 맵고 약간 쓰다. 이기(理氣), 해울(解鬱), 조경(調經), 지통 효능이 있다.
▶ 효능: 성평(性平), 맛은 맵고 약간 쓰다. 이기(理氣), 해울(解鬱), 조경(調經), 지통 효능이 있다.
▶ 용량 5∼10g.
▶ 금기: 음허혈열(陰虛血熱)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생용- 해울(解鬱)
②초자- 이기혈(理氣血), 지혈(止血).
③초초(醋炒)- 행기소적(行氣消積).
④주초(酒炒)- 행경락(行經絡).
⑤염수초- 윤조(潤燥), 조기(調氣), 보신기(補腎氣).
⑥강즙초(薑汁炒)- 화담음(化痰飮).
⑦초탄(炒炭)- 지혈(止血).
▶ 처방예 향소산(香蘇散),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 행기향소산(行氣香蘇散), 향궁탕(香芎湯).

▶옥죽(玉竹)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이 비후하고 길며 희고 광택이 있으며 촉촉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맛은 달다. 양음윤조(養陰潤燥), 생잔자걸(生津止渴)등 효능이 있다.
▶ 효능 자양, 강장제로서 신체허약자, 다한(多汗), 다뇨, 유정(遺精), 조열구갈(燥熱口渴), 허로발열(虛勞發熱)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양쇠음성(陽衰陰盛), 비허흉민(脾虛胸悶)과 담습어체자(痰濕瘀滯者)는 금할 것.
▶ 수치: 생용- 청열양음(淸熱養陰)작용이 좋고 풍열(風熱)을 발산시키는 데 이용한다. 제옥죽(製玉竹), 증숙용(蒸熟用), 보중익기(補中益氣), 자음윤조(滋陰潤燥)에 이용한다.
초옥죽(炒玉竹): 건위, 화위(和胃)효능이 있다.
▶ 처방예 옥죽음(玉竹飮).

▶고량강(高良薑)
 
▶ 산지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이 비대하고, 질이 충실하며 적갈색으로 맛은 매운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다. 온중산한(溫中散寒), 지통소식(止痛消食) 효능이 있다.
▶ 효능 방향성건위(芳香性健胃), 진통, 구풍제(區風劑)로서 완복냉통(脘腹冷痛), 비위중한(脾胃中寒), 구토, 식체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음허(陰虛)하고 열이 있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 처방예 고량강탕(高良薑湯), 안중산(安中散)

▶현삼릉(荊三稜)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질이 견실하며 외피를 완전히 긁어내고 외면은 황백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맛은 쓰고 달다. 파혈(破血), 행기(行氣), 소적(消積), 지통 효능이 있다.
▶ 효능: 통경(通經), 구어혈(驅瘀血), 진통제로서 징(徵)가적취(積聚), 혈고경폐(血枯經閉).
▶ 용량
▶ 금기: 임부는 금할 것.
▶ 수치 ①절편을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②초초(醋炒)- 조성(燥性)을 감소시키고 수렴성(收斂性)을 증가하고 소적지통(消積止痛) 작용을 증가시킨다.
③부초(莩炒)- 조성(燥性)을 제거하고 이습(利濕)에도 이용된다.
④주부초(酒莩炒)- 행기파혈(行氣破血) 효능을 돕는다.
▶ 처방예 삼릉환(三稜丸).

▶우절(藕節)
 
▶ 산지 : 중국.
▶ 선품 :마디 부분이 흑갈색, 양단부는 흰색으로 수염뿌리가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맛은 달고 떫다, 지혈, 산어(散瘀)효과가 있다.
▶ 효능 지혈, 화어제(化瘀劑)로서 해혈, 토혈, 육혈, 혈변, 혈리(血痢), 혈붕(血崩)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 수치 생용- 청혈열(淸血熱), 지갈(止渴), 화어(化瘀).
초탄- 지혈.
▶ 처방예 백급(白及)비파환(把丸).

▶대황(大黃)
 
▶ 산지 :북대황(北大黃): 한국, 남대황(南大黃): 중국
▶ 선품: 외면은 홍갈색으로 비단무늬 및 별점(星點)이 뚜렷하며 질이 결실하고 유성(油性)이 있으며, 향기가 산뜻하고 쓴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쓰고 열독(熱毒)을 제거하며 적체(積滯)를 뚫고 어혈(瘀血)을 내리는 효능이 있다.
▶ 효능: 건위, 사하(瀉下), 장수렴제(腸收斂劑)로서 숙식정체(宿食停滯), 설사, 어혈(瘀血), 경페(經閉), 수종(水腫), 습열(濕熱), 변비, 옹종(癰腫)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10g
▶ 금기: 비위허한(脾胃虛寒), 실열(實熱)과 적체(積滯)가 없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대황(生大黃)- 사하력(瀉下力)이 강하다.
주대황(酒大黃)- 활혈행어(活血行瘀) 효능을 증가시킨다.
제대황(製大黃)- 작용완화(作用緩和), 청습열(淸濕熱).
초탄(炒炭)- 행혈지혈(行血止血)
▶ 처방예 대황부자탕(大黃附子湯), 대승기탕(大承氣湯), 삼황사심탕(三黃瀉心湯), 도핵승기탕(桃核承氣湯), 대황감초탕(大黃甘草湯), 소승기탕(小承氣湯),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황련(黃連)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은 비후(肥厚)하며 연주형으로 질이 충실하며 단면은 적황색으로 잔경과 수염뿌리가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맛은 쓰다. 사화(瀉火), 조습(燥濕), 해독, 살충 효능이 있다.
▶ 효능 소염성고미건위(消炎性苦味健胃), 진정, 지리제(止痢劑)로서 열사복통(熱瀉腹痛), 열병, 심번(心煩) 토혈, 소갈, 목질적통(目疾赤痛), 구설생창(口舌生瘡), 옹종(擁腫), 소화불량, 급성장염, 회충병, 화상, 습진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1∼3g.
▶ 금기 음허번열(陰虛煩熱), 비허설사(脾虛泄瀉), 산후(産後)에 혈허번열(血虛煩熱)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생용- 청열사화(淸熱瀉火).
②초제(炒製)- 한성(寒性)을 제거시킨다.
③강즙반초(薑汁拌炒)- 화담(化痰), 온중(溫中), 지구(止嘔)에 이용된다.
④주초(酒炒)- 상초(上焦)의 화(火)를 제거한다.
⑤오수유초(吳茱萸炒)- 간담(肝痰)의 실화(實火)를 제거한다.
⑥염수초- 대장, 방광의 적열(積熱)을 제거한다.
⑦초탄(草炭)- 지혈(止血).
▶ 처방예 황련아교탕(黃連阿膠湯), 삼황사심탕(三黃瀉心湯),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좌금환(左金丸), 황련탕(黃連湯), 황련환(黃連丸).

▶지모(知母)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이 비대하고 질은 단단하며 표면은 금황색인 것이 좋다. 하북산 좋고 '서릉지모(西陵知母)'라고 부르고 있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쓰다. 자음강화(滋陰降火), 제번지갈(除煩止渴), 윤조활장(潤燥滑腸)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 진정, 이뇨, 진해(鎭咳), 지갈제(止渴劑)로서 번열소갈(煩熱消渴), 대변조결(大便燥結), 골증노열(骨蒸勞熱), 폐열해수(肺熱咳嗽), 소변불리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비위허약(脾胃虛弱), 소화불량, 대변당설(大便糖泄)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生用)- 사화력(瀉火力)이 강하다.
초제(炒製)- 한성(寒性)을 완화하고 상행약(上行藥)으로 이용된다.
염수초(水炒)- 신(腎)에 들어가사 윤조자음(潤燥滋陰)에 이용된다.
▶ 처방예 대보음환(大補陰丸),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 백호가인삼탕(白虎加人蔘湯), 백합지모탕(百合知母湯), 백호탕(白虎湯), 지백팔미환(知柏八味丸).

▶모근

▶황정

▶창출(蒼朮)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이 비대하고 질은 견실하며 유실점(油實點)이 많으며 절단면에 백상(百霜)이 나타나는 것이 좋다. 중국 강소성의 모산(茅山)에서 나는 것은 질량이 함께 우수하므로 '모출(茅朮)'이라고 부른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쓰고 매우며 건비(健脾), 조습(燥濕), 발한(發汗), 해울(解鬱)효능이 있다.
▶ 효능 :방향성건위(芳香性健胃), 발한제(發汗劑)로서 식욕부진, 설사창만(泄瀉脹滿), 풍한습비(風寒濕脾), 구토, 담음(痰飮), 수종(水腫), 시기(時氣)감기, 야맹증등에 이용한다.
▶ 용량 3∼10g.
▶ 금기: 음허유열(陰虛有熱), 조결다한(燥結多汗)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창출- 미감수침(米甘水浸)후 절편 하여 햇볕에 바래고 말린 것으로 약성이 신조(辛燥)하며, 두풍담습(頭風痰濕)의 발산을 활발하게 한다.
부피초( 皮炒)- 신조(辛燥)의 약성을 감소하고 건비이습(健脾利濕)에 이용한다.
토초(土炒)- 보비조습(補脾燥濕), 토사를 멎게 하며 담수(淡水)를 제거하는데 이용한다.
초창출(焦蒼朮)- 온비(溫脾), 거습(祛濕), 지사(止瀉)에 이용한다.
초탄(炒炭)- 그 조성(燥性)을 완화하고 조한(燥寒) 증세인 사람에게 알맞다.
제창출(製蒼朮)- 미감수(米 水)를 침투시킨 후 다시 쪄서 검게 변한 것으로 그 신조(辛燥)의 약성을 감소시킨다.
▶ 처방예 평위산(平胃散), 당귀염통탕(當歸拈痛湯), 이출탕(二朮湯), 백호가창출탕(白虎加蒼朮湯).

▶반하(半夏)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괴경(塊莖)이 크며 희고 질은 견실하며 분성이 풍부한 것이 좋다. 운남소통산은 알이 둥글고 질이 단단하며 색이 희므로 '진주반하(珍珠半夏)'라고 부르며 질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고 유독하여, 조습화담(燥濕化痰), 강역지구(降逆止嘔), 소비산결(消 散結), 지해(止咳)효능이 있다.
▶ 효능 진구(鎭嘔), 진정, 소염지해제(消炎止咳劑)로서 담습수음(痰濕水飮), 흉격창만(胸膈脹滿), 구토, 해천(咳喘), 두통불면, 임신구토, 입덧등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일체혈증(一切血症), 음허진상자(陰虛津傷者), 임부는 금할 것,
▶ 수치 분말로 만들어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외용(外用), 청반하(淸半夏), 강반하(薑半夏), 법반하(法半夏), 선로반하(仙露半夏), 반하국(半夏麴); 반하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함이며 조습화담(燥濕化痰), 지구(止嘔)등에 이용된다.
▶ 처방예 이진탕(二陣湯), 건강인삼반하환(乾薑人蔘半夏丸),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소반하가복령탕(小半夏加茯湯), 대반하탕(大半夏湯), 반하자심탕(半夏瀉心湯), 연년반하탕(延年半夏湯).

▶산약(山藥)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질이 충실하고 분성(粉性)이 풍부하며 색은 흰 것이 좋다. 중국산은 산량(産量)이 좋으므로 회산약(淮山藥) 또는 회산약(懷山藥) 이라고 부른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맛은 달다. 건비위(健脾胃), 보폐신(補肺腎), 익정(益精) 효능이 있다.
▶ 효능: 자양(滋養)강장, 거담(祛痰), 지사제(止瀉劑)로서 설사구리, 소갈(消渴), 허로해수(虛勞咳嗽), 유정(遺精), 대하(帶下), 소변빈수(小便頻數), 도한(盜汗)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10∼15g.
▶ 금기: 습열실사(濕熱實邪)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자음약(滋陰藥)으로 이용된다.
숙용(熟用)- 보익(補益), 건비위(健脾胃).
초제(炒製), 부제( 製), 토초(土炒)- 화비위(和脾胃)작용을 돕는다.
강즙초(薑汁炒)- 이비(理脾).
▶ 처방예 팔미지황환(八味地黃丸), 지백팔미환(知柏八味丸).

▶천궁(川芎)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이 비대하고 질이 충실하며, 단면은 황색으로 향기는 짙은 것이 좋다, 평(平)구상(上)에서 재배한 '구천궁'이 가장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다. 구풍지통(驅風止痛), 이기활혈(理氣活血), 배농효능이 있다.
▶ 효능 진통, 진정, 방향성통경제(芳香性通經劑)로서 월경불순, 두통현운(頭痛眩暈), 흉협창통(胸脇脹痛), 반신불수, 옹저(癰疽)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음허화왕(陰虛火旺), 상성하허(上盛下虛) 및 기약자(氣弱者)는 금할 것.
▶ 수치 주초(酒炒)- 활활통경(活血通經) 작용을 증강시킨다.
▶ 처방예 사물탕(四物湯), 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 생화탕(生化湯), 궁귀조혈음(芎歸調血飮), 궁귀교애탕(芎歸膠艾湯), 옹종산(擁腫散).

▶백급(白及)
 
▶ 산지 :중국
▶ 선품 :구경(球莖)이 비후(肥厚)하고 색은 희며 반투명으로 충실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맛은 쓰다. 보폐(補肺), 생기(生肌), 화담(火痰), 지혈(止血), 소종(消腫) 효능이 있다.
▶ 효능 지혈, 배농(排膿), 점활(粘滑), 완화제(緩和劑)로서 토혈, 육혈(毓血), 옹종(擁腫), 화상 등에 외용한다.
▶ 용량 3∼5g
▶ 금기 :외감해혈(外感咳血), 폐위에 실열(實熱)이 있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쪄서 잘라 이용한다.
▶ 처방예 백급비파환(白及批把丸).

▶생강(生薑)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색은 희고 분질이 풍부하며 맛은 매운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온(性微溫), 맛은 맵다. 발표산한(發表散寒), 온중지구(溫中止嘔), 소담행수(消痰行水), 해독효능이 있다.
▶ 효능 방향성건위, 교미(矯味), 식욕증진제로서 외감표증(外感表症), 두통, 코막힘, 창만구토, 담해역(痰咳逆)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10g.
▶ 금기 음허내열(陰虛內熱)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강즙- 화담지구(化痰止嘔)효능이 있으며 구토, 해수에 이용된다,
생강껍질- 이뇨소종(利尿消腫).
생용- 발산(發散), 숙용- 화중(和中).
건생강- 거한온중(祛寒溫中). 포강( 薑)- 온중(溫中), 지혈, 지통.
외강(外薑)- 화중, 지구, 지사. 초탄(炒炭)- 지혈,
▶ 처방예 생강반하탕(生薑半夏湯), 소반하가복령탕(小半夏加茯岺湯), 귤피탕(橘皮湯), 대건중탕(大建中湯), 영강출감탕(岺薑朮甘湯), 통맥사역탕(通脈四逆湯),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

▶천남성(天南星)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괴경(塊莖)이 크고 색은 희며 분성이 풍부한 것이 좋다. 박남성(南星)이 품질이 좋은 것으로 되어 있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쓰고 맵고 유독하다. 담남성(南星)은 성평(性平), 맛은 쓰고 맵다, 조습(燥濕), 거풍(祛風), 화담(化痰), 산결소종(散結消腫) 효능이 있다.
▶ 효능 진경(鎭莖), 거담, 제습제(除濕劑)로서 중풍, 반신불수, 구금강직(口 强直), 구안괘사(口眼 斜), 어린이의 경간(驚癎)의 경련, 담음(痰飮)등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음허조담(陰虛燥痰)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소종진통(消腫鎭痛)작용이 있으며 옹종(擁腫), 타박상에 외용(外用) 한다. 제남성(製南星)- 그 신조(辛燥)의 독성을 감소시키고 풍질(風疾), 결견(結堅)을 낫게 한다.
담남성(南星)- 그 조열성(燥熱性)을 감소시키고 열병경(熱病驚)감, 담궐(痰厥), 풍담(風痰), 현기증(眩氣症)등 증세에 이용된다.
▶ 처방예 옥진산(玉眞散), 삼생음(三生飮), 이출탕(二朮湯), 청습화담탕(淸濕化痰湯).

▶백출(白朮)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이 크고 두터우며 표면은 회황색, 단면은 황백색이며 모양은 '여의두(如意頭)'를 닮았고 질은 견실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능: 성미온(性微溫), 맛은 달고 쓰며, 보비건위(補脾健胃), 화중(和中), 조습화담(燥濕化痰), 이수지한(利水止汗), 안태(安胎)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건위, 이뇨제로서 비허창만(脾虛脹滿), 설사, 수음(水飮), 담음(痰飮), 자한(自汗), 부종(浮腫), 태기(胎氣), 소변불리, 불안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음허조갈(陰虛燥渴), 기체창민(氣滯脹悶)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조습(燥濕), 이수(利水) 작용이 좋다.
초초(炒焦)- 그 조성(燥性)을 제거하고 건비(健脾)의 힘을 증강시킨다.
토초(土炒)- 건비(健脾), 지사(止瀉)작용을 증강시킨다.
제백출(製白朮)- 보비익기(補脾益氣).
부피초( 皮炒)- 창만(脹滿)을 제거 보비(補脾)작용을 증가시킨다.
초탄(炒炭)- 적백리(赤白痢)를 낫게 한다.
▶ 처방예 지출탕(枳朮湯), 당귀산(當歸散), 사군자탕(四君子湯),오령산(五岺散),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위풍탕(胃風湯) 이출탕(二朮湯).

▶석창포(石菖蒲)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이 길고, 단면은 백색에 가까우며 섬유성이 적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온(性微溫), 맛은 맵고, 개규(開竅), 활담(豁痰), 이기(理氣), 활혈(活血), 산풍(散風), 거습(祛濕) 효능이 있다.
▶ 효능 진통, 진정, 건위, 통관제(通關劑)로서 전간(癲癎=간질=지랄병), 담궐(痰厥), 열병신혼(熱病神昏), 건망(健忘), 심흉번민(心胸煩悶), 위통, 복통, 풍한습비(風寒濕痺), 옹저(癰疽), 종독(腫毒)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3∼6g.
▶ 금기 음허양충(陰虛陽充), 해수(咳嗽), 토혈(吐血), 정활(精滑)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선석창포(鮮石菖蒲), 담열신혼(痰熱神昏)에 이용된다.
강즙초(薑汁炒)- 개흉지동(開胸止疼), 온위개규(溫胃開竅)에 이용된다.
밀부초(蜜 炒)- 개규건위, 양심(養心)에 이용된다.
주반(朱拌)- 안신(安神)작용을 증강시킨다.
▶ 처방예 정지환(定志丸),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천마(天麻)
 
▶ 산지 :한국
▶ 선품 :황백색으로 반투명, 비대하고 견실한 것이 좋다. 청천마(川天麻)는 절편이 명량(明亮)한 것을 상품으로 친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다. 거풍(祛風), 진경(鎭痙)효능이 있다.
▶ 효능: 진정(鎭靜), 진경제(鎭痙劑)로서 두운목현(頭暈目眩), 중풍경간(中風驚癎), 언어불수(言語不遂), 풍한습비(風寒濕痺), 풍담(風痰)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음허(陰虛)한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절편을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외천마( 天麻)- 간경풍허(肝經風虛)를 낫게 한다.
▶ 처방예: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침향천마탕(沈香天麻湯).

▶백합(白合)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인편(鱗片)은 작고 두꺼우며, 황백색으로 질이 무겁고 맛은 쓴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시다. 윤폐지해(潤肺止咳), 영심안신(寧心安神), 청열이뇨(淸熱利尿) 효능이 있다.
▶ 효능 :소염(消炎), 진해, 이뇨, 진정제로서 노수토혈(勞嗽吐血), 허번경계(虛煩驚悸), 부종(浮腫), 비만, 폐위(肺胃)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풍한담수(風寒痰嗽)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쪄서 말리고 날것으로 이용한다.
밀자(密炙)- 윤폐(潤肺)작용을 증가시킨다.
▶ 처방예 백합지모탕(百合知母湯),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 백화고(百花膏).

▶승마(升麻)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북승마(北升麻): 근경이 비대하고 외피는 흑갈색으로 세근(細根)이 없으며 단면은 미록색(微綠色)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맛은 달고 맵고 약간 쓰다. 산풍해독(散風解毒), 승양(升陽), 투반진(透斑疹)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해혈, 해독, 항염증제로서 시기역려(時氣疫勵), 양명두통(陽明頭痛), 반진(斑疹), 구설탈(久泄脫)홍, 여자붕대(女子崩帶), 창종(瘡腫)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상성하허(上盛下虛), 음허화왕(陰虛火旺)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투진(透疹), 청열해독(淸熱解毒), 발산풍열(發散風熱)에 이용된다.
밀자(蜜炙)- 양기승거(陽氣升擧)에 이용되며 음허하함(陰虛下陷)을 낫게 한다.
초탄(炒炭)- 약성을 완화시킨다.
초제(炒製), 주제(酒製)- 승제(升提)를 돕는다.
▶ 처방예 승마갈근탕(升摩葛根湯),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택사(澤瀉)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괴경(塊莖)이 크며 질이 단단하고 황백색으로 분성이 풍부한 것이 좋다. 건택사(建澤瀉)의 품질이 좋은 것으로 되어 있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짜다. 이수(利水), 삼습(渗濕), 설열(泄熱) 효능이 있다.
▶ 효능 이뇨, 소종제(消腫劑)로서 소변불리, 담음(痰飮), 수종창만(水腫脹滿), 사리(瀉痢), 임탁(淋濁), 각기요혈(尿血)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6∼12g
▶ 금기 간, 신허(腎虛)하여 습열(濕熱)이 없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건비(建脾), 이소변(利小便).
염초- 신(腎)에 들어가서 이수(利水) 작용을 증강시킨다.
염주초- 보제(補劑)로서 이용된다.
▶ 처방예 택사탕(澤瀉湯), 보기건중탕(補氣建中湯), 오령산(五岺散), 복령택사탕(茯笭澤瀉湯), 저령탕.

▶아출(莪朮)
 
▶ 산지: 중국.
▶ 선품 :근경(根莖)은 크고 질은 견실하며 단면은 회갈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쓰고 맵다. 행기(行氣), 파혈(破血), 소적(消積), 지통(止痛) 효능이 있다.
▶ 효능 방향성건위(芳香性健胃), 구풍(驅風), 진통, 통경제(通經劑)로서 심복제통.
▶ 용량 5∼10g.
▶ 금기 기혈양허(氣血兩虛), 비위허약(脾胃虛弱)하고 더구나 적체(積滯)가 없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파혈거어(破血祛瘀), 소적지통(消積止痛).
초자(醋炙)- 화간해독(和肝解毒), 지통(止痛)작용이 있으며 행혈(行血), 산어(散瘀)작용을 증가시킨다.
자숙용(煮熟用)- 혈분(血分)에 들어간다.
외제(外製)- 기분(氣分)에 파고 든다.
▶ 처방예 아출산(莪朮散).

▶담죽엽(淡竹葉)
 
▶ 산지 :중국.
▶ 선품: 잎이 크고 청록색이며 작은 가시가 있으며 화수(花穗)가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달다. 소변을 정상화시키고 심화(心火)를 가라앉히고 번열(煩熱)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청량해열, 이뇨제로서 열병구갈(熱病 葛), 구설생창(口舌生瘡), 소변단적(小便短赤), 아간종통(牙 腫痛), 구강염(口腔炎), 임탁(淋濁), 심번(心煩)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6∼12g.
▶ 금기 :임부는 금할 것.
▶ 수치 세정(洗淨),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2∼3㎝의 길이로 잘라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 처방예 도적산(導赤散),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

▶비파엽(批巴葉)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잎은 크고 회록색이며 찢어졌거나 부서지지 않은 것이 좋다. 광동산은 광파엽(廣杷葉) 이라고 하며 품질이 가장 좋다. 조주산은 소파엽(蘇巴葉) 이라 하며 산출량 최대.
▶ 용도,성능 성평(性平), 맛은 쓰다. 청폐화위(淸肺和胃), 강기화담(降基化痰)효능이 있다.
▶ 효능 진해(鎭咳), 거담, 이뇨, 건위, 진구제(鎭嘔劑)로서 구해(久咳), 더위먹은데 부종(浮腫), 구갈, 해수천식, 만성기관지염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허번구토(虛煩嘔吐) 및 한수(寒嗽)인 사람은 삼가서 사용할 것.
▶ 수치 ①모용(毛茸)을 제거하고 횡절(橫切)하여 날것으로 이용한다.
②밀자- 백급비파엽(白及枇杷葉); 윤폐 작용이 있다.
③자용(炙用)-지해(止咳); 거담작용을 증가 시킨다.
④ 강즙자(薑汁炙)- 위장병을 고친다.
▶ 처방예 백급비파환(白及枇杷丸).

▶애엽(艾葉)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하면(下面)이 회백색, 융털이 많으며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온(性微溫), 맛은 쓰다. 이기혈(理氣血), 축한습(逐寒濕), 조경(調經), 안태(安胎), 지혈(止血) 효능이 있다.
▶ 효능 지혈, 진통제로서 심복냉통(心腹冷痛), 구리(久痢), 하혈, 월경불순, 붕루(崩漏), 대하(帶下), 태동불안(胎動不安), 개선, 자궁출혈, 월경과다, 허탈성출혈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음허혈열(陰虛血熱) 증세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생용: 산한지통(散寒止痛).
②초초(醋炒): 지복통(止腹痛), 지혈.
③초탄(草炭): 지혈.
④단초(單炒): 안태(安胎).
⑤애융(艾絨): 침구용(針灸用).
▶ 처방예 궁귀교애탕(芎歸膠艾湯).

▶측백엽(側柏葉)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잎이 연약하고 청록색으로 부서지지 않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맛은 쓰고 떫다. 양혈지혈(凉血止血), 혈분(血分)의 습열(濕熱)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고미건위(苦味健胃), 양혈수렴(凉血收斂), 지혈, 이뇨제로서 토육붕대(吐崩帶), 변혈혈리(便血血痢), 풍습제비(風濕諸痺), 골절동통(骨節疼痛), 세균성이질, 장풍(腸風), 요혈, 고혈압, 해수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습열이 없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길이 2∼3㎝의 소단(小段)으로 잘라서 날것으로 이용시 양혈지혈(凉血止血).
②초탄: 지혈.
③연말: 외상출혈에 이용한다.
▶ 처방예 작약탕(芍藥湯).

▶상엽(桑葉)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엽편(葉片)이 완정(完整)되고 크고 두꺼우며 황록색으로 질은 연하고 잡질(雜質)이 섞이지 않은 것이 좋다. 서리가 내린 뒤에 채취한 것이 좋으며 '상상엽(霜桑葉)' 또는 '동상엽(冬桑葉)'이라 부른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달고 쓰다. 거풍청열, 양혈명안(凉血明眼)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 진해, 양혈, 명안제(明眼劑)로서 감기, 해수, 두통, 안질, 각기, 수종(水腫), 복통, 설사, 토혈, 구갈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 수치 밀자- 윤폐(潤肺)-명안(明眼).
▶ 처방예 상국음(桑菊飮), 상마환(桑麻丸), 상행탕(桑杏湯).

▶자소엽(紫蘇葉)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잎이 크고 보라색, 향기가 짙고 지경(枝梗)이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다. 발표(發表), 산한(散寒), 이기(理氣), 해울화담(解鬱化痰), 안태(安胎), 정천(定喘), 지통, 화혈(和血)등 효능이 있다.
▶ 효능: 발한, 행려, 진해, 진통약으로서 외감풍한(外感風寒), 흉민구토(胸悶嘔吐), 태기불안(胎氣不安), 각기, 기천(氣喘) 등에 이용한다. 또 어육(魚肉)등 중독의 해독약으로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기허(氣虛)나 표허(表虛)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잘라서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②초탄(炒炭): 지혈.
▶ 처방예 향소산(香蘇散), 삼소음(蔘蘇飮), 행소산(杏蘇散), 신비탕(神秘湯).

▶계관화(鷄冠花)
 
▶ 산지: 중국, 일본.
▶ 선품: 적색, 백색, 자색, 황색 등 많은 종류가 있으나 약용은 적색, 백색에 한하며 일반적으로 백색이 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백색은 드물고 상품의 대부분은 적색을 채집하여 햇볕에 바래고 밤이슬을 적셔서 퇴색시킨 것을 '백계관화(白鷄冠花)'라고 하고 있다.
▶ 용도,성능 :성량(性凉), 맛은 달다. 청열지혈(淸熱止血) 효능이 있다.
▶ 효능: 지혈, 지사제(止瀉劑)로서 적백치(赤白痴), 치루하혈(痔漏下血), 붕중(崩中), 적백대하(赤白帶下), 토혈, 해혈(咳血), 혈림(血淋)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적체(積滯)가 있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초탄(炒炭)- 지혈.
②주초(酒炒), 초초(醋炒)- 효과를 더욱 좋도록 하기 위해.
▶ 처방예 계관산(鷄冠散)- 변후하혈(便後下血)에 백계관화변(白鷄冠花弁)에 씨앗을 볶고 달여서 복용한다.

▶금은화(金銀花)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꽃봉오리가 아직 열리지 않고 황백색으로 맛은 맑고 향기로운 것이 좋다 하남성산(産)을 밀은화(密銀花)라고 부르며 품질이 최고라 한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달다. 청열(淸熱), 해독 효능이 있다.
▶ 효능 :청열해독, 소염제라서 화동성질환, 농양(膿瘍), 종독(腫毒), 악창(惡瘡), 임질, 이질 등에 이용된다.
▶ 용량 10∼15g.
▶ 금기: 비위허한(脾胃虛汗) 및 기허농청(氣虛膿淸)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생용- 청열해독(淸熱解毒).
②초탄(炒炭)- 혈리(血痢), 혈변(血便)을 고친다.
③초용(炒用)- 청리(淸痢), 수사(水瀉)를 고친다.
④금은화로(金銀花露)- 해서청열(解暑淸熱).
▶ 처방예 은교산(銀翹散), 탁리소독음(托裏消毒飮), 팔미대하방(八味帶下方).

▶선복화(旋覆花)
 
▶ 산지: 중국.
▶ 선품 :꽃송이가 크며 황금색으로 흰 융털이 있고 지경(枝梗)이 없는 것이 좋다. 강소, 척강성의 것이 가장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짜다. 소담(消痰), 하기(下氣), 연견(軟堅), 행수(行水) 효능이 있다
. ▶ 효능: 건위, 거담, 진해, 이뇨제로서 해천(咳喘), 애기(曖氣), 흉만협통(胸滿脇痛), 복수종(腹水腫), 구토, 딸꾹질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풍열조해(風熱燥咳), 음허노수(陰虛勞嗽), 설사를 하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융털을 제거하고 날것으로 이용한다. 밀자(蜜炙)- 윤폐지해(潤肺咳).
▶ 처방예 선복화대자석탕(旋覆花大紫石湯), 금불초산(金不草散).

▶관동화(款冬花)
 
▶ 산지: 중국.
▶ 선품 :붓끝처럼 생겼고 밑동은 회자색∼청록색, 경(梗)은 회록색 절단면은 회색의 면상교사(棉狀膠絲)인 것이 좋다, 영태동화(靈台冬花), 산서동화(山西冬花)가 있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달고 맵다. 윤폐하기(潤肺下氣), 화담지수(化痰止嗽)효능이 있다.
▶ 효능 :진해, 거담, 건위제로서 해수기천(咳嗽氣喘), 후비(喉痺), 폐위(肺胃), 소갈(消渴), 경간(驚癎), 토혈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음허폐열자(陰虛肺熱者)는 금할 것.
▶ 수치 ①잔경(盞梗)을 제거하여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②밀자(蜜炙)- 윤폐(潤肺), 지해(止咳)작용을 돕는다.
③외용- 훈(燻)인처리하여 이것을 흡입시키고 지해, 평천(平喘)에 이용한다.
▶ 처방예 동화탕(款冬花湯), 자원산(紫 散), 백화고(百花膏), 보폐탕(補肺湯), 정천탕(定喘湯).

▶밀몽화(密蒙花)
 
▶ 산지: 중국.
▶ 선품 :화뢰(花賚)가 밀취(密聚)하고 맛은 달다. 거풍(祛風), 양혈, 윤간(潤肝), 명안(明 眼) 효과가 있다.
▶ 용도,성능
▶ 효능 : 해열, 소염, 안약으로서 녹내장(綠內障), 적종유루(赤腫流漏), 야맹증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 수치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또는 술에 씻어서 밀자(蜜炙)로 하여서 이용한다.
▶ 처방예 밀몽화산(密蒙花散).

▶신이(辛夷)
 
▶ 산지: 중국.
▶ 선품 :꽃봉오리가 열리지 않고 회록색으로 털이 있으며 화경(花梗)이 짧고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거풍, 통규, 상초(上焦)의 풍열을 흩어버리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진정, 진통약으로서 비후성비염(肥厚性鼻炎), 축농증, 코막힘, 치통, 두통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음허화왕(陰虛火旺)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지경(枝梗)을 제거하고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 처방예 창이산(蒼耳散), 신이청폐탕(辛夷淸肺湯), 갈근탕가천궁(葛根湯加川芎), 신이(辛夷).

▶괴화(槐花)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황록색으로 꽃봉오리가 크며 물에 담그면 선황색을 나타내며 꽃봉오리가 열리지 않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량(性凉), 맛은 쓰다. 청열(淸熱), 양혈(養血), 지혈(止血) 효능이 있다.
▶ 효능: 지혈제로서 적백이질(赤白痢疾), 장풍치루(腸風痔漏), 토혈, 육혈, 부인혈붕(婦人血崩)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허한사리(虛寒瀉痢), 기허혈붕(氣虛血崩) 증세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밀자(蜜炙)- 윤폐(潤肺).
②초탄(炒炭)- 지혈, 적백리를 고친다.
③생용(生用)- 고혈압에 흔히 이용된다.
④초향(炒香)- 후비(喉痺)를 고친다 또 토혈, 육혈, 붕중누하(崩中漏下)를 고친다.
▶ 처방예 괴화산(槐花散), 괴향산(槐香散).

▶번홍화(番紅花)
 
▶ 산지: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그리스, 인도, 이란, 소련, 중국, 일본.
▶ 선품 :자윤(滋潤), 광택이 있으며 주두(柱頭)가 나팔 모양으로 피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맛은 달다. 활혈화어(活血化瘀), 산울개결(散鬱 開結)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진정, 통경제(通經劑)로서 부녀경폐(婦女經閉), 산후어혈복통, 상한발광(傷寒發狂), 경계(驚悸)등 증상에 이용한다.
▶ 용량 1.5∼3g.
▶ 금기: 임부는 금할 것.
▶ 수치 :황색의 모수(毛鬚)를 제거하고 날것으로 이용한다
. ▶ 처방예 강목습유(綱目拾遺): 번홍화일타(番紅花一朶)를 술에 넣어 돈복(頓服)한다- 각종 토혈(吐血)을 고친다.

▶원화(元花)
 
▶ 산지: 중국.
▶ 선품 :꽃봉오리가 다수 정비되어 있으며 옅은 보라색의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고 쓰며 유독하다. 사수축음(瀉水逐飮) 효능이 있다.
▶ 효능 :준하(峻下), 이수, 거담제로서 수종창만(水腫脹滿), 정음(停飮), 천만(喘滿), 해역(咳逆)상기(上氣)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1.5∼3g.
▶ 금기: 체질허약 및 임부는 피할 것.
▶ 수치 ①준하-(峻下),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날것으로 이용한다.
②초제(醋製)- 독성을 제거하고 축수(逐水) 작용을 증가시킨다.
▶ 처방예 십조탕(十棗湯).

▶국화(菊花)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화타(花朶)가 완정(完整)되어 있고 색은 선명하며 맑은 향기가 있으며 잡질(雜質)이 섞이지 않는 것이 좋다. 백국(白菊)을 박국이라고 부르며 품질이 가장 좋다.
▶ 용도,성능 :성량(性凉), 맛은 달고 쓰다. 소풍(疏風), 청열(淸熱), 명안(明眼), 해독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 해독, 진통, 소염제로서 두통, 안적(眼赤), 감기, 발열, 두운(頭暈), 정창종독( 瘡腫毒)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10g.
▶ 금기
▶ 수치 ①생용- 소산풍열(疏散風熱).
②초탄(炒炭)- 청열해독(淸熱解毒).
▶ 처방예 상국음(桑菊飮), 기국지황환(杞菊地黃丸).

▶하고초(夏枯草)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자갈색(紫褐色)으로 이삭이 긴(5㎝ 이상)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쓰고 맵다. 간화(肝火)를 제거하고 울결(鬱結)을 흩어 버리며 영류(穎瘤)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이뇨(利尿), 소염제(消炎劑)로서 영류나병( 瘤癩病), 유옹(乳癰), 안적통(眼赤痛), 구안왜사(口眼歪斜), 고혈압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3∼10g.
▶ 금기 비위(脾胃)가 허약한 사람은 삼가서 이용할 것.
▶ 수치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생용한다.
▶ 처방예 하고초탕(夏枯草湯), 보간산(補肝散).

▶정향(丁香)
 
▶ 산지: 인도네시아, 모르카 제도, 말레이시아. 페난섬, 아프리카 동해안 잔지바, 마다카 스칼섬, 중국.
▶ 선품 :꽃봉오리가 크고 선명한 자갈색(紫褐色)으로 물에 가라앉으며 향기가 강하고 기름기가 많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다. . 구풍제(驅風劑)로서 만성 소화불량, 자궁산통(子宮疝痛), 구토, 토사, 심복냉통(心腹冷痛), 위통, 딸꾹질등 증세에 이용된다.
▶ 효능 :온중(溫中), 난신(暖腎), 강역(降逆), 지통 효능이 있다.
▶ 용량 1∼3g.
▶ 금기: 열증(熱症), 음허내열(陰虛內熱), 위산과다, 급성위장염, 위출혈이 있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화경(花梗)을 제거하고 햇볕에 바래고 날것으로 이용한다.
▶ 처방예 정향시(丁香枾)제탕(湯), 여신탕(女神湯).

▶홍화(紅花)
 
▶ 산지: 한국, 중국, 인도, 일본.
▶ 선품 :꽃잎이 길고 선홍색이며 질은 유연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다. 활혈통경(活血痛經), 거어지통(祛瘀止痛) 효능이 있다.
▶ 효능: 통경(通經), 정혈제(淨血劑)로서 부녀경기복통(婦女經期腹痛), 경폐(經閉), 난산(難散), 징가, 타박상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어체(瘀滯)가 없는 사람과 임부는 피할 것.
▶ 수치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활혈거어(活血祛瘀).
주주(酒煮)- 파혈(破血), 수전(水煎)- 양혈(養血), 연말(硏末)-외용(外用).
▶ 처방예 통도산(痛導散), 절충음(折衝飮), 홍화산(紅花散), 갈근홍화탕(葛根紅花湯).

▶포황(蒲黃)
 
▶ 산지: 중국.
▶ 선품
▶ 용도,성능 :성평(性平), 맛은 달다, 양혈지혈(凉血止血), 활혈거어(活血祛瘀) 효능이 있다.
▶ 효능: 지혈(止血) 소염(消炎), 이뇨제로서 심복통(心腹痛), 혈체경폐(血滯經閉), 소변불리, 혈림(血林), 타박상, 토혈, 자궁출혈, 치출혈(痔出血) 등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음허(陰虛)한 사람과 임산부는 금할 것.
▶ 수치 ①생용- 활혈거어(活血祛瘀), 이뇨(利尿), 소종(消腫).
②초용(炒用)- 지혈(止血)보혈(補血) 작용이 있으며 붕루(崩漏) 및 일체 출혈증을 고친다.
③초탄(炒炭)- 지혈 작용이 있으며 토혈 하혈(吐血下血), 장풍 혈뇨(腸風血尿), 혈리(血痢)를 고친다.
④주제(酒製)- 행혈(行血).
⑤초초(醋炒)- 지혈(止血).
⑥외용(外用)- 창상(創傷), 습진에 살포제(撒布劑)로서 사용한다.
▶ 처방예 실소산(失笑散), 이신환(二神丸).

▶곽향(藿香)
 
▶ 산지: 중국, 필리핀
▶ 선품 : 줄기가 거칠고 잎이 두껍고 부드러우며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온, 신미(辛未) 하고 승청강탁, 피예지구, 행기화습, 성비화위 의 효능이 있다.
▶ 효능 : 방향성건위, 발표약으로서 감모서습, 한열두통, 흉격만민, 심복동통, 구토설사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 음허무습, 위약욕구 하면 쓰지않는다.
▶ 수치 :곽향: 묵은줄기를 제거하고 잎을따서 따로 놓고, 줄기를 수포후 잘라서 햇볕에 말려 잎과 섞어서 쓴다. 곽향경: 노경을 수포, 윤투후에 잘라서 햇빚에 말려서 쓴다.
▶ 처방예 불환금정기산, 전씨백출산

▶형개(荊芥)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엷은 자색(紫色)이며 줄기가 가늘고 고갱이가 많으며, 향미(香味)가 신렬(辛烈)한 것이 좋다. 강소성태창(江蘇省太倉)산을 '복형개(茯形芥)'라고 하며 품질이 가장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신미(辛味)하고, 발표거풍(發表祛風), 이인후(利咽喉), 청열산어(淸熱散瘀), 파결소옹독(破結消癰毒)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구풍(驅風). 발한(發汗), 해열약(解熱藥)으로서 감모 두통(感冒頭痛), 인후종통(咽喉腫痛), 나력창종瘡腫), 산후혈운(産後血暈) 등 증상에 응용 한다.
▶ 용량 5∼10g.
▶ 금기 :표허자한(表虛自汗)하면 쓰지 않느다.
▶ 수치 ①생용- 거풍해표(祛風解表).
②초초(炒蕉), 초탄(炒炭)-지토혈(止吐血), 육혈, 변혈, 혈리(血痢), 붕중치루(崩中痔漏).
③밀자(蜜炙)-윤폐지해 (潤肺止咳).
④초제(炒製)-발표력완화(發表力緩和), 자한(自汗)하면 쓰지 않는다.
⑤형개수(荊芥穗)-발한력(發汗力)이 강하며, 무한(無汗)한 데 쓴다.
▶ 처방예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 형개(荊芥)연요탕, 십미패독산(十味敗毒散), 청상방풍탕(淸上防風湯).

▶음양곽(淫羊藿)
 
▶ 명칭: 음양곽(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 Epimedium koreanum]
▶ 산지: 한국 ·중국 동북부 등지
▶ 선품 : 열매는 골돌이고 길이 10∼13mm의 양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이다. 한방에서는 식물체 전체를 음양곽(陰羊藿)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최음·강장·강정·거풍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는 음위(陰謄)·신경쇠약·건망증·발기력 부족 등에 사용한다. 또한 술을 담가서 마셔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국·중국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 성능 :음양곽에 들어있는 주성분은 에피메딘으로 이것은 체내에 들어가면 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성욕을 왕성하게 해준다.중국 사천지방에 양을 치는 목동이 있었는데 숫양 한마리가 유독 많은 암양을 거너리는 것을 보고 의아하게 여겨 숫양을 따라가 보니 어떤풀을 열심히 뜯어 먹고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 목동도 그 풀을 뜯어다 끓여 먹었더니 정력이 왕성해졌다는 데서 유래된 것이다. 즉 양이 먹으면 음란해진다 하여 음양곽이라 한다. 그래서 음양곽은 정력을 강하게 하고 건망증을 예방하는데 특효가 있다.
▶ 효능 : 선령비주(仙靈碑酒)로도 불리운다. 두뇌활동을 돕고 건망증, 무기력증에 효과가 있다.
피로회복, 식욕부진, 히스테리에 효과가 있다. 신과 양기를 보하여 정력을 증진한다.강정,소염,진통,이뇨작용,보기,강장,신,뼈,든든하게 한다 신양을 보충하여 성기능을 높인다.음양곽의 정액 분비 작용은 잎과 뿌리 부위가 제일 세다. 정기를 돋우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풍습을 없앤다.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인 이카라인이 강정작용을 한다. 이뇨작용, 혈압강하작용을 한다. 음위증, 성신경쇠약, 성호르몬장애, 배뇨장애, 귀울림, 잊음증, 비증, 월경장애등에도 쓴다(최음·강장·강정·거풍)
▶ 용량 1회 6~12g을 복용한다.술로 담아 복용하거나 다른 약초와 배합하여 복용한다
▶ 금기 음기가 부족하여 쉽게 화기가 오르는 자는 피한다.
▶ 수치
▶ 처방예 여름에 잎을 채취후 그늘에서 말린다. 꽃은 봄에 채취하여 생으로 사용한다. 깨끗이 씻어 물기를 빼고 용기에 넣고 약 4배의 소주를 붓는다.
밀봉하여 서늘한 곳에 저장한다.
약 3개월 두면 익는데 알맹이는 그대로 두어도 좋다.
익으면 녹색을 띤 호박색으로 변하며 산뜻한 초향과 쌉쌀한 맛이 난다.
건더기는 그래로 두어도 좋다. 감미료를 첨가해도 좋고 칵테일도 무난하다.

▶마황(麻黃)
 
▶ 산지 :중국.
▶ 선품: 줄기가 굵고 담록색(淡綠色)이며, 내심(內心)이 충실하고 맛이 고삽(苦澁)한 것 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고신미(苦辛味)하고 발한(發汗), 평천(平喘), 이수(利水)의 효능이 있다.
▶ 효능: 발한(發汗), 진해(鎭咳), 거담약(祛痰藥) 으로서 발열 오한(發熱惡寒), 골절 동통(骨節疼痛), 해수 기천(咳嗽氣喘), 수종(水腫), 소변 불리(小便不利), 풍진(風疹) 소양(瘙痒) 등 증세에 응용한다.
▶ 용량 1.5∼6g.
▶ 금기 신체허약(身體虛弱)하고 자한(自汗)이나 도한(盜汗)이 있으면 쓰지 않는다.
▶ 수치
①생용(뿌리와 마디를 제거)- 발한력이 강하다.
②제용- 발한력(發汗力)이 감저 하고 기허(氣虛)의 쇠약(衰弱) 병자(病者)에게 쓴다.
③밀자(蜜炙)-윤폐(潤肺)의 효능이 있으며, 발산 작용(發散作用)을 억제하고 지해(止咳), 평천 작용(平喘作用)을 증강한다.
▶ 처방예 마황탕(麻黃湯), 마행감석탕(麻杏甘石湯), 마행의감탕(麻杏意甘湯), 마황부자세신탕(麻黃附子細辛湯).

▶박하(薄荷)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잎이 많고 녹색이며 맛이 진한 것이 좋다. 강소성(江蘇省)의 태창(太倉), 소주(蘇州), 산은 품질이 좋고 각각 '태창박하(太倉薄荷)' '소주박하(蘇州薄荷)'라고 한다.
▶ 용도,성능: 성량(性凉), 신미(辛味)하고, 소풍산열(疎風散熱), 해독(解毒)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구풍(驅風), 방향흥분(芳香興奮), 발한(發汗), 이뇨약(利尿藥)으로서 외감(外感) 발열(發熱), 두통(頭痛), 인후종통(咽喉腫痛), 목적(目赤), 피부(皮膚)인진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1.5∼3g.
▶ 금기 음허혈조(陰虛血燥), 표허다한(表虛多汗) 하면 쓰지 않는다.
▶ 수치 길이 약 7㎜로 잘라서 생용(生用), 소산풍열(疏散風熱), 발한(發汗), 밀자(蜜炙), 지해작용(止咳作用)을 증강한다.
▶ 처방예 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 청상방풍탕(淸上防風湯).

▶인진호(茵陳蒿)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체질(體質)이 솜처럼 부드럽고 회록색(灰錄色),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미평고(味平苦)하며, 청열 이습(淸熱利濕)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解熱), 이뇨(利尿), 이담약으로서 황달(黃疸), 간울혈(肝鬱血), 담석, 담낭염 및 각종 급성 열증(熱症)에 응용한다.
▶ 용량 10∼15g.
▶ 금기 :축혈 발황(蓄血發黃) 하면 쓰지 않는다.
▶ 수치 유묘(幼苗)를 음간(陰干) 생용(生用)한다.
▶ 처방예 인진호탕(茵陳蒿湯), 당귀점통탕(當歸痛湯), 인진오령산(茵陳五羚散).

▶노회(蘆檜)
 
▶ 산지
① 케이프 알로에(Cape Aloes): Aloe forex Mill이 주종(主種),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주(州)에서 나며, Capetown에서 수입. 불투명 알로에.
② 속트린 알로에(Soctrine Aloes): Aloe perri Baker에서 나온다. 동아프리카, 소말리아 앞바다 속트린 섬 산. 간색(肝色) 알로에.
③ 큐라소, 알로에(Curacao Aloe): Aloe vera L.C=A. barbadensis Mill. 및 변종(變種), 서인도 제도의 큐라소 섬 산. 간색(肝色) 알로에.
▶ 선품
① 간색(肝色) 알로에<노호회(老芦 )>: 암적색(暗赤色), 기미(氣味)가 농후(膿厚)하여 물에 풀어도 잡질(雜質)이 없는 것이 좋다.
② 투명(透明) 알로에<신호회(新芦檜)>: 흑갈색(黑褐色)이며 단면(斷面)은 반투명하고 가열하면 용화(熔化)하기 쉽고 품질은 노호회(老芦檜)보다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노호회(老芦檜)가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고미(苦味)이며, 청열(淸熱), 통변(通便), 살충(殺蟲), 양간(凉肝)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완하(緩下), 고미건위약(苦味健胃藥)으로서 열결변비(熱結便秘), 부녀경폐(婦女經閉), 소아감적(小兒疳積), 소화불량(消化不良), 만성위(慢性胃) 카타르에 응용한다.
▶ 용량 0.5∼1.5g.
▶ 금기 비위허약(脾胃虛弱)으로 하리(下痢) 하거나 임부는 쓰지 않는다.
▶ 수치 :생용(生用), 초초용(炒蕉用).
▶ 처방예 호회환(芦檜丸), 당귀룡회환(當歸龍檜丸).

▶유향(乳香)
 
▶ 산지: 홍해 연해안에서 리비아, 수단, 터키 등지.
▶ 선품 :담황색(淡黃色)이며 과립(顆粒)상, 반투명(半透明)이고, 방향(芳香)이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고신미(苦辛味)이고, 조기(調氣), 활혈(活血), 정통(定痛), 소독(消毒) 등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진통(鎭痛), 소염약(消炎藥) 으로서, 기혈응체(氣血凝滯), 심복동통(心腹疼痛), 옹저(癰疽)창양, 산후어혈자통(産後瘀血刺痛), 설리(泄痢)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3∼7g.
▶ 금기: 임부나 위약자는 쓰지 않는다.
▶ 수치 :생용(生用), 활혈(活血)지통(止痛), 서근소종(舒筋消腫), 초거유(炒去油), 초제(醋製), 활혈(活血)지통작용(止痛作用)을 증강시킨다.
▶ 처방예 유향정통환(乳香定痛丸), 보골지환(補骨脂丸

▶송향(松香)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 용도,성능 :성온(性溫), 고감미(苦甘味)하고 거풍(祛風), 조습(燥濕), 배농(排膿), 발독(拔毒), 생기(生肌)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흥분(興奮), 이뇨(利尿), 진통(鎭痛), 살충약으로서, 옹저(癰疽), 정독, 개선(疥癬), 풍습비통(風濕痺痛), 소양(瘙痒)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외용적량(外用適量)<지혈제(止血劑)>, 일반적으로 연고(軟膏)나 경고(硬膏)의 기제(基劑)로 쓴다.
▶ 금기
▶ 수치 제송향(製松香)-송향분말(松香粉末)과 파의 증즙(蒸汁)을 함께 달여서 용화(熔化) 후 냉수(冷水)에 넣었다 꺼내서 음간(陰干) 한다.
▶ 처방예 연말 해서 외용(外用) 한다. 일체의 종독(腫毒)에 살포(撒布)한다.

▶몰식자(沒食子)
 
▶ 산지 :그리이스, 터키, 이란, 인도 등지.
▶ 선품 :무겁고 회색(灰色)이며, 질이 굳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고삽미(苦澁味)하고, 색정( 精), 염장(斂腸), 지한(止汗), 지혈(止血)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수렴(收斂), 지혈약(止血藥)으로서 대장허활(大腸虛滑), 사리부지(瀉痢不止), 변혈(便血), 유정(遺精), 음한(陰汗), 해수(咳嗽), 각혈, 창상출혈(創傷出血)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3∼5g.
▶ 금기 :사리(瀉痢) 초기(初期)나 적체(積滯)가 있으면 쓰지 않는다.
▶ 수치: 빻아서 생용(生用)한다.
▶ 처방예 몰식자환(沒食子丸).

▶오배자(五倍子)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알이 크고 껍질이 두터우며 회색으로 질이 굳은 것이 좋다. 산량(産量)은 각배(角倍)쪽이 많으나 품질(品質)은 두배(豆倍)가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산미(酸味)이며, 염폐(斂肺), 삽장(澁腸), 지혈(止血), 해독(解毒)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수렴지사(收斂止瀉), 진해(鎭海), 지혈(止血), 지한약(止汗藥) 으로서 오래된 하리(下痢), 폐허(肺虛)의 구해(久咳), 소갈(消渴), 도한(盜汗), 하혈(下血), 탈항(脫肛), 유정(遺精), 변혈(便血), 다한(多汗), 금창출혈(金瘡出血)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1.5∼6g.
▶ 금기: 외감해수(外感咳嗽) 및 습열사리(濕熱瀉痢) 하면 쓰지 않는다.
▶ 수치 :거모(去毛) 도쇄(搗碎)해서 생용(生用) 한다. 염한지사(斂汗止瀉), 수렴지 혈(收斂止血), 백약전(百藥煎), 청열화담(淸熱化痰), 생진지갈(生津止渴).
▶ 처방예 오배자산(五倍子散), 옥쇄단(玉鎖丹).

▶신국(新麴)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진구(陳久)하고, 충주가 없는 것이 좋다. 복건성(福建省)산을 건국(建麴)이라고 한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감신미(甘辛味)하고, 건비화위(健脾和胃), 소식조중(消食調中)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자양(滋養), 소화(消化), 지사약(止瀉藥) 으로서 복사하리(腹瀉下痢), 창만(脹滿), 식적(食積), 산후어혈복통(産後瘀血腹痛), 구토(嘔吐)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6∼12g.
▶ 금기 위산과다(胃酸過多), 임부는 삼간다.
▶ 수치 초초(炒蕉)-건비개위(健脾開胃), 제적거담(除積祛痰), 행기개어(行氣開瘀), 소화수곡(消化水穀). 부초- 건위이비(健胃理脾).
▶ 처방예 화식양비탕(化食養脾湯), 신국산(新麴散), 국출환(麴朮丸).

▶몰약(沒藥)
 
▶ 산지: 아라비아 남부, 아비시니아, 소말리랜드, 인도 등.
▶ 선품
▶ 용도,성능: 성평(性平), 고미(苦味)이며, 행기 산혈(行氣散血), 소종 정통(消腫定痛), 생기 염창(生肌斂瘡)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건위(健胃), 통경(痛經), 흥분(興奮), 살균(殺菌), 진통약(鎭痛藥)으로서, 종통(腫痛), 경폐(經閉), 산후(産後) 어혈(瘀血), 복통(腹痛), 옹저(癰疽), 징가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3∼5g.
▶ 금기: 어체(瘀滯)가 없는 사람, 옹저(癰疽)가 이미 터진 사람 및 임부는 쓰지 않는다.
▶ 수치 :초초(炒蕉)-찧어서 까맣게 볶아서 부분 정유 발산(部分精油發散) 후에 잘은 덩어리로 만들어 쓴다. 활혈(活血), 지통 작용(止痛作用)을 증강한다.
▶ 처방예 보골지환(補骨脂丸).

▶안식향(安息香)
 
▶ 산지: 수마트라 안식향(安息香): 수마트라 Tapanuli지방. 샴 안식향(安息香); 타이, 라오스의 고온지방에서 난다.
▶ 선품 :유성(油性)이 많고 황백색(黃白色)의 과립(顆粒)이 끼어 있으며 향미(香味)가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고신미(苦辛味)이고, 개규(開窺), 피오(避惡), 행기혈(行氣血)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구풍(驅風), 거담(祛痰), 이뇨약(利尿藥)으로서, 심복동통(心腹疼痛), 산후혈운(産後血暈), 졸중폭궐(卒中暴厥), 소아경간(小兒驚癎), 풍비요통(風痺腰痛)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0.3∼1g.
▶ 금기 :음허화왕자(陰虛火旺者)는 안쓴다.
▶ 수치: 연세(硏細)하여 생용(生用)한다.
▶ 처방예 안식향환(安息香丸).

▶아위(阿魏)
 
▶ 산지 :이란, 아프카니스탄, 소련, 중앙 아시아.
▶ 선품 :아위(阿魏)를 물과 갈아서 수용액(水溶液)이 황백유색(黃白乳色)이 나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감신미(甘辛味)이고 소적(消積), 살충(殺蟲), 해독(解毒)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건위(健胃), 소화(消化), 구어혈(驅瘀血), 구충, 신경(神經) 흥분약 으로서 감적(疳積), 학질, 심복통(心腹痛), 신경쇠약(神經衰弱), 비괴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0.5∼1.5g <환(丸), 산제(散劑)>.
▶ 금기 :비위허약(脾胃虛弱)자 및 임부는 쓰지 않는다.
▶ 수치 :연세(硏細), 거사(去渣)하여 생용(生用) 또는 초용(炒用)한다.
▶ 처방예 아위화비산(阿魏化肥散), 아위환(阿魏丸).

▶아다(兒茶)
 
▶ 산지
①종아다(棕兒茶): 인도,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에서 재배되며, 싱가폴, 홍콩 등을 거쳐서 수입되고 있다.
② 흑아다(黑兒茶): 중국.
▶ 선품
▶ 용도,성능 :성량(性凉), 고삽미(苦澁味)하고 청열(淸熱), 화담(化痰), 지혈(止血), 소식(消食), 생기(生肌), 정통(定痛)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수렴 지사약(收斂止瀉藥)으로서 담열해수(痰熱咳嗽), 소갈(消渴), 토혈(吐血), 수사(水瀉), 소아 소화 불량(小兒消化不良), 혈리(血痢)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1∼3g.
▶ 금기 :한습증(寒濕症)은 쓰지 않는다.
▶ 수치: 연세(硏細) 해서 생용(生用).
▶ 처방예 용골아다산(龍骨兒茶散).

▶귀판
 
▶ 산지 :한국, 중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 선품 ':혈판(血板)' (거북을 죽여 근육을 제거하고 복갑(腹甲)을 씻어 햇볕이나 바람에 말린 것)은 덩어리가 크고 완전하며 청결하여 부육(腐肉)이 없는 것이 좋다. 혈판(血板)은 교질(膠質)이 많아 품질이 가장 좋다. '탕판(湯板)' <거북을 열탕에 탕사(湯死)시켜 살을 제거하고 복갑(腹甲)을 햇볕에 말린 것>은 교질(膠質)이 적어 품질이 혈판(血板)보다 떨어진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감(甘), 함미(鹹味) 하고 자음잠양(滋陰潛陽), 보신건골(補腎健 骨)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解熱), 강장(强壯), 보신(補腎), 지혈약(止血藥)으로서 신음(信音)부족(不足), 골증노열(骨蒸勞熱), 토혈(吐血), 구해(久咳), 유정(遺精), 붕루(崩漏), 대하(帶下), 요통(腰痛), 골위(骨萎), 음허(陰虛)풍동(風動), 구리(久痢), 치창(痔瘡)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10∼20g.
▶ 금기: 허증(虛症)으로 열이 없으면 쓰지 않는다.
▶ 수치: 자투(炙透)-환(丸), 산제(散劑)로 할 때, 초제(醋製)- 잠양(潛陽)작용(作用)을 증가한다.
▶ 처방예 대보음환(大補陰丸), 귀판탕, 귀백강치환.

▶웅담(熊膽)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 용도,성능 :성한(性寒), 고미(苦味)하고, 청열(淸熱), 진경(鎭痙), 명목(明目), 살충(殺蟲)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고미 건위(苦味健胃), 진통(鎭痛), 진경(鎭痙), 이담(利膽), 소염(消炎), 해열약(解熱藥)으로서 위통(胃痛), 하리(下痢), 황달(黃疸), 소아 감질(小兒疳疾), 장내 기생충증(腸內寄生 症) 등에 응용한다. 외용약(外用藥)으로서, 안병(眼病), 치질(痔疾), 종통(腫痛)에 쓰인다.
▶ 용량 0.15∼0.3g 환(丸), 산(散).
▶ 금기
▶ 수치 :담피(膽皮)를 벗기고 연세(硏細)해서 쓴다.
▶ 처방예 웅담환(熊膽丸).

▶석결명(石決明)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껍질이 두껍고 7∼9개의 구멍이 있으며, 내표면(內表面)에 광택이 있는 것이 좋다. 광저석결명(光底石決明)이 가장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함미(鹹味)이고, 평간(平肝)잠양(潛陽), 제열명목통림(際熱明目通淋)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이뇨(利尿), 제산(制酸), 지혈(止血), 화담(化痰), 보골약(補骨藥) 으로서 현운(眩暈), 임병, 위산과다(胃酸過多), 두통(頭痛), 청맹내장(靑盲內障), 골증노열(骨蒸勞熱) 등에 응용한다.
▶ 용량 10∼15g.
▶ 금기: 비위허한(脾胃虛寒)하면 쓰지 않는다.
▶ 수치 :부수어서 생용(生用)- 평간잠양(平肝潛陽), 명목(明目). 단제-약성(藥性)이 전출(煎出)하기 쉽고 또한 간허(肝虛)를 보(補)하는 작용이 있다.
▶ 처방예 석결명산(石決明散).

▶녹용(鹿茸)
 
▶ 산지 : 한국, 중국, 시베리아
▶ 선품: 겉은 적갈색, 털은 잘고 연하며, 표면 기근이 없고, 유윤하고 광택이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 감미하며, 장원양, 보기혈, 익정수, 강근골의 효능이 있다.
▶ 효능 : 강장, 강정, 진통약으로서, 임포텐쯔, 두운, 이명, 요슬위약, 허한증의 대하, 만성병의 허손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1~3g
▶ 금기 :음허양항 하면 쓰지 않는다.
▶ 수치 : 털을 제거하고 생용: 보신양, 장근골.
▶ 처방예 향용환, 삼용고본환.

▶ 해구신(海拘腎)
 
▶ 산지 :캐나다, 하와이 군도, 중국(발해 및 황해연안).
▶ 선품: 적자색(赤紫色)이며 길고 질(質)은 유윤(油潤)하고 반투명(半透明)하며 고환(睾丸)을 갖추고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대열(性大熱), 함미(鹹味)하고, 난신장양(暖腎壯陽), 익정 보수(益精補髓)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자양강장약(滋養强壯藥)으로서 음위(陰 ), 몽정(夢精), 요슬연약(腰膝軟弱)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3∼10g.
▶ 금기: 골증(骨蒸)노해( 咳), 음허(陰虛), 생용(生用), 주제(酒製), 초제(醋製), 난신장양(暖腎壯陽), 익정(益精)에 쓴다.
▶ 수치
▶ 처방예 올내제산(兀內臍散).

▶섬수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외관(外觀)은 광활(廣闊)하고 반투명상(半透明狀), 물방울을 떨어뜨리면 곧 유백색(乳白色)으로 변하며, 이것을 핥으면 마비감(麻痺感)이 있는 것이 좋다. 산동성(山東省)산을 '동수'라고 하며 품질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감신미(甘辛味), 유독(有毒)하고 해독(解毒), 산종(散種), 지통(止痛)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심(强心), 진통(鎭痛), 해독약(解毒藥)으로서 소아의 오감(五疳), 치아출혈(齒牙出血), 악종(惡腫), 후비(喉痺), 심장질환(心臟疾患) 등에 응용한다.
▶ 용량 1.5∼3g.
▶ 금기 임부는 쓰지 않는다.
▶ 수치 주제(酒製)-열성(劣性)을 감소시킨다.
▶ 처방예 육신환(六神丸), 섬여고.

▶망충
 
▶ 산지 :중국.
▶ 선품: 충체(蟲體)가 크고 완전하며 잡질(雜質)이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고미(苦味) 유독(有毒)하고, 파혈 화어(破血化瘀), 통경(通經), 구어혈(驅瘀血)약(藥)이다.
▶ 효능: 월경폐지(月經閉止), 낙태(落胎), 흉복중(胸腹中)의 축혈(蓄血), 징결(澄結) 등에 응용한다.
▶ 용량 1.5∼3g.
▶ 금기 :임부는 쓰지 않는다.
▶ 수치 :시족(翅足)을 제거해서 생용(生用), 초용(炒用) 한다. 파혈화담(破血化痰), 소징가.
▶ 처방예 대황자충환(大黃炙蟲丸).

▶호골(虎骨)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일반적으로 호경골(虎脛骨)을 중용(重用)한다. 무겁고 견실(堅實)하며 황백색의 잔육(殘肉)이 없는 동북호(東北虎)가 좋다.
▶ 용도,성능 :일반적으로 호경골(虎脛骨)을 중용(重用)한다. 무겁고 견실(堅實)하며 황백색의 잔육(殘肉)이 없는 동북호(東北虎)가 좋다.
▶ 효능: 진정, 진통, 진경약으로서 류마티즈성 관절염(關節炎), 통풍(痛風), 사지경련(四肢痙攣), 경풍(驚風), 전간(癲癎) 등에 응용한다. 또한 골근(骨筋)을 강장(强狀)하게 하기 위해서나 치루에도 쓴다.
▶ 용량 :10∼15g.
▶ 금기 :혈허화성(血虛火盛)하면 삼가 쓴다.
▶ 수치 :초제(醋製), 유제(油製), 주제(酒製), 산풍한(散風寒), 건근골(健筋骨).
▶ 처방예 호잠환(虎潛丸), 호골목과주(虎骨木瓜酒).

▶아교(阿膠)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외형(外形)은 평정(平正)하고 윤이 나며 반투명(半透明)하고, 건조품(乾燥品)은 굳어서 여름에도 연해지지 않고, 단면(單面)은 유리같이 광택이 있고, 물에 잘 녹고 수용액(水溶液)이 투명에 가까운 것이 좋다. 산동성동아현(山東省東阿現), 산동아교(山東阿膠)가 유명하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감미(甘味)하고 자음양혈(滋陰養血), 보폐윤조(補肺潤燥), 지혈안태(止血安胎)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자양강장(滋養强壯), 지혈약(止血藥) 으로서 허로해수(虛勞咳嗽), 폐위토농(肺胃吐膿), 음허혈소(陰虛血小), 심번실면(心煩失眠), 태동불안(胎動不安), 빈혈(貧血) 미치 일체의 출혈성질환(出血性疾患) 등에 응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비위허약(脾胃虛弱), 구토설사(嘔吐泄瀉) 및 소화불량(消化不良)하면 쓰지 않는다.
▶ 수치: 합분초(蛤粉炒)-윤(潤)폐화담(化痰), 지해지혈(止咳止血).
포황초(蒲黃炒)-활혈(活血), 지혈(止血), 화어(華語), 붕루제증(崩漏諸症)에 쓴다.
▶ 처방예 아교산(阿膠散), 아교작약탕(阿膠芍藥湯), 궁귀교애탕(芎歸膠艾湯), 황련아교탕(黃連阿膠湯), 자감초탕(炙甘草湯), 저령탕(猪笭湯).

▶모려(牡蠣)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패각(貝殼)이 크고 고르며 안쪽에 광택이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함미(鹹味), 깔깔하고, 자음잠양(滋陰潛陽), 화담연견(化痰軟堅), 고색(固色)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제산(諸山), 지갈(止渴), 지한(止汗), 진정약(鎭靜藥)으로서 골증(骨蒸), 유정(遺精), 붕대(崩帶), 자한(自汗), 도한(盜汗), 위산과다증(胃酸過多症) 등에 응용한다.
▶ 용량 10∼20g.
▶ 금기: 허한(虛汗) 하면 쓰지 않는다.
▶ 수치
①생용(生用)-안신(安神), 평간(平肝),
②단용-수삽, 연견(軟堅), 제산(制酸), 제습지사(除濕止瀉), 지허한(止虛汗), 자신수(滋腎水), 고태(古態), 색정(色精).
▶ 처방예 금쇄고정환(金鎖固精丸), 모려산(牡蠣散), 시호가룡모탕(柴胡加龍牡湯), 계지가룡모탕(桂枝加龍牡湯), 시호강계탕(柴胡姜桂湯).

▶사향(麝香)
 
▶ 산지 :한국, 중국, 네팔, 부탄.
▶ 선품 :질이 유연하고 유성(油性)이 있으며, 당문자(當門子)가 많고,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신미(辛味)하고, 개규(開窺), 벽예, 통락(通絡), 산어(散瘀)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흥분(興奮), 강심(强心), 진경(鎭痙), 진정(鎭靜), 배농(排膿), 해독약(解毒藥)으로서 신혼(神昏)하여 헛소리를 하거나, 소아경간(小兒驚癎), 신경쇠약증(神經衰弱症), 심복통(心腹痛), 타박손상(打撲損傷), 기타 위급한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임부는 쓰지 않는다.
▶ 수치 사향인(麝香仁)을 향랑에서 꺼내서 연세(硏細)하여 쓴다.
▶ 처방예 육신환(六神丸).

▶영양각(羚羊角)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 용도,성능: 성한(性寒), 감미(甘味)하고, 평간식풍(平肝熄風), 진정안신(鎭靜安神), 산혈해독(散血解毒)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진정(鎭靜), 해열(解熱), 항염증약 으로서 고열(高熱)에 의한 두통(頭痛), 헛소리, 경련(痙攣), 축닉 등 증상에 응용한다. 혈압강하작용(血壓降下作用)이 있기 때문에 고혈압증(高血壓症), 뇌일혈(腦溢血), 뇌막염(腦膜炎) 등에도 쓰인다.
▶ 용량 1.5∼3g
▶ 금기 :간경(肝經)에 열이 없으면 쓰지 않는다.
▶ 수치 :골한(骨寒)을 제거하고 방편을 만들거나 극세분(極細粉)을 만들어 쓴다.
▶ 처방예 영양각산(羚羊角散).

▶반모(斑毛)
 
▶ 산지 :중국.
▶ 선품 :충체(蟲體)가 크고 황색(黃色) 화반(花盤)이 있으며, 색이 선명하고 완정(完整)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신미(辛味) 유독(有毒)하고, 공독(攻毒), 축어(逐瘀)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자극 발포약(發泡藥)으로서 외용 되고 있다. 악창(惡瘡), 나력, 정독에 유효(有效)하며, 광견(狂犬)의 교상(咬傷)에 찹쌀과 볶은 반모를 분말(粉末)로 해서 내복하면 좋다고 하는데, 실제로 응용된 일은 적다.
▶ 용량 :외용- 연말. 내복- 초자(硝子) 연말(涎沫), 0.03∼0.05g.
▶ 금기 :체허자(體虛者) 및 임부는 쓰지 않는다.
▶ 수치: 머리와 날개를 제거하고 찹쌀과 볶아서 쓴다.
▶ 처방예 반묘통경환(斑猫通經丸).

▶서각(犀角)
 
▶ 산지 :오서각(烏犀角)-인도, 미얀마, 타이, 인도네시아 등지. 수서각(水犀角)-아프리카, 인도네시아, 말레이반도
▶ 선품: 흑색(黑色) 광택이 있으며, 고르고 열문(裂紋)이 없으며 기미(氣味)가 청풍(淸風)한 것이 좋다. 방편에 깨알 같은 꽃무늬가 있는 것이 좋다. 오서각(烏犀角)은 수서각(水犀角)에 비해서 값이 크게 비싸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고(苦), 산(酸), 함미(鹹味)이고 청열(淸熱)양혈(養血), 해독(解毒)정경(定驚)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解熱), 진통, 해독, 지혈약(止血藥)으로서 경광(景光), 번조(煩燥), 헛소리, 반진, 토혈(吐血), 하혈(下血)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1∼3g.
▶ 금기: 임부는 쓰지 않는다.
▶ 수치: 방편이나 극세분(極細粉)해서 생용(生用)한다.
▶ 처방예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

▶용연향(龍涎香)
 
▶ 산지: 북위(北緯) 40도에서 남위 40도에 이르는 난해(暖海), 태평양과 남양군도의 각 섬해안에서 산출.
▶ 선품 :흑갈색(黑褐色)이며 질(質)이 가볍고, 이것을 태우면 유아(幼兒)한 향기가 나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삽(性澁), 감미(甘味), 기성(氣腥)하며 화담(化痰), 개규(開窺), 이기(利氣), 활혈(活血), 산결, 지통(止痛)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진경(鎭痙), 개규약(開竅藥)으로서 해천(咳喘), 기역, 신혼기민(新昏氣悶), 심복제통(心腹諸痛)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0.3∼1g.
▶ 금기 :풍한천역(風寒喘逆)하면 쓰지 않는다.
▶ 수치: 빻아서 쓴다. 향료(香料)로서 고급 향료의 고정제(固定劑)가 된다. 약용(藥用)으로서는 진경약(鎭痙藥)으로서 사향(麝香)과 비슷한 효과가 있으며 드물게 사용된다.
▶ 처방예

▶백강잠(白鱇蠶)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살찌고 질이 굳으며 희고 단면에 광택이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함신미(鹹辛味)하고 거풍화담(祛風化痰)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진정(鎭靜), 진경약(鎭痙藥)으로서 풍습병(風濕病), 경간(驚癎), 요각 냉통(腰脚冷痛), 후비(喉痺), 유선염(乳腺炎), 단독(丹毒), 나력, 결핵(結核)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외사(外邪)가 없거나 여자 붕중(女子崩中)은 쓰지 않는다.
▶ 수치
①생용(生用)- 거풍 해경(祛風解痙), 화담 산결(化痰散結),
②밀부초(蜜 炒)-성기(腥氣)를 없애고 병자의 위부 자극(胃部刺戟)을 감소하며 건위 작용(健胃作用)이 있다.
③초황(炒黃)-체표(體表)의 세균 포자(細菌砲子)를 사균(死菌)이라 하고, 이독공독(以毒攻毒)의 효능을 조장한다.
▶ 처방예 백강잠산(白鱇蠶散).

▶별갑(鼈甲)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배갑(背甲)이 크고 두꺼우며 잔육(殘肉), 부취미(腐臭味)가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함미(鹹味)하며 자음잠양(滋陰潛陽), 연견산결(軟堅散結), 소징가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解熱), 강장(强狀), 구어혈약(驅瘀血藥)으로서, 노열 골증(勞熱骨蒸), 음허 풍동(陰虛風動), 소아 경간(小兒驚癎), 늑하 견경(肋下堅硬), 징가 경폐(經閉)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10∼12g.
▶ 금기 :비약 설사(脾弱泄瀉) 하거나 임부는 쓰지 않는다.
▶ 수치 :생용(生用)- 자음 잠양(滋陰潛陽). 초자(醋炙)-연견산결(軟堅散結).
▶ 처방예 :진교별갑산(鼈甲散), 황기별갑산(黃耆鼈甲散), 변제심기음(變製心氣飮).

▶우황(牛黃)
 
▶ 산지: 한국, 오스트레일리아, 남미, 북미.
▶ 선품 :부순 단면에 적갈색 내지 황갈색의 연륜(年輪)같은 층문(層紋)이 규칙 바르게 있고, 씹으면 매끄러워 끈적거리지 않고 완전히 녹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고미(苦味)하며 청심(淸心), 화담(化痰), 이담(利痰), 진경(鎭驚)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심(强心), 진정(鎭靜), 해열(解熱), 진경약(鎭痙藥)으로서 신지 혼미(新志昏迷), 경간(驚癎), 후비 옹저 정창(喉痺癰疽 瘡), 열병(熱病)의 헛소리 등의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150∼400m (丸·散).
▶ 금기 :영분(營分)에 열이 없거나 임부는 쓰지 않는다.
▶ 수치: 연마(硏磨)하여 극세말(極細末)로 하고 환·산제(丸·散劑)에 배오(拜晤)한다.
▶ 처방예 :안궁우황환(安宮牛黃丸), 우황청심환(牛黃淸心丸).

▶갈근(葛根)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뿌리는 비대하며 질은 견실하고 색이 희며 분성이 풍부하고 점유성이 적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 맛은 달고 맵다. 해기승양(解肌升陽), 투진지사(透疹止瀉), 제번지갈(除煩止渴) 의 효능이 있다.
▶ 효능: 발한, 해열, 진경제 로서 열성분, 감기, 항척강급(項脊强急), 두통, 설사, 혈리(血痢), 온학(溫?), 두진 초기, 주독(酒毒)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7g
▶ 금기 :음허화왕(陰虛火旺) 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해표(解表), 투진(透疹), 생진(生津), 외갈근- 발한(發汗)작용을 경감하고 위기를 보(補)하는 작용이 있으며 지사(止瀉) 에 이용한다.
▶ 처방예: 갈근탕, 갈근황금황련탕, 승마갈근탕, 승마갈근홍화탕, 독활갈근탕.

▶천독활(川獨活)
 
▶ 산지: 중국
▶ 선품 : 주근이 비대한 것으로 질은 유연하고 무거우며 외피는 갈색∼회갈색으로 향기가 농후 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이 맵고 거풍(祛風), 승습(勝濕), 산한(散寒), 지통(止痛)효과가 있다.
▶ 효능 :해열, 진경, 구풍약(驅風藥)으로서 풍한습비(風寒濕脾), 요슬동통, 관절염 등 증세에 이 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음허화왕(陰虛化旺)인 사람과 고열이 있고 오한(惡寒)이 오지 않은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횡절편(橫切片)으로 하여 생용한다.
▶ 처방예 :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독활갈근탕(獨活葛根湯)

▶감수(甘遂)
 
▶ 산지: 중국
▶ 선품 :뿌리가 비대하며 외면 백색~ 황백색으로 단편은 분성이 풍부하며 섬유 가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 맛은 쓰며 유독하다. 수음(水飮)을 쏟게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이수(利水), 준하약(峻下藥)으로 면목(面目)부종(浮腫), 수종(水腫), 복(腹)만, 각기종통(脚氣腫痛), 담음,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1.5~3g
▶ 금기: 허약자와 임부는 금할 것.
▶ 수치 :생용- 습열종독증(濕熱腫毒症)에 이용된다 초초, 외제, 두부찜- 독성을 경감시킨다. 감초와 길경의 섞어찜- 구토의 부작용을 없앤다.
▶ 처방예 :십조탕, 대황감수탕, 공연단, 대함흉탕,

▶감초(甘草)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질이 견실하고 외면은 갈색이며 분성이 풍부하며 단면은 황백 색으로, 단 것이 좋다. 용도,성능: 성 평, 맛은 달다. 비위를 보하며 윤 폐, 청 열, 해독, 제약을 조화하는 효능이 있다.
▶ 용도,성능 :성평, 맛은 달다. 비위를 보하며 윤 폐, 청 열, 해독, 제약을 조화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완화, 완해, 진해, 진통, 거담제 로서 근육의 급격한 긴장에 따른 동통 등 급박증세을 완해 하며 위경련, 위통, 인후 통, 위궤양, 12지장궤양 등에 응용한다.
▶ 용량 1.5~10g
▶ 금기: 실증 중에서 만복창자 는 금할 것.
▶ 수치: 생용: 사화해독 완급지통 에 이용되며 인후 통, 옹저종독, 소아태독 증 을 낫게 한다. 초용: 건 비위, 원기를 돕는다. 초초: 심 번, 트림, 구토를 치료한다. 밀자: 보중익기, 교미교취 작용이 있다. 감초 초: 이수 약으로서 다른 엽물과 배합해서 사용된다.
▶ 처방예 : 사군자탕, 감초건강탕, 감맥대조탕, 자감초탕, 감초사심탕, 조위승기탕.

▶천오두(川烏頭)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자근(子根)이 비대하여 수염뿌리가 없으며 질은 단단하고 충실하며 속이 꽉찬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대숙(性大熟), 맛은 달고 시다. 유독(有毒)하며 회양구역(回陽救逆), 산한지통(散寒止 痛)에 효과가 있다.
▶ 효능: 대사기능의 회복, 신체사지관절(身體四肢關節)의 마비, 동통 등의 회복, 허약 체질자의 복통, 설사, 실정(失精)등 내장제기관의 이완에 따라 일어나는 증상의 부활 등에 흔히 이용된다. .
▶ 용량 2∼5g.
▶ 금기: 음허양항(陰虛陽亢)증세인 사람과 임부는 금할 것
▶ 수치: 포부자( 附子), 제천오(製川烏), 황부편(黃附片)등은 그 독성을 완화하기 때문이다.
▶ 처방예 : 통영사역탕(通四逆湯), 계지가출부탕(桂枝加朮附湯), 감초부자탕(甘草附子湯), 사역탕(四逆湯), 진무탕(眞武湯), 팔미지황탕(八味地黃湯)

▶고본(藁本)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형태가 고르고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 맛은 맵고 풍한습사를 발산시키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진통, 진정제로서 두통, 풍습관절 통, 복중급통, 설사개선 등의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음허내열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 처방예 : 강활방풍탕

▶고삼(苦蔘)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황금색으로 맛은 쓴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 맛은 쓰다. 청열, 조습, 이뇨, 거풍, 살충 효능이 있다
▶ 효능:고미건위, 해열, 이뇨제로서 혈리, 황달, 소변불리, 악창, 개선 등에 이용한다. 또 구충제로서 이용한다. 전제를 만성인 습진, 한진 등에 외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위한 증세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잘라서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생용 한다. 주침: 악창 을 고친다. 단초: 장풍을 고친다. 주초: 시증열결을 고친다. 초초: 소복열통 을 고친다. 초탄: 지혈.
▶ 처방예 고삼탕, 당귀패모고삼환료, 소풍산, 삼물황금탕.

▶파극천(巴戟天)
 
▶ 산지: 중국
▶ 선품 :뿌리가 비대하여 연주형(連珠形)을 이루고 살은 두텁고 색은 보라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보신(補腎), 강장약으로서 임퍼텐쯔 풍습각기(風濕脚氣), 요슬동통(腰膝疼痛), 한냉에 의한 불임증 등에 이용된다. 용량: 5∼10g.
▶ 효능
▶ 용량 5∼10g.
▶ 금기: 음허화왕(陰虛火旺), 대변조결(大便燥結)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목심을 제거하고 7단으로 잘라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염수제( 水製): 보신(補腎)작용 을 증강시킨다. 감초물찜: 감완독성(減緩毒性), 주초(酒炒): 풍습(風濕)을 흩어버린다.
▶ 처방예: 환소단(還小丹), 이선탕(二仙湯)

▶괄루근(括樓根)
 
▶ 산지 :중국. ▶ 선품
①괄루피: 껍질이 두껍고 연함 주름이 잡혀 있으며 등황색, 살은 흰색으로 단맛이 있는 것이 좋다.
② 괄루인: 알이 정돈되어 있고, 포만하며 유성이 풍부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①괄루실: 한(寒), 고(苦), 윤폐(潤肺), 화담(化痰), 산결(散結).
②괄루인; 한, 감(甘), 윤폐, 화담, 활장(滑腸), 옹종(擁腫).
③괄루피: 한, 고, 감, 청열(淸熱), 화담, 이기(利氣).
▶ 효능
①괄루실: 담열해수(痰熱咳嗽), 소갈(消渴), 결흉(結胸).
②괄루인: 담열해수, 변비.
③괄루피: 담열해수, 인통(咽痛), 토혈.
▶ 용량
▶ 금기
▶ 수치
▶ 처방예
①괄루실: 괄루(括樓)해백반하탕(白半夏湯).
②괄루인: 괄루지실탕(括樓枳實湯).
③괄루피: 발성산(發聲散).

▶시호(柴胡)
 
▶ 산지 :중국
▶ 선품 :뿌리가 비대하고 길며 껍질은 가늘고 곁뿌리가 적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맛은 쓰다. 해표화해(解表和解), 퇴열승양(退熱升陽), 해울(解鬱), 조경(調經)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 해독, 진통, 소염제로서 소양병한열왕래(小陽病寒熱往來), 입이 쓰고, 흉협고만 (胸脇苦滿), 두현구토(頭眩嘔吐), 월경불순, 학질( 疾)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음허화왕자(陰虛火旺者)는 금할 것.
▶ 수치 :생용: 외감(外感)에 해표제(海表劑)로 서 이용된다. 초제(炒製): 발산작용을 난화한다 밀제(蜜製): 보중(補中)작용을 강화하고 윤폐(潤肺), 지해(止咳)에 이용된다. 주제(酒製) :행혈통경(行血通經)작용을 강화하고 혈허(血虛)를 고친다. 초제(醋製):서간(舒肝), 활혈, 지통(止痛)의 열량을 강화시킨다. 별혈초(鼈血炒): 자음(滋陰)작용이 있으며 노열기열 (勞熱肌熱)을 낫게한다.
▶ 처방예 :소시호탕(小柴胡湯), 소요산(逍遙散), 대시호탕(大柴胡湯).

▶현삼(玄蔘)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뿌리는 비대하고 껍질은 간르고 질은 유연하며 짙은 검정색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맛은 쓰고 짜다. 자음강화(滋陰降火), 제번지갈(除煩止渴), 해독, 윤조 활장(潤燥滑腸)효능이 있다.
▶ 효능 :소염(消炎), 자양(滋養), 치창제(治瘡劑)로서 열병번갈(熱病煩渴), 인후종통(咽喉腫痛), 옹종(癰腫), 나력, 변비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비허(脾虛), 설사하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사화해독(瀉火解毒), 이인(利咽), 염제, 자음(滋陰)작용을 증강시킨다.
▶ 처방예 : 현삼승마탕(玄蔘升麻湯), 증액탕(增液湯), 현삼탕(玄蔘湯)

▶길경(吉梗)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뿌리는 단단하고 색은 희며 맛이 쓴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온 맛은 쓰고 맵다. 폐기를 통하고 풍한 을 흩어버리며 진해, 거담, 배농 효능이 있다.
▶ 효능:진해, 거담제로서 외감해수, 흉만복통, 기관지염, 화농성질환, 인후통, 편도선염 등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음허해수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선폐거담, 배농소종, 이인지통 에 이용한다. 밀자: 윤폐작용이 있으며 풍한해수, 구해에 이용된다 초용: 성이 정상으로 된다.
▶ 처방예 : 길경탕, 길경백산, 십미패독탕, 배농탕, 배농산, 인삼패독산

▶단삼(丹參)
 
▶ 산지 :중국
▶ 선품 :뿌리가 비대하며 색은 붉고 가는뿌리가 없으며 질이 결실되어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 맛은 쓰다. 거어생신, 활혈조경, 배농생기 효능이 있다.
▶ 효능 :활혈, 조경,소종, 진통제라서 월경불순, 복통, 경폐, 악조복통, 류우마티즘 등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어혈이 없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절편 을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활혈거어, 양혈. 초탄: 지혈. 미초: 화위. 주초: 약효를 증강시킨다. 별혈반: 간에 들어가서 피돌림을 촉구한다. 저혈반: 정신을 안정시킨다.
▶ 처방예 : 단삼음.

▶홍아대극(紅芽大戟)
 
▶ 산지: 중국
▶ 선품: 뿌리는 붉은 보라색으로 비대하며 견실하고 수염뿌리가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달고 쓰고 맵다. 수음담연(水飮痰涎)을 구축(驅逐)하여 종만(腫滿)을 지우는 효능이 있다.
▶ 효능: 해독, 요창(療瘡) 이수제(利水劑)로서 흉배요협동통(胸背腰脇疼痛), 건구(乾嘔), 수종(水 腫), 담음(痰飮), 나력, 종독(腫毒)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1.5∼3g.
▶ 금기 :허한음수자(虛寒陰水者)나 임부는 금할 것
▶ 수치 :생용(生用): 공사(功瀉), 통결체(痛結滯): 소종산결(消腫散結)<外用>. 외제, 초제 (醋製): 독성을 감소하여 행수(行水)작용을 돕는다.
▶ 처방예 : 십조탕(十棗湯), 공연단(控涎丹).
▶당귀(當歸)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주근은 크고 길며 곁뿌리가 적으며 단면은 황백 색으로 기미가 농후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맛은 달고 시다. 보혈, 활혈, 윤조활장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온성의 구어혈, 진정, 진통, 강장약으로서 빈혈증, 복통, 신체동통, 월경불순, 옹저태독등의 증세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비습중만인 사람 및 설사하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보혈윤장 주제:통경활혈 밀제: 윤장통변 작용을 증강한다. 제탄: 지혈지리, 귀두: 지혈, 귀신: 보혈, 양혈, 귀미: 파혈거어, 행혈, 전용: 활혈, 화혈, 토초: 건비, 단초: 활혈, 지통,
▶ 처방예 : 사물탕(四物湯), 당귀음자(當歸飮子), 당귀작약산(當歸芍藥散),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 귀기건중탕(歸耆建中湯), 궁귀교애탕(芎歸膠艾湯), 을자탕(乙字湯).

▶우슬(牛膝)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뿌리가 굵고 길며 껍질은 가늘고 견실하고 담황색으로 질이 유연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맛은 쓰고 시며 생품(生品)은 파혈행어(破血行瘀) 숙품(熟品)은 간신(肝腎) 을 보하고 근골(筋骨)을 강화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이뇨(利尿), 강정 및 통경약으로서 생용은 경폐(經閉), 임질, 요혈(尿血), 옹종(擁腫), 난산(難産)에 이용되며, 숙용(熟用)은 요슬동통, 위약( 弱)을 낫게 한다.
▶ 용량 5∼10g.
▶ 금기 :비허설서(脾虛泄瀉)중인 사람과 임부는 금할 것.
▶ 수치 :생용: 하행(下行)하여 파혈행어(破血行瘀)작용이 있다. 배용(焙用), 초용(抄用), 자보(滋 補) 작용이 있다. 주제(酒製): 통경(通經), 활혈(活血)작용을 증강시킨다. 염제( 製): 근골(筋骨)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증가한다.
▶ 처방예 : 우슬산(牛膝散), 우차신기환(牛車腎氣丸), 소경활혈탕(疏經活血湯).

▶황기(黃耆)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뿌리가 굵고 길며 주름이 적다. 질이 단단하고 면상(線狀)에 분성(粉性)이 풍부하고 맛이 단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이 달고 보기고표(補氣固表), 이뇨탁창(利尿托瘡)효과가 있다.
▶ 효능 :지한(止汗), 이뇨, 강장약으로서 자한(自汗), 빈혈, 소화불량, 마비동통, 체종(體腫), 소변불리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 ∼10g.
▶ 금기: 지한(止汗), 이뇨, 강장약으로서 자한(自汗), 빈혈, 소화불량, 마비동통, 체종(體腫), 소변불리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수치: 생용: 고표(固表), 탁창(托瘡), 이수(利水), 이비(利痺)에 이용된다. 밀자(蜜炙): 보기건 비(補氣健脾), 염제( 製): 보신(補腎), 주제(酒製): 보허(補虛).
▶ 처방예 : 방이황기탕(防已黃耆湯), 황기계지오물탕(黃耆桂枝五物湯), 황기건중탕(黃耆建中湯), 옥병풍산(玉屛風散), 계지가황기탕(桂枝加黃耆湯)

▶울금(鬱金)
 
▶ 산지: 천옥금: 중국, 은옥금: 중국.
▶ 선품: 천옥금: 달걀형으로 외면은 옅은갈색∼황록색, 은옥금: 외면은 회색, 내면은 회백색으로 찌면 흑회색으로 바뀌고 방추형(紡錘形)으로 길게 편압(扁壓)시킨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쓰고 달고 맵다. 양혈파어(凉血破瘀), 행기해울(行氣解鬱) 효능이 있 다.
▶ 효능: 건위진통, 지혈, 통경약(通經藥)으로서 흉복통(胸腹痛), 토혈, 육혈( 血), 요혈(尿血), 황달, 담석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음허(陰虛)하고 어체(瘀滯)가 없거나 임부는 금할 것
▶ 수치: 생용(生用): 행기해울(行氣解鬱) , 양혈파어(凉血破瘀), 초제(炒製): 고한(苦寒)의 성질 을 억제한다. 초초(醋炒): 혈기의 상충(上沖)을 낫게한다. 주초(酒炒): 행기(行氣)작용을 증진시킨다.
▶ 처방예 : 울금산(鬱金散). 백금환(白金丸)
▶원지(遠志)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살이 두텁고 색은 희며, 질은 유연하고 목심(木心)이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쓰다. 익지안신(益智安 ), 산울화담(散鬱火痰), 소옹종(消癰腫)의 효 능이 있다.
▶ 효능: 진정, 거담, 항염증제(抗炎症劑)로서 경계건망(驚悸健忘), 다몽실면(多夢失眠), 한담해 수(寒痰咳嗽), 옹종(癰腫)등에 이용한다. 또 자궁 수축 작용이 있다.
▶ 용량 3∼5g.
▶ 금기: 음허(陰虛)하고 어체(瘀滯)가 없거나 임부는 금할 것
▶ 수치 :심신(心腎)에 실화(實火)가 있는 사람과 음허영항자(陰虛陽亢者)로 침포(浸泡)한 다음 목심(木心)을 제거하고 초항(炒港)하여 이용한다. 감초수제(甘草水製): 해독, 조중(調 中), 밀자(蜜炙): 습윤(濕潤)과 안신작용을 증강시킨다. 주반(朱拌): 안신작용을 증강시킨다. 초흑(炒黑): 지혈, 부초: 온성(溫性)을 제거한다.
▶ 처방예: 정지환(定志丸),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귀비탕(歸脾湯)

▶황기II(黃耆)
 
▶ 산지 :한국
▶ 선품
① 흑피기(黑皮耆): 외면은 옅은 흑색∼회색, 단면의 둘레에 담황색원형의 무늬가 있다. 산지에 따라 면황기(綿黃耆), 면기(綿耆), 충기(沖耆), 정구기(正口耆)등의 상품명이 있다.
② 백피기(白皮耆): 외면이 옅은 황색∼토황색 황단면의 둘레에 옅은 황색, 중심은 선황색으 로 질이 단단하고 달다. 조기(條耆), 장기(壯耆), 대람기(大嵐耆), 혼원기 (渾源耆)등 상품명이 있다.
③ 진기(晋耆): 천기(川耆), 홍기(紅耆)라고도 하며 속황기(束黃耆)라고 부르기도 한다. 회면 은 적갈색, 내면은 분백색(粉白色)으로 분성(粉性)이 풍부하다.
④ 가공 후: 규격에 따라 충정기, 정(正), 부(副) 포대기 정, 부소피(小皮)등으로 나뉘어진다.
▶ 용도,성능 : 보기승양,고표지한,익기고표,이수소종,자한,도한,혈비,유종,보중익기,내상노권, 비허설사, 기허헐탈,탁독배농
▶ 효능 :손발이 차고 아프며 힘이없고,대변이 묽게 나오는사람,식은땀을 많이 흘리고 입이 마르는사람,수명을 연장하는 작용
▶ 용량
▶ 금기 : 구판,백선피,방풍과 같이 사용하지 않는다.
▶ 수치
▶ 처방예 : 황기건증탕,게지가황기탕,황기게지오물탕,가미귀비탕

▶인삼(人蔘)

▶자근(紫根)
 
▶ 산지: 중국
▶ 선품: 연자근(軟紫根): 뿌리는 비대하고 잔뿌리가 없으며 짙은 붉은보라색으로 질은 연한 것 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달고 짜며, 양혈화혈(瘍血和血), 해독활장(解毒滑腸), 투진(透疹)효과 가 있다.
▶ 효능 해열, 해독, 항염증제(抗炎症劑)로서 마진예방(麻疹豫防)에 내복하며 연고(軟膏)로서 육아발생(肉芽發生)을 촉진하여 종양(腫瘍), 화상, 동상, 습진, 수포(水胞)들 외용으로 쓰인다.
▶ 용량 5∼10g.(달여서 마신다.)
▶ 금기 위장허약, 대변활설(大便滑泄)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혈열자(血熱者), 주배(酒焙): 비허자(脾虛者)
▶ 처방예 자운고(紫雲膏), 자근모려탕(紫根牡礪湯)

▶목향(木香)
 
▶ 산지: 한국, 중국, 버어바, 인도.
▶ 선품: 질이 충실하며 향기가 짙고 황백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쓰고 맵다. 건비화위(健脾和胃), 소간해울(疏肝解鬱), 조기지통 (調氣止痛), 안태(安胎)효능이 있다.
▶ 효능: 방향성 건위, 구풍(驅風), 강심(强心), 거담, 이뇨제로서 기관지성천식(氣管支性喘息), 흉복창통(胸腹脹痛), 구토설사, 후중증(後重症)에 좋다.
▶ 용량 1.5∼5g.
▶ 금기: 음허진액(陰虛津液) 부족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이기제(理氣製)로서 행기지통(行氣止痛)에 이용된다. 황련초제(黃連炒製): 이질 (痢疾)을 낫게한다. 외제: 지사(止瀉), 지갈(止渴)에 이용된다.
▶ 처방예: 목향빈랑환(木香檳 丸), 향사이진탕(香砂二陳湯), 향련환(香連丸).

▶자원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뿌리가 길고 보라색이며 질은 유연하고 경묘(莖苗)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달고 쓰다. 온폐(溫肺), 하기(下氣), 청담(淸痰), 지수(止嗽)효과가 있다.
▶ 효능: 진해, 거담, 이뇨약으로서 해수, 각혈, 소변단적(小便短赤), 천식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음허폐열(陰虛肺熱) 증세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선폐소담(선폐소담). 밀제(蜜製): 윤폐작용(潤肺作用)이 있으며 음허(陰虛)의 해 수(咳嗽)에 이용된다. 초제(炒製): 온폐(溫肺)작용을 증강시킨다.
▶ 처방예: 자원산(紫 散), 지수산(止嗽散)

▶적작(赤芍)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뿌리는 비대하고 외피는 잘 벅겨 지며 주름무늬가 있다. 단면(斷面)은 백색으로 분성 (粉成)이 풍부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량(性 ), 맛은 시고 쓰다. 행어(行瘀), 지통, 양혈( 血), 소종(消腫)효능이 있다.
▶ 효능:활혈산어(活血散瘀), 청열양혈제(淸熱凉血劑)로서 혈열망행(血熱妄行), 경폐(經閉), 창옹종독(瘡癰腫毒)등 기어혈제(氣瘀血劑) 작용을 증강시킨다. 초적작(炒赤芍): 양성(凉性)을 완화시킨다.
▶ 용량
▶ 금기
▶ 수치
▶ 처방예 : 독활기생탕(獨活妓生湯), 소역활혈탕(疏經活血湯), 백질려산(白 藜散)

▶백미(白薇)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뿌리는 황갈색으로 비대하며 단면은 황백색으로 충실(充實)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 효능 :해열, 이뇨약으로서 음허발열(陰虛發熱)과 졸중(卒中) 환자의 사지부종(四肢浮腫)등의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혈허(血虛)와 설사중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生用) 또는 청초(淸楚), 밀제(蜜劑)하여 이용한다. 생용(生用): 청열양혈(靑熱 血) 밀제(蜜劑): 외감발열((外感發熱), 해수에 이용한다
▶ 처방예 : 백미탕(白米湯), 죽피대환(竹皮大丸).

▶전호(前胡)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뿌리는 비대하며 단면은 황백색으로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맛은 쓰고 맵다. 선산풍열(宣散風熱), 지해소담(止咳消痰), 하기(下氣)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 거담, 진통제로서 풍열해수(風熱咳嗽), 구역(嘔逆), 천식, 흉협창만(胸脇脹滿)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실열(實熱)이 없거나 외감(外感)이 없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生用): 선산풍열(宣散風熱) 밀자(蜜炙): 윤폐강기화담(潤肺降氣化痰)작용이 있다
▶ 처방예 :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형방패독산(刑防敗毒散)

▶지유(地楡)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질이 단단하고 껍질이 암적색(暗赤色)으로 내면분적색(內面粉赤色)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맛은쓰다. 양혈지혈( 血止血), 사화염창(祠火 瘡)효능이 있다.
▶ 효능: 수렴지혈제(收斂止血劑)로서 혈리(血痢), 치루(痔瘻), 혈붕, 토혈, 각혈( 血), 하혈, 월 결과다, 대변출혈 등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허한(虛寒)증세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두툼한 절편을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일체의 혈증(血症), 탕상(  傷), 지유탄(地楡炭): 지혈, 양혈( 血), 초초(醋炒): 붕루(崩漏), 혈리(血痢)를 낫게 한 다.
▶ 처방예 : 지유환(地楡丸)

▶백작(白灼)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뿌리가 굵고 길며 질은 결실하고 분성(粉性)이 풍부하며 표면이 깨끗하고 광택이 있 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맛은쓰고 시다. 유간지통(柔肝止痛), 양혈염음, 소변을 이롭게 하는 효 능이 있다.
▶ 효능 :진경(鎭痙), 진통, 통경약(通經藥)으로서 복부산통(腹部疝痛), 장기경련성동통(腸肌痙戀 性疼痛), 복통사리(腹痛瀉痢), 요협동통(腰脇疼痛), 월경불순, 붕루대하(崩漏帶下), 자한 (自汗), 소변불리 등의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허한복통설사(虛寒腹痛泄瀉)가 있는 사람. 흉만(胸滿)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평간(平肝). 초백작(炒白芍):양혈화간(養血和肝), 통혈맥지통(通血脈止痛), 염음 외백작( 白芍): 한성(寒性)을 제거하고 인약상행(引藥上行)하여 활혈(活血)작용을 증강 시킨다. 또 기분을 좋게 하며 혈열(血熱)을 가라앉힌다. 토초백작(土炒白灼): 지통건비 (止痛健脾). 초백작(焦白灼): 붕중하혈(崩中下血) 혈어복통(血虛腹痛)을 낮게 한다. 초초 백작(醋炒白灼): 유간(柔肝)작용을 증강한다.
▶ 처방예 :당귀작약산(當歸芍藥散), 작약탕(芍藥湯), 사물탕(四物湯), 사역산(四逆散), 작약감초 탕(芍藥甘草湯), 계지가작약탕(桂枝加芍藥湯).

▶지황(地黃)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뿌리는 비대하며 질이 단단하고 무거우며 단편에 유광(油光)이 있고 맛은 단 것이 좋 다.
▶ 용도,성능 :성대한(性大寒), 맛은 달고 쓰다. 사화(瀉火), 생진(生津), 양혈( 血)효능이 있다. 건지 황(乾地黃): 성한(性寒), 맛은 달고 쓰며 자보양혈(滋補養血)효능이 있다. 숙지황(熟地 黃): 성미온(性微溫), 맛은 달고 자보양음보혈(滋補養陰補血)효능이 있다.
▶ 효능: 선지황(鮮地黃): 상한(傷寒), 온역(溫疫), 반진(斑疹), 혈열진고(血熱津枯), 토육(吐 ), 하혈, 혈붕(血崩)등 증세에 이용된다. 건지황(乾地黃): 혈허발열, 월경불순,, 태동불안 (胎動不安), 혈열망행(血熱忘行), 토혈, 육혈( 血), 혈붕 등 증세에 이용된다. 숙지황 (熟地黃): 태산붕루(胎産崩漏), 소갈(消渴), 음허해수(陰虛咳嗽), 기서(氣瑞), 혈허(血虛)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비위허한자(脾胃虛寒者)는 금할 것
▶ 수치 :두툼한 절편을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일체의 혈증(血症), 탕상(  傷), 지유탄(地楡炭): 지혈, 양혈( 血), 초초(醋炒): 붕루(崩漏), 혈리(血痢)를 낫게 한다.
▶ 처방예: 지유환(地楡丸)

▶진교(秦 )
 
▶ 산지: 중국
▶ 선품: 뿌리가 굵고 살이 두터우며 유성(油性)이 있으며 색은 황갈색, 맛은쓴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맛은 쓰고 맵다. 산풍거습(散風 濕), 화혈서근(和血舒筋), 청열이뇨(淸熱利 尿)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 진통, 이뇨제로서 감기, 류우마티즘 등의 관절통, 사지(四肢)의 마비, 굴신불리 (屈身不利), 황달, 허로발열(虛勞發熱), 혈변(血便), 소변불리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음허혈조(陰虛血燥)와 변이 묽은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날것으로 또는 볶아서 사용한다.
▶ 처방예 : 진교방풍탕(秦 防風湯), 진교별갑산(秦 別甲散), 진교강활탕(秦 姜活湯), 대진교탕

▶산두근(山豆根)
 
▶ 산지 :중국
▶ 선품: 뿌리는 비대하며 분성(粉性)이 풍부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이쓰다. 청화(淸火), 해독, 소종(消腫), 지통(止痛)효능이 있다.
▶ 효능: 해독: 진통. 항종옹제(抗腫癰劑)로서 황달, 치질, 천만열해(喘滿熱咳) 인후종통(咽喉腫 痛), 개선(疥癬)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10g
▶ 금기 :비위허한설사(脾胃虛寒泄瀉)인 사람은 금할 것 .
▶ 수치: 절편을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 처방예 : 산두근탕(山豆根湯)

▶방풍(防風)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뿌리는 비대하며 껍질이 가늘고 단단하며 질은 유연하고 살이 두툼하며 자윤(滋潤)상 태로 단면은 황백색으로 중심은 황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달고 맵다. 해표(海表), 거풍, 승습(勝濕) 효능이 있다.
▶ 효능 발한(發汗), 해열, 거담, 진통제로서 감기, 두통, 골절동통, 사지련급(四枝攣急), 파상풍 (破傷風), 목적창양(目赤瘡瘍)등의 증세(症勢)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음허화황자(陰虛化皇者)나 감기기운이 없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해표(解表), 거풍습, 해경(解痙). 초용(炒用): 지사거풍(止瀉 風). 방풍탄 (防風炭): 지혈(止血). 주초(酒炒): 지한(止汗).
▶ 처방예 : 진교방풍탕(秦 防風湯),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십미패독탕(十味敗毒湯), 옥병풍산 (玉屛風散) 청상방풍탕(淸上防風湯).

▶천문동(天門冬)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비대하고 황백색으로 윤기가 있으며 반투명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대한(性大寒), 달고 쓰다. 자음윤조(滋陰潤燥), 청열화담(淸熱化痰)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 진해, 이뇨, 강장약으로서 폐통허로(肺痛虛勞), 해수(咳嗽), 토혈, 각혈( 血) 소갈 (消渴), 통풍, 심장병수종(心臟病水腫)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1.5∼10g.
▶ 금기: 비위허한(脾胃虛寒) 증세 및 설사 중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껍질을 벗기고 물에 띄어서 씻은후 볕애 바래고 말려서 절단하여 생용한다. 밀자(蜜 炙): 윤폐지해(潤肺止咳)작용을 증진시킨다. 주천동(朱天冬): 윤폐화담(潤肺化痰), 지갈 안신 (止渴安 )작용이 있다.
▶ 처방예: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 청폐탕(淸肺湯)

▶서양삼(西洋蔘)
 
▶ 산지 :중국
▶ 선품 :미국, 캐나다, 프랑스가 주요 산지임. 중국 강서성에서 인종재배(引種栽培)
▶ 용도,성능: 성량(性 ), 맛은 달고 약간쓰다. 폐음(肺陰)을 보하고 허화(虛火)를 가라앉히며 생진 지갈(生津止渴) 효능이 있다.
▶ 효능: 양음생진제(養陰生津劑)로서 허열번권(虛熱煩倦), 구갈소진(口渴小津), 폐허구수(肺虛久 嗽), 실혈(失血) 치통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3∼5g.
▶ 금기: 위에 한습(寒濕) 증세가 있는 사람은 금할 것. 수치(修治): 쇄건( 乾)하여 날것으로 이용한다.
▶ 수치: 연마하여 분말(粉末) 또는 절편(切片)으로 만들어서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
▶ 처방예: 석곡(夕哭), 맥동(麥冬), 사삼(沙蔘)과 배합하여 열병상음(熱病傷陰), 혀열구갈(虛熱口 渴)을 낫게 한다. 사삼(沙蔘). 맥동(麥冬), 천패(川貝), 지모(知母)와 배합하여 폐병음 허발열(肺病陰虛發熱), 해수해혈(咳嗽咳血)을 낫게 한다.

▶백부(百部)
 
▶ 산지: 중국
▶ 선품: 뿌리가 비대하고 황백색인 것이좋다.
▶ 용도,성능: 성미온(性微溫), 맛은 달고쓰다. 온윤폐기(溫潤肺氣), 지해(止咳), 살충효능이 있다.
▶ 효능: 진해, 살충재로서 풍한해수(風寒咳嗽), 백일해 , 폐결핵, 노년해천(老年咳喘), 회충,요충, 피부개선(皮膚疥癬), 습진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10g.
▶ 금기 :열수자(熱嗽者)는 금할 것.
▶ 수치 :요충병, 회충에 이용한다. 초제(炒製): 조성(燥性)을 제거한다. 밀자제(蜜炙製) 윤폐지해(潤肺止咳) 작용이 있다.
▶ 처방예: 백부산(百部散), 지수산(止嗽散).

▶초오두[草烏頭]
 
▶ 명칭: 초오두[草烏頭]
▶ 산지: 초오계열의 약은 대부분 중국산이며 우리나라 종은 보통 근연종으로 사용되고 있으 며 그 종류가 매우 많으므로 사용에 신중해야 하며 특히 모든 종들이 거의 모두가 독성이 강하고 부작용이 심하고 잘못되는 경우에는 목숨을 잃을 수도 있으므 로 함부로 사용하는 것을 절대 금기사항이다
▶ 선품: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이삭바꽃의 동속 근연종의 괴경이다
▶ 성능: 맛은 쓰고 달며 약성은 온화하다.
▶ 효능: 중풍으로 다리를 쓰지 못하는 데, 파상풍 ·류머티즘성관절염 ·신경통 등과 배가 차서 아픈 데 쓴다. 두통이 심할 때 쓰면 진통효과도 있다
▶ 용량 하루에 2~4g씩 달여서 마시거나 환약 ·가루약으로 만들어 먹는다
▶ 금기 반하(半夏) ·과루인(瓜蔞仁) ·백렴(白) ·백급(白)과 등과 함께 쓰지 않는다.
▶ 수치
▶ 처방예: 법제(法製)한 것을 하루에 2~4g씩 달여서 마시거나 환약 ·가루약으로 만들어 먹는다.외용약(外用藥)으로 쓸 때는 법제하지 않은 것을 가루로 만들어 기초제에 개어서 붙이거나 식초 ·술에 불려 갈아서 바른다.

▶속단(續斷)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질이 단단하고 부러지기 쉬우며 외면은 갈색, 내면은 회녹색인 것이 좋다. .
▶ 용도,성능: 성미온(性微溫), 맛은 쓰고 맵다. 간장을 보하고 근골(筋骨)을 강화하며 혈맥을 통하고 관절을 이롭게 하며 지통(止痛), 안태(安胎)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 진통, 지혈약으로서 요배통(腰背痛), 타박에 의한 염증, 붕루(崩漏), 유정(遺精), 옹양(癰瘍), 근골절단동통(筋骨折斷疼痛)등 증세에 이용한다. 또 조직의 재생을 도와 서 유즙분비(乳汁分泌)를 촉진하고, 지혈작용이 있다.
▶ 용량 5∼10g.
▶ 금기 :음허화왕(陰虛火旺)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 주초: 약효를 증강. 초용: 붕루를 치료. 염제: 하초를 치료.
▶ 처방예 : 속단환(續斷丸).

▶백지(白芷)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주근(主根)이 비대하고 분성(粉性)이 풍족하며 질은 단단하고 무거우며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고 해표(解表), 거풍(擧風), 승습(勝濕), 활혈배농(活血排膿), 생기지 통(生肌止痛)효과가 있다.
▶ 효능: 진정, 진통, 해표, 정혈약( 血藥)으로서 두면제질(頭面諸疾), 두통, 유행성감기, 비연 (鼻淵), 장풍(腸風), 적백대하(赤白帶下), 옹저(癰疽), 피부조양(皮膚燥痒)등 증세에 이 용된다.
▶ 용량 3∼7g.
▶ 금기 :음허혈열(陰虛血熱)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주근(主根)을 물에 씻고 석회와 버무려서 바래고 말린 뒤 생용한다.
▶ 처방예 : 창이산(蒼耳散), 오적산(五積散), 탁리소독음(托裏消毒飮), 청상방풍탕(淸上防風湯).

▶하수오(何首烏)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질(質)이 알차고 외면은 흑색, 이면(裏面)은 붉고 분성(粉性)이 있으며 맛은 약간 쓴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온(性微溫), 맛은 달고 쓰다. 보간(補肝), 익신(益腎), 양혈(養血), 거풍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 강정, 보혈, 사하제(瀉下劑)로서 정혈(精血)부족, 요슬동통(腰膝疼痛), 유정(遺精), 대하(帶下), 백모(白毛)등에 이용한다
▶ 용량 10∼15g.
▶ 금기 :대변당설자(大便 泄者) 및 습담(濕痰)이 있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 윤장통변(潤腸通便), 소독창(消毒瘡), 증열(蒸熱): 증액자보(增液滋補), 제수오(製 首烏): 보간신(補肝腎), 보혈 작용이 현저하다. 흑드증주자(黑頭蒸酒炙): 약력(藥力)을 돕고 경락(經絡)을 통한다
▶ 처방예 : 하인음(何人飮), 당귀음자(當歸飮子)

▶오약(烏藥)
 
▶ 산지 :중국
▶ 선품 :연주형(連珠形)으로 질이 연하며 분성(紛性)이 풍부하고 횡단면이 담갈색을 나타내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이 맵고 순기관창(順氣寬脹), 소식지통(消食止痛), 산한온신(散寒溫腎)효 능이 있다.
▶ 효능 :방향성 건위, 진통, 진경제(鎭痙劑)로서 흉협창통(胸脇脹痛), 복부냉통(腹部冷痛), 반위 토식(反胃吐食), 위와 방광의 허한(虛寒) 때문에 생긴 소변빈수(小便頻數), 유뇨(遺尿) 등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기허(氣虛)하며 내열(內熱)이 있는 사람은 금할 것. .
▶ 수치 :절편(切片)으로 만들로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염수초: 신(腎)에 들 어가서 온신축뇨(溫腎縮尿)를 돕는다. 주부초(酒 炒): 이기(利氣)작용을 증강시킨다.
▶ 처방예 :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 궁귀조혈음(芎歸調血飮), 행기향소산(行氣香蘇散).

▶삼칠(三七)
 
▶ 산지: 중국
▶ 선품: 뿌리는 비대하고 견실하며 질은 무겁고 껍질은 가늘며 단면은 흑갈색으로 찢겨진 흔 적이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달고 약간쓰다. 행어(行瘀), 지혈, 소종(消腫), 정통(定痛)효능이 있다.
▶ 효능: 지혈, 진통, 보혈, 강장, 소염제(消炎劑)로서 토혈육혈(吐血 血) 혈리혈붕(血痢血崩), 옹종금창(擁腫金瘡)등 중세에 이용한다.
▶ 용량 :전탕(煎湯): 5∼10g. 연말(硏末): 1.5∼3g.
▶ 금기
▶ 수치: 연마하여 분말(粉末) 또는 절편(切片)으로 만들어서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
▶ 처방예 : 운남백약(雲南白藥)

▶홍삼(紅蔘)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뿌리는 비대하고 곁뿌리가 적으며 , 색은 홍색으로 촉촉한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크기에 따라 구분하며 예를 들면 1근(600g)에 몇 개가 달리느냐 그 개수에 따라 24근(根), 32근, 48근, 64근, 80근 등으로 나뉘어 진다.
▶ 용도,성능: 인삼의 항 참조. 홍삼은 보제(補劑)로 이용되며, 기허(氣虛)하고 사지가 궐냉(厥冷)하여 추위를 겁내는 사람과 양허(陽虛)증상인 사람에게 이용된다
▶ 효능
▶ 용량

▶당삼(糖蔘)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단일(單一)뿌리로 비대하고 길며, 색은 흰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맛은 달다. 보중익기(補中益氣), 생진지갈(生津止渴)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진해, 거담, 건위, 이뇨, 강장약으로서 병후의 허약, 해수, 사지무력, 식욕부진, 번갈(煩 渴)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실사(實邪)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1.5∼3cm길이로 잘라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밀자제(蜜炙製): 보중(補中)작용을 증강시킨다. 미초제(米炒製): 화위건비(和胃健脾) 작용이 있다. 적석지초제(赤石脂炒製): 보비(補脾)작용을 증가시킨다. 부피초제( 皮炒製): 약성이 윤화(潤和)하고 건비(健脾) 작용이 있다.
▶ 처방예: 삼기안위산(蔘耆安胃散).

▶세신(細辛)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뿌리는 회황색, 잎은 녹색, 맛은 맵고 혀를 마비시키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이 맵고 산한(散寒), 행기(行氣) 효능이 있다.
▶ 효능: 진해, 진통, 거담, 해열, 발한약으로서 풍한풍습(風寒風濕)의 두통, 풍습비통(風濕脾痛), 담음(痰飮), 치통, 비연(鼻淵), 구설생창(口舌生瘡), 음허해수(陰虛咳嗽) 증세인 사람은 금할 것
▶ 용량
▶ 금기
▶ 수치: 진해, 진통, 거담, 해열, 발한약으로서 풍한풍습(風寒風濕)의 두통, 풍습비통(風濕脾痛), 담음(痰飮), 치통, 비연(鼻淵), 구설생창(口舌生瘡), 음허해수(陰虛咳嗽) 증세인 사람은 금할 것
▶ 처방예 : 소청룡탕(小靑龍湯) 마황부자세신탕(麻黃附子細辛湯), 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 당귀 사역탕(當歸四逆湯)

▶황금(黃芩)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뿌리가 비대하며 질이 견실하고 황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쓰다, 습열(濕熱)을 제거하고 실화(實火)를 제거하며, 지혈, 안태(安 胎)효능이 있다.
▶ 효능: 소염, 해열, 이뇨제로서 폐열해수(肺熱咳嗽), 사리복통(瀉利腹痛), 습열황달(濕熱黃疸), 두통, 목적종통(目赤腫痛), 옹저(癰疽), 정창, 태동불안(胎動不安), 급성위장염, 호흡기감염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3∼6g.
▶ 금기 :비위허한(脾胃虛寒), 습열실화(濕熱實火)가 없는 사람은 금한다
▶ 수치 :생용: 청열사화(淸熱瀉火), 초황금(炒黃芩): 한성(寒性)을 완화하고 안태(安胎)에 이용 한다. 주초황금(酒炒黃芩): 상초(上焦)의 습열(濕熱)을 가라앉힌다. 강즙초(薑汁炒): 청열거담 부초: 고한(苦寒) 때문에 위를 손상시키는 일을 경감시킨다. 황금탄(黃芩炭): 청열지혈(淸熱止血)
▶ 처방예: 황금탕(黃芩湯), 보기건중탕(補氣建中湯), 삼황사심탕(三黃瀉心湯),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소시호탕(小柴胡湯), 갈근황금황련탕(葛根黃芩黃連湯), 황토탕(黃土湯), 삼물황금탕(三物黃芩湯)

▶맥문동(麥門冬)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외면이 옅은 황백색으로 비대하며 질은 유연하고 향기가 있으며 맛도 달다. 씹으면 점액이 나오는 것이 좋다. 척강성에서 재배후 3년째 채취한 것을 천맥동(川麥冬)이라 부른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맛이 달고 약간 쓰다. 청심윤폐(淸心潤肺), 양위생진(養胃生津),화담지해(化淡止咳)효능이 있다.
▶ 효능: 진해(鎭咳), 거담, 강장약으로서 조해토혈(燥咳吐血), 구건조갈(口乾燥渴), 열병진 상(熱炳津傷), 변비 등의 증세에 이용한다. 또 상기(上氣) 기운이 있는 사람에 대하여 강심이뇨(强心利尿) 효과가 있다.
▶ 용량 5∼10g.
▶ 금기: 비위허한(脾胃虛寒), 설사하는 사람은 금할 것.
. ▶ 수치 :생용: 양약으로서 이용한다. 거심(去心): 제번(除煩). 미초(米炒): 양성을 난화한 다. 주반맥동(朱拌麥冬): 정심안신(定心安神).
▶ 처방예 : 맥문동음자(麥門冬飮子), 맥문동탕(麥門冬湯), 생맥산(生麥散), 증액탕(增液湯), 자감 초탕(炙甘草湯).

▶광방이(廣防已)
 
▶ 산지
▶ 선품: 뿌리는 비대하며 조세가 균일하며 질 이 단단하고 무거운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 맛은 쓰고 맵다. 거풍행수, 하초의 혈분, 습열 을 발산시키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이수, 진통제로서 수종풍종, 관절동통, 옹종악창, 각기습종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습열이 없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절단하여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날것으로 이용한다 청습열. 주세: 하초의 습종 및 동통을 제거하고 또는 방광에 화사 가 있는 것. 초제: 풍습을 제거한다.
▶ 처방예 : 방이복령탕, 방이황기탕.

▶ 용담(龍談)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색은 짙은 황색으로 비대하며 유연하고 맛이 쓴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쓰고 간담(肝談)의 실화(實火)를 가라앉히고 하초(下焦)의 습열(濕熱) 을지우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진정(鎭靜), 해열, 정장(整腸), 고미건위제(苦味健胃劑)로서 소화기의 충혈, 요도염, 신 염(腎炎), 방광염, 황달, 류우마티즘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3∼5g.
▶ 금기: 비위(脾胃)가 허약하여 설사하는 사람과 습열실화(濕熱實火)가 없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생용(生用): 하행(下行). 주초(酒炒): 상행(上行). 밀초(蜜炒): 중행(中行). 저담즙반초(猪 膽汁拌炒): 강화(降火)가 빨라진다.
▶ 처방예 :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소경활혈탕(疎經活血湯).

▶가자(訶子)
 
▶ 산지 :인도, 버마, 말레지아, 태국, 중국.
▶ 선품 :황갈색으로 윤기가 있으며, 질이 충실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쓰고 시고 떫다. 염폐(斂肺), 색창, 하기(下旗) 효능이 있다.
▶ 효능: 수렴(收斂), 지혈, 전해제로서 만성 후두염, 후두 결핵, 장출혈, 치루 출혈, 부녀자궁출혈, 만성 자궁염, 대하(帶下), 이질, 구해천급(久咳喘急), 실음(失音)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해수(咳嗽) 이질(痢疾) 초기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빻아서 부수고 생용 한다. 염폐강화(斂肺降火)에 이용한다. 부피반초초(皮拌炒焦), 외제- 색장지사(腸止瀉)에 이용된다.
▶ 처방예 : 가자음(訶子飮).

▶백질려(白膣黎)
 
▶ 산지: 중국.
▶ 선품 :과립(顆粒)이 정돈되어 있으며 포만 견실하고 회백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쓰고 맵다. 산풍(散風), 명안(明眼), 하기(下氣), 행혈(行血)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 강정제로서 임포텐스, 유정(有情), 유뇨(遺尿), 허로(虛勞), 안암(眼暗)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10∼12g.
▶ 금기: 혈허기약자(血虛氣弱者) 및 임부는 금할 것.
▶ 수치: 경자(硬刺)를 제거한다.
생용- 두통을 고친다, 초황(炒黃)- 안질을 고친다, 염수초- 보신 작용을 강화한다.
▶ 처방예 : 백질려산(白 黎散), 당귀음자(當歸飮子).

▶대복피(大腹皮)
 
▶ 산지: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 선품: 황백색으로 질이 유연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온(性微溫), 맛은 맵다, 하기관중(下氣寬中), 행수(行水)등 효능이 있다.
▶ 효능: 이뇨, 건위, 정창제(整脹劑)로서 완복비창(脘腹 脹), 설사, 수종각기(水腫脚氣), 소변불리, 입덧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기허체약자(氣虛體弱者)는 금할 것.
▶ 수치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생용(生用)한다.
주세(酒洗), 감초수세(甘草水洗)- 그 독성을 제거한다.
▶ 처방예: 도수복령탕(導水茯笭湯), 오피음(五皮音), 분소탕(分消湯).

▶괄루(括樓)
 
▶ 산지: 중국.
▶ 선품
①괄루피: 껍질이 두껍고 연함 주름이 잡혀 있으며 등황색, 살은 흰색으로 단맛이 있는 것이 좋다.
② 괄루인: 알이 정돈되어 있고, 포만하며 유성이 풍부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①괄루실: 한(寒), 고(苦), 윤폐(潤肺), 화담(化痰), 산결(散結).
②괄루인; 한, 감(甘), 윤폐, 화담, 활장(滑腸), 옹종(擁腫).
③괄루피: 한, 고, 감, 청열(淸熱), 화담, 이기(利氣).
▶ 효능
①괄루실: 담열해수(痰熱咳嗽), 소갈(消渴), 결흉(結胸).
②괄루인: 담열해수, 변비.
③괄루피: 담열해수, 인통(咽痛), 토혈.
▶ 용량
▶ 금기
▶ 수치
▶ 처방예
①괄루실: 괄루(括樓)해백반하탕(白半夏湯).
②괄루인: 괄루지실탕(括樓枳實湯).
③괄루피: 발성산(發聲散).

▶복분자(覆盆子)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위과(僞果)는 크며 포만하고 알이 정돈되고 결실하여 회록색으로 엽경(葉梗)이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달고 시다. 보간신(補肝腎), 축소변(縮小便), 조양(助陽), 고정(固精), 명안(明眼)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 강정제로서 임포텐스, 유정(有情), 유뇨(遺尿), 허로(虛勞), 안암(眼暗)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소변단색불리 및 양강(陽强)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과병(果柄)을 제거하고 생용, 단초용(單炒用), 주반증용(酒拌蒸用), 염수증용(水蒸用)으로 이용한다.
▶ 처방예 : 오자연종환(五子衍宗丸).

▶대추(大棗)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적색으로 살이 두껍고 포만하며 핵이 작으며 맛이 단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달다. 보비화위(補裨和胃), 익기생진(益氣生津), 조영위(調營衛) 효능이 있다.
▶ 효능: 완화, 강장, 이뇨제로서 기혈진액부족(氣血津液不足), 영위불화(營衛不和), 심계증충, 비약변탕(脾弱便糖), 복통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10∼15g.
▶ 금기: 습담(濕痰) 및 적체(積滯), 심하비(心下肥)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핵을 제거하고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빻고 부수어서 증열(蒸熱)하여 이용 한다. 가공차(加工差)에 따라 홍조(紅棗), 흑조(黑棗)로 나누지만 일반적으로 홍조를 약용한다.
▶ 처방예 : 십조탕(十棗湯), 감맥대조탕(甘麥大棗湯), 소건중탕(小健中湯).

▶괴각(槐角)
 
▶ 산지 :중국.
▶ 선품: 열매가 비대하고 길며, 황록색으로 포만 충실하고 질은 유연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쓰다. 청열(淸熱), 윤간(潤肝), 양혈(凉血), 지혈 효능이 있다.
▶ 효능: 지혈, 강압제로서 장풍사혈(腸風瀉血), 지출혈, 붕루(崩漏), 혈리(血痢), 심흉번민(心胸煩悶), 고혈압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6∼15g.
▶ 금기: 비위허한자(脾胃虛汗者) 및 임부는 금할 것.
▶ 수치
①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생용한다.
②초용(炒用)- 청열양혈(淸熱凉血) 작용이 있으며, 지혈, 탈항(脫肛)에 이용된다.
③초탄(炒炭)- 지치창지혈(止痔瘡止血).
④밀자(蜜炙)- 윤장(潤腸).
▶ 처방예 : 괴각환(槐角丸).

▶사군자(使君子)
 
▶ 산지: 중국.
▶ 선품 :열매가 크고 포만하며 종인(種仁) 은 흰색으로 맛이 달고 유성을 띠는 것이 좋다. 복진성산이 가장 우수하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달다. 건비(健脾), 살충, 소적(消積) 효능이 있다.
▶ 효능 :구충, 건위제로서 소아감적(小兒疳積), 회충복통, 복창(腹脹), 사리(瀉痢)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6∼10g.
▶ 금기: 껍질을 제거하고 종인(種仁)을 분말로 만들어서 생용, 또는 종인을 청초(淸炒) 또는 열매를 염수초용으로 사용한다.
▶ 수치 :껍질을 제거하고 종인(種仁)을 분말로 만들어서 생용, 또는 종인을 청초(淸炒) 또는 열매를 염수초용으로 사용한다.
▶ 처방예 : 사군자환(使君子丸).

▶마두령(馬兜鈴)
 
▶ 산지: 중국.
▶ 선품 :열매가 크고 회록색이며 종인(鍾仁)은 유백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쓰다. 청폐강기(淸肺降氣), 화담지해(化痰止咳)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 거담, 진해제로서 폐기상역(肺氣上逆), 폐열해혈(肺熱咳血), 각혈, 치루 종통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5g.
▶ 금기: 담음해천(痰飮咳喘) 및 비약변설(脾弱便泄)인 사람은 삼가서 사용할 것.
▶ 수치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생용(生用)한다. 청폐지해(淸肺止咳).
밀자- 윤폐(潤肺)효능이 있다. 또 고설성(苦泄性)을 완화시킨다.
▶ 처방예 : 마두령산(馬兜鈴散).

▶구기자(枸杞子)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알맹이가 크고 살이 두껍고, 씨앗이 적으며 색은 붉고 질은 유연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맛은 달다. 자신(滋腎), 윤폐(潤肺), 보간(補肝), 명안(明眼)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약으서 현기증, 다루(多漏), 소갈, 영양불량성안질, 당뇨병 등에 이용 된다.
▶ 용량 5∼10g.
▶ 금기: 외사실열(外邪實熱)이 있거나 설사 중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제나 경(梗)을 제거하고 생용한다.
▶ 처방예 : 기국지황환(杞菊地黃煥).

▶사상자(蛇床子)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과립(顆粒)이 충실하고 회황색으로 기미가 짙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쓰고 맵다. 온신조양(溫腎助陽), 거풍조습, 살충 효능이 있다.
▶ 효능: 수렴성소염제로서 남성의 임포텐스, 습양(濕痒), 개선(疥癬)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3∼10g.
▶ 금기 :하초(下焦)에 습열이 있거나 신음(腎陰)부족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생용- 내복하면 온신장양(溫腎壯陽) 효능이 있으며, 임포텐스나 불임증에 이용된다.
②외용- 살충, 제습열(除濕熱) 효능이 있어 음도적충병(陰道滴蟲病)과 완선(頑癬)에 이용된다.
▶ 처방예 사상자탕(蛇床湯子).

▶만형자(蔓荊子)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과피의 외부가 백막(白膜)으로 덮여 있으며 방향이 있고 맛은 매운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맛은 쓰고 맵다. 소산풍열(疏散風熱), 청리두안(淸利頭眼)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 청량, 진통약으로서 신경성 두통, 감기, 현운(眩暈), 치통, 풍습근골통(風濕筋骨痛), 소화불량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혈허유화(血虛有火)의 두통안현(頭痛眼眩) 및 위허(胃虛)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초제(炒製)- 그 신산성(辛酸性)을 감하고 두안(頭眼)의 열을 제거한다.
▶ 처방예 : 강활백지산(羌活白芷散), 익기총명탕(益氣聰明湯), 청상견통탕(淸上肩痛湯).

▶귤피(橘皮)
 
▶ 산지: 한국, 중국<광진피(廣陣皮), 복귤(福橘), 주귤(朱橘), 화주귤피(化州橘皮)>.
▶ 선품 :껍질이 얇고, 색은 붉으며 유윤(油潤)하고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광진피(廣陣皮)의 품질이 가장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고 쓰다. 이기(理氣), 건비(健脾), 조습(燥濕), 화담(化痰) 효능이 있다.
▶ 효능: 방향(芳香), 구풍(驅風), 진해제로서 심복창만동통(心腹脹滿疼痛), 식욕부진, 구토, 복사(腹瀉), 해수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3∼10g.
▶ 금기 :음허구갈(陰虛口渴) 증세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초제(炒製)- 개위(開胃) 및 약성(藥性)을 완화 한다.
▶ 처방예 : 이진탕(二陣湯), 평위산(平胃散), 귤피지실생강탕(橘皮枳實生薑湯), 귤피탕(橘皮湯), 귤피죽녀탕(橘皮竹茹湯).

▶산사자(山飼子)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북산사(北山飼): 위과(僞果)가 크고 껍질이 붉고 살이 두터운 것이 좋다. 산동성의 임순(臨洵), 소수가 산출량이 많고 품질도 최량이다. 남산사(南山飼):: 색이 붉고 질이 견실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달고 시다. 파기(破氣), 소적(消積), 화담(化痰), 행어(行瘀) 효능이 있다.
▶ 효능: 소화, 지사(止瀉), 구어혈(驅瘀血), 진정제로서 소화불량, 음식적체, 흉복비만(胸腹肥滿), 산기, 월경통, 산후의 악조(惡阻) 등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비위허약자는 금할 것.
▶ 수치
①생용- 어혈(瘀血)을 제거하고 혈압을 강하한다.
②초초(炒蕉)- 식적(食積)을 해소시킨다.
초탄(炒炭)- 수렴, 지혈리(止血痢).
▶ 처방예 계비탕(啓脾湯), 가미평위산(加味平胃散).

▶맥아(麥芽)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질이 충실하고 아(芽)가 완정(完整)상태이며 유황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달고 짜다. 화중건위, 소식제만(消食除滿) 효능이 있다.
▶ 효능 :소화, 건위제로서 식적(食積), 완복창만(腹脹滿), 식욕부진 등에 이용한다.
▶ 용량 10∼12g.
▶ 금기
①생용- 하유(下乳), 소식(消食), 초용(炒用)- 건비도체(健脾導滯).
②초향(炒香)- 개위제번(開胃除煩), 초초(炒蕉)- 회유(回乳).
③부초( 炒)- 소식도체(消食導滯) 효능을 증강시킨다.
▶ 수치
▶ 처방예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목과(木瓜)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열매가 크고 껍질에 주름이 있으며 적자색인 것이 좋다. 선목과(宣木瓜)는 질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시고 깔깔하다. 평간화위(平肝和胃), 거습서근(祛濕舒筋) 효능이 있다.
▶ 효능 :흥분, 강장, 진통, 산미수렴제(酸味收斂劑)로서 풍습통(風濕痛), 각기, 수종(水腫), 이질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장위(腸胃)에 적체(積滯)가 있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수중에서 거품을 일구어 부드럽게 한 뒤 쪄서 1∼2㎜ 두께로 잘라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생용(生用)한다.
▶ 처방예 :목과환(木瓜丸), 계명산(鷄鳴散).

▶산수유(山茱萸)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가지가 없으며, 피육은 비후하며 색은 빨갛고 유윤(油潤) 상태인 것이 좋다. 항유육(杭萸肉)이 품질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용도,성능: 성미온(性微溫), 맛은 시고 깔깔하다. 간신(肝腎)을 보하고 정기를 도우며 허탈(虛脫)에서 벗어나게 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자양, 강장, 수렴제로서 임포텐쓰, 유정(遺精), 요슬동통(腰膝疼痛), 소변빈수, 자한(自汗), 월경과다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명문화치(命門火熾), 습열이 있거나, 소변불리한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주증(酒蒸)- 온신익정(溫腎益精)의 약효를 증가시킨다.
▶ 처방예: 육미환(六味丸), 팔미지황환(八味地黃丸).

▶오미자(五味子)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적자색으로 알이 굵고 살이 두꺼우며 유성(油性) 및 윤기가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시고 짜다. 염폐자신(斂肺滋腎), 생진염한(生津斂汗), 지사색정(止瀉 精) 효능이 있다.
▶ 효능 :진해, 수렴, 지사(止瀉), 자양, 강장제로서 해수천급(咳嗽喘急), 구갈, 자한(自汗), 도한(盜汗), 유정, 구사구리(久瀉久里)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1.5∼3g.
▶ 금기: 외부에 표사(表邪)가 있으며 내부에 실열(實熱)이 있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생용(生用)- 수약(嗽藥), 허화(虛火)를 고친다.
②숙용(熟用)- 보약.
③주제(酒製)- 자신(滋腎).
④초제(醋製)- 염폐(斂肺).
⑤밀제(蜜製)- 윤폐(潤肺).
▶ 처방예 : 소청룡탕(小靑龍湯), 생맥산(生脈散), 사신환(四神丸),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영감강미신하인탕(羚甘薑味辛夏仁湯).

▶백두구(白豆寇)
 
▶ 산지: 베트남, 스리랑카, 인도, 태국.
▶ 선품 :열매가 크고 충실하며 껍질은 얇고 기미(氣味)가 짙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다. 행기(行氣), 난위(暖胃), 소식(消食), 관중(寬中)등 효능이 있다.
▶ 효능: 방향성건위(芳香性健胃), 구풍(驅風), 진구제(鎭嘔劑)로서 위통, 애기, 토역(吐逆), 소화불량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1.5∼3g.
▶ 금기: 음허혈조(陰虛血燥), 한습(寒濕)이 없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사용시에 부셔서 생용한다.또는 과피(果皮)를 제거하고 볶아서 이용한다.
▶ 처방예 : 삼인탕(三仁湯),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

▶산치자(山梔子)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과립이 정돈되어 있고 내외의 색은 붉은 것이 좋다. 척강성산이 가장 우수하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이 쓰다, 청열(淸熱), 사화(瀉火), 양혈(凉血), 이소변(利小便) 효능이 있다.
▶ 효능: 소염, 지혈, 이담, 해열, 진정제로서 열병심번(熱病心煩), 황달, 임질, 혈림(血淋), 소갈(消渴), 안적열증(眼赤熱症), 토혈육혈(吐血肉血), 혈리하혈(血痢下血)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3∼10g.
▶ 금기: 비위허한인 사람과 습열과 울화(鬱火)가 없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생치자(生梔子)- 청열사화력(淸熱瀉火力)이 강하다,
②초산치(炒山梔)- 청열사화, 양혈에 이용한다.
③치자탄(梔子炭)- 토혈육혈, 혈리(血痢)를 고친다.
④강즙초(薑汁炒)- 지번구(止煩嘔).
⑤염수초- 허화(虛火)를 제거한다.
⑥거피(去皮)- 사심화(瀉心火),
⑦유피(留皮)- 사폐화(瀉肺火),
⑧용인(用仁)- 치내열(治內熱),
⑨용피(用皮)- 치표열(治俵熱).
▶ 처방예 :치자대황탕(梔子大黃湯), 치자고탕(梔子鼓湯), 지실치자고탕(枳實梔子鼓湯),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

▶오수유(吳茱萸)
 
▶ 산지 :중국.
▶ 선품 :열매가 포만하고 색은 녹색으로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쓰고 맵다. 산한(散寒), 온중(溫中), 조습(燥濕), 하기(下氣), 개울(開鬱) 효능이 있다.
▶ 효능: 방향성고미건위(芳香性苦味健胃), 구풍(驅風), 지통제(止痛劑)로서 구토탄산(嘔吐呑酸), 두통, 설사, 완복창만(脘腹脹滿), 산통(疝痛), 각기, 변비, 소화불량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1.5∼3g.
▶ 금기: 음허하고 열이 있으며 한습(寒濕)이 없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비수포(沸水泡)- 신랄미(辛辣味)를 경감시킨다.
②감초수제(甘草水製)- 신열성(辛烈性)을 경감시킨다.
③주초(酒炒)- 활혈(活血), 초초(醋炒)- 평간(平肝),
④염초- 신(腎)에 들어가서 산통을 고친다.
⑤황련초(黃連炒)- 지구(止嘔), 강즙제(薑汁製)- 축한진통(逐寒鎭痛).
⑥단초(單炒)- 하기강역(下氣降逆).
▶ 처방예 : 오수유탕(吳茱萸湯), 사신환(四神丸), 계명산(鷄鳴散), 온경탕(溫經湯), 좌금환(左金丸),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

▶팔각회향(八角茴香)
 
▶ 산지: 중국, 인도, 베트남.
▶ 선품: 열매가 크고 적갈색으로 기름이 많으며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남녕팔각(南寧八角)이 품질이 가장 좋다고 한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고 달다. 온양(溫陽), 산한(散寒), 이기(理期), 지구(止嘔) 효능이 있다,
▶ 효능 :교미(矯味), 구풍(驅風), 흥분제로서 해수, 흉복 냉통, 구토, 한습 각기, 신허(腎虛), 요통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3∼5g.
▶ 금기 음허화왕(陰虛火旺)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과병잡질(果柄雜質)을 제거하고 생용 한다.
②미초용(微炒用)- 각기, 요통을 고친다.
▶ 처방예 : 회향환(茴香丸).

▶석련자(石蓮子)
 
▶ 산지: 중국.
▶ 선품 :색이 검고 충실하며 질은 무겁고 단단한 것이 좋다. 호남산품이 가장 우수하다.
▶ 용도,성능
①석련자(石蓮子): 한(寒), 고(苦), 청심제번(淸心除煩).
②연육(蓮肉): 평(平), 감(甘), 양위고정(養胃固精).
③연(蓮芯): 한(寒), 고(苦), 해열안심(解熱安心).
▶ 효능
①석련자(石蓮子): 구금(口芩).
②연육(蓮肉):구사(久瀉), 몽정(夢精), 하혈(下血).
③연(蓮芯): 심번(心煩), 구갈(口渴), 토혈(吐血).
▶ 용량
①석련자(石蓮子): 5∼10g.
②연육(蓮肉): 5∼10g.
③연(蓮芯): 1.5∼3g .
▶ 금기
▶ 수치 :연육(蓮肉)을 날것으로 이용- 양위청심(養胃淸心), 익은 것을 이용하면- 지설고정(止泄固精) 효능이 있다.
▶ 처방예
*일반적으로는 껍데기와 심(芯)을 제거하고 연육(蓮肉)으로서 이용한다.
①석련자(石蓮子): 개금산(開芩散).
②연육(蓮肉): 청심련자음(淸心蓮子飮).
③연(蓮芯): 청궁탕(淸宮湯).

▶용안육(龍眼肉)
 
▶ 산지: 중국.
▶ 선품 :괴편(壞片)이 크고 살이 두터우며 질은 유연하며 황갈색, 반투명으로 맛은 단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달다. 심비(心脾)를 이롭게 하며 기혈을 보하고 안신(安神)효능이 있다.
▶ 효능: 진정, 자양강장제로서 허로(虛勞), 불면, 건망(健忘), 경계(驚悸)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6∼15g.
▶ 금기: 담화(痰火)가 있거나 구토중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핵(核)과 외피를 제거하고 사용한다. 증숙(蒸熟)- 씹으면 생진(生津) 작용이 있다.
▶ 처방예 :귀비탕(歸脾湯).

▶필발(苾撥)
 
▶ 산지: 중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인도.
▶ 선품: 열매가 비대하고 질이 단단하며 맛이 짙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대온(性大溫), 맛은 맵다. 온중(溫中), 산한(散寒), 하기(下氣), 지통(止痛) 효능이 있다.
▶ 효능 :방향성건위, 조미(調味), 진통, 지사제(止瀉劑)로서 심복냉통(心腹冷痛), 구토, 탄산(呑酸), 복명설사(腹鳴泄瀉), 두통, 비연(鼻淵), 치통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1.5∼3g.
▶ 금기 :폐비(肺脾)에 실열(實熱), 울화(鬱火)가 있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햇볕에 바래서 가루로 만들어서 생용한다. 초침(醋浸)- 폐(肺)가 상처 입는 것을 방지한다.
▶ 처방예 : 이신환(二神丸).

▶시제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적갈색으로 질이 두텁고 맛은 떫다. 표면에 시상(枾霜)을 띠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쓰고 떫다. 온중(溫中), 하기(下氣) 효능이 있다.
▶ 효능: 딸꾹질 및 이뇨증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 수치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생용한다. 초탄(炒炭)- 지혈.
▶ 처방예 : 정향시(丁香枾)제탕(湯), 시제탕.

▶우방자(牛蒡子)
 
▶ 산지 :중국.
▶ 선품 :알맹이가 크고 충실하며 외피가 회흑색인 것이 좋다. 척강성산 두 대력(杜大力)이 가장 품질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쓰고 맵다. 소풍산열(疎風散熱), 선폐투진(宣肺透疹), 청열해독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 해독, 거담, 이뇨, 완사제(緩瀉劑)로서 외감표증(外感表 ), 마진미투(麻疹未透), 풍진(風疹), 인후종통(咽喉腫痛), 옹종(擁腫)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비위허한(脾胃虛汗), 설사중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초초(炒蕉)- 인후종통(咽喉腫痛), 반진창양(搬疹瘡瘍)을 고친다.
▶ 처방예 : 은교산(銀翹散), 우방자산(牛蒡子散).

▶호초(胡椒)
 
▶ 산지: 한국, 중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인도 남부, 샴, 베트남.
▶ 선품
① 흑호초(黑胡椒): 알이 굵고 검은색으로 껍질에 주름이 있고 기미가 강렬한 것이 좋다.
② 백호초(白胡椒): 알이 둥글며 견실하고 희며 기미는 강렬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열(性熱), 맛은 맵다. 온중(溫中), 하기(下氣), 소담(消痰), 해독 효능이 있다.
▶ 효능: 발한, 조미(調味), 구풍(驅風), 건위제로서 한담식적(寒痰食積), 완복냉통(脘腹冷痛), 반위(反胃), 구토, 설사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1.5∼3g.
▶ 금기 :음허(陰虛)하고 화사(花邪)가 있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약용으로는 백호초를 분말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흑호초는 일반적으로 약용으로 쓰이지 않고 식품의 향료로서 이용된다.
▶ 처방예 :호초를 부수어서 벌꿀과 혼합하여 300㎎의 환제로 만들어 하기냉사(夏期冷瀉)에 매복(每服) 20알씩 복용한다.

▶여정자(女貞子)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알맹이가 크고 충실하며 껍질이 검고 윤기가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맛은 달고 쓰다. 간신(肝腎)을 보하고 요슬(腰膝)을 강화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자양강장제로서 음허발열(陰虛發熱), 요슬동통(腰膝疼痛), 현기증, 조열(潮熱), 폐병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비위허한(脾胃虛汗), 설사 및 양허(凉虛)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생용한다. 초증(醋蒸), 염수증- 그 한성(寒性)을 제거하고 복사(腹瀉)의 부작용을 제거한다.
▶ 처방예 : 여정탕(女貞湯).

▶익지인(益智仁)
 
▶ 산지: 중국.
▶ 선품: 열매가 크고 단단하며 유분(油分)이 풍부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다. 온비(溫脾), 난신(暖腎), 고기(固氣), 삽정 효능이 있다.
▶ 효능: 건위정장(健胃整腸), 수렴제(收斂劑)로서 냉기복통(冷氣腹痛), 설사유정(泄瀉遺精), 야간다뇨, 소변실금(小便失禁), 신경성심계(神經性心悸)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3∼10g.
▶ 금기: 조열제증(燥熱諸症)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껍질을 제거하고 생용(生用)한다. 초용(炒用)- 신조성(辛燥性)을 제거하고 신(腎)이 상처 입은 것을 방지한다. 염초- 온비지사(溫脾止瀉) 작용을 증가한다.
▶ 처방예: 익지산(益智散), 익지인탕(益智仁湯).

▶화초(花椒)
 
▶ 산지: 중국.
▶ 선품 :선홍색으로 껍질은 가늘고 유성이 풍부하며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고 유독하다. 온중산한(溫中散寒), 제습(除濕), 지통, 살충 효능이 있다.
▶ 효능: 방향선건위, 소염, 이뇨, 국소흥분(局所興奮), 구충제로서 위장을 자극하여 신진대사 기능을 항진(亢進)시키고 위하수증(胃下垂症), 위화장증, 위장냉통, 회충증 등에 이용된다.
▶ 용량 1.5∼5g.
▶ 금기: 음허화왕(陰虛火旺)인 사람과 임부는 금할 것.
▶ 수치
①초목(椒目)를 제거하고 생용 한다.
②단초(單炒), 초초(醋炒),염수초- 마비성을 제거한다.
▶ 처방예 : 대건중탕(大健中湯), 초매탕(椒梅湯), 오매환(烏梅丸).

▶연교(連翹)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황색으로 껍데기가 두꺼우며 씨앗이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맛은 쓰다. 청열해독, 소종산결(消腫散結), 배농(排膿) 효능이 있다.
▶ 효능: 살균, 진통, 이뇨, 진구, 통경(通經), 소염, 배농해독제로서 온열, 단독(丹毒), 발진, 나력, 소변불통, 종독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음허혈열(陰虛血熱), 비위허약, 농청색(膿淸色)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생용- 청열해독(淸熱解毒), 주사반(朱砂拌)- 청심안신(淸心安神) 작용이 있으며 열병번조 불안증(熱病煩躁不安症)을 고친다.
②외용- 개선(疥癬)을 고친다.
▶ 처방예 : 연교탕(連翹湯), 은교산(銀翹散), 형개연교탕(荊芥蓮翹湯), 청상방풍탕(淸上防風湯),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

▶자소자(紫蘇子)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자흑색(紫黑色)으로 과립이 포만하고 잡질이 없는 것이 좋다. 재배품은 알이 굵고 야생품은 알이 작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다. 하기정천(下氣定喘), 소담지해(消痰止咳), 온중개울(溫中開鬱) 효능이 있다.
▶ 효능: 발한, 해열, 진해, 진통제로서 해수담천(咳嗽痰喘), 흉민기역(胸悶氣逆), 변비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장활기허(腸滑氣虛)인 사람은 삼가서 사용할 것,
▶ 수치
①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생용한다.
②초용(炒用)- 약성(藥性)을 완화하고 행기(行氣)작용을 한다.
③제상(製霜)- 활장(滑腸)을 방지한다.
④밀제(蜜製)- 윤폐(潤肺)작용이 있으며 진해거담작용을 증가시킨다.
⑤양강반초용(良薑拌炒用)- 냉기(冷氣)를 고친다.
▶ 처방예: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정천탕(定喘湯).

▶회향(茴香)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과립이 균일하며 충만하고 황록색으로 향기가 짙으며 맛은 단 것이 좋다. 정유(精油)함량 3%이상, 내몽고산(産)이 가장 우수하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다. 온신산한(溫腎散寒), 화위이기(和胃理氣) 효능이 있다.
▶ 효능: 흥분, 구풍, 건위, 교미(矯味), 최유제(催乳劑)로서 구토, 한산(寒疝), 소복냉통(小腹冷痛), 신허요통(腎虛腰痛), 각기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3∼10g.
▶ 금기: 음허화왕(陰虛火旺)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단초(單炒)- 방광통을 고친다.
②주초(酒炒)- 상행(上行). 염수초(水炒)- 하행(下行), 신(腎)에 들어가서 신허요통(腎虛腰痛)을 고친다.
▶ 처방예 : 도기탕(導氣湯), 안중산(安中散).

▶오매(烏梅)
 
▶ 산지: 중국, 일본.
▶ 선품: 열매가 크고 살이 두껍고 핵(核)은 작으며 외피는 오흑색(烏黑色), 유윤(柔潤)하고 산미가 있는 것이 좋다. 길매(吉梅), 옥매(玉梅) 등이 유명하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시고 떫으며 염폐색장(斂肺塞腸), 제번(除煩), 생진지갈(生津止渴), 지혈, 구충효능이 있다.
▶ 효능: 진해(鎭咳), 거담, 진구(鎭嘔), 청량해열(淸粮解熱), 구충제로서 구해사리(久咳瀉痢), 하혈, 구토, 구갈, 번갈(煩渴), 세균성장질(細菌性腸疾) 등 증세에 이용된다. 또 회충구제에도 사용한다.
▶ 용량 3∼5g.
▶ 금기 :실사(實邪)가 있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핵을 제거하고 정육(淨肉)을 이용한다. 초탄(炒炭)- 수렴지사(收斂止瀉).
▶ 처방예 :오매환(烏梅丸), 초매탕(椒梅湯).

▶창이자(蒼耳子)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알이 크고 포만하며 황록색인 것이 좋다. 소주산으로 굳은 가시를 제거한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되어 있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달고 약간의 독이 있으며 발한, 산풍(散風), 승습(勝濕), 지통, 살충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 발한, 진경제(鎭痙劑)로서 풍한두통, 사지구련(四肢拘攣), 습비(濕脾), 비연(鼻淵), 치통, 소양(瘙痒), 나력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혈허두통(血虛頭痛), 비증(痺症)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가시를 제거하고 생용, 초용(炒用)- 거독(去獨).
▶ 처방예 : 창이산(蒼耳散).

▶충위자(蟲胃子)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알맹이가 굵고 충실하며 잡질이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온(性微溫), 맛은 맵다. 활혈조경(活血調經), 소풍청열(疎風淸熱), 명안(明眼) 효능이 있다.
▶ 효능 :조경(調經), 명안, 이뇨제로서 월경불순, 붕중대하(崩中帶下), 발산풍열(發散風熱), 산후어혈창민(産後瘀血脹悶), 수종(水腫)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간혈부족(肝血不足), 동공산대(瞳孔散大)인 사람과 임산부는 금할 것.
▶ 수치: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생용 또는 고용(膏用), 일반적으로 종잘생약은 초향(炒香) 또는 증숙(蒸熟) 시켜서 이용한다.
▶ 처방예 : 청간명안약(淸肝明眼藥)과 배합시켜서 이용한다

▶천련자(川璉子)
 
▶ 산지: 중국.
▶ 선품 :표면은 황금색, 살은 회백색, 질은 연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맛은 쓰고 유독하며 제습열(除濕熱), 청간화(淸肝火), 지통, 살충 효능이 있다.
▶ 효능: 구충(驅蟲), 진통, 수렴제로서 심복통(心腹痛), 산기(疝氣), 충적(蟲積), 복통(腹痛)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비위허한(脾胃虛汗)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피핵(皮核)을 제거하고 생용한다. 청간화(淸肝火),
②초초(醋炒)- 간(肝)에 들어가서 산기(疝氣), 종통(腫痛), 위통을 고친다,
③주증(酒蒸)- 기통(氣痛)을 고친다.
▶ 처방예 도기탕(導氣湯).

▶가채자(菜子)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색이 검고 포만하고 과피(果皮)가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
溫), 맛은 달고 맵다. 장양고정(壯陽固精), 보간신(補肝腎), 난요슬(暖腰膝)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 흥분, 건위약으로서 소변빈수(小便頻數), 유뇨(遺尿), 몽유(夢遺), 근골동통(筋骨疼痛), 적백대하(赤白帶下) 등 증세에 이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음허화왕(陰虛火旺) 증세인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①흑피(黑皮)를 제거하고 햇볕에 바래고 말려서 생용한다.
②초초용(炒蕉用)- 약성(藥性)을 완화한다.
▶ 처방예 : 비정환(秘精丸).

▶마전자(馬錢子)
 
▶ 산지: 중국, 인도, 베트남, 타이, 버마.
▶ 선품 :종자가 크고 살이 두꺼우며, 질이 굵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고미(苦味)유독(有毒)하고 혈렬(血熱)을 없애며 소종(消腫), 지통(止痛)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고미건위(苦味健胃), 강심약(强心藥)으로서 인후비통(咽喉痺痛), 혈관경화(血管硬化), 종독(腫毒) 등 증상에 응용한다. 또한 호마카에키스, 호미카팅크, 호미카에키스산(散)의 제형(劑形)으로 위(胃), 아토니, 소화불량(消化不良) 등 에 내복한다.
▶ 용량 :0.3∼0.6g <내복: 환(丸), 산(散)>.
▶ 금기 :임부 및 체약자(體弱者)는 쓰지 않는다.
▶ 수치: 탕(湯)에 넣었다가 칼로 종피모(種皮毛)를 긁어버리고 엷게 썰어서 그늘에 말리고 호마유(胡麻油)로 겉이 눋고 속이 누렇도록 튀겨서 응용한다.
▶ 처방예 : 산어화상탕(散瘀和傷湯), 팔리산(八厘散).

▶피마자(皮麻子)
 
▶ 산지: 중국, 일본, 아시아 북미 각지에서 재배된다.
▶ 선품: 알이 굵고 알차며, 적갈색 광택이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감신미(甘辛味)이며 소독(小毒)이 있고, 통변(通便), 축수기(逐水氣)<내복용 기름>- 소종 발독(消腫拔毒)<외용>의 효능이 있다.
▶ 효능
▶ 용량: 사하약(瀉下藥)으로서 피마자유( 麻子油) 1회량 4∼16㏄를 내복한다.
▶ 금기 :임부 및 변활자(便滑者)도 쓰지 말 것.
▶ 수치: 겉껍질을 벗기고 부수어서 쓴다.
▶ 처방예 : 피마고麻膏)- 탈항(脫肛)을 다스린다.

▶겨자(芥子)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종자가 알차고 대소가 균일하고 노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신미(辛味)하고 온중산한(溫中散寒), 이기활담(利氣豁痰), 경락(經絡)을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 효능: 자극(刺戟), 인적(引赤), 거담약(祛痰藥)으로서 겨자니(泥) <탈지 겨자와 물을 섞어 반죽한 것>을 신경통(神經痛), 폐염(肺炎) 등 국소(局所)에 첩포(貼布) 외용(外用)한다. 위한토식(胃寒吐食), 심복동통(心腹疼痛), 혈리(血痢) 등 증상에 내복한다.
▶ 용량: 내복전탕(內服煎湯) 3∼5g.
▶ 금기: 폐허해수(肺虛咳嗽), 음허화왕(陰虛火旺)하면 쓰지 않는다.
▶ 수치: 화담작용(化痰作用)을 증가시키고 신산해표작용(辛散解表作用)을 감경(減輕) 시킨다.
▶ 처방예 : 공연단(控涎丹).

▶목별자(木鼈子)
 
▶ 산지: 중국.
▶ 선품 :알차고 껍질이 굵으며 질이 무겁고 내인은 황백색이고 기름기가 많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감미(甘味)가 조금 있으며, 소종산결(消腫散結), 거독(去毒), 생기(生肌)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항염증(抗炎症), 해독약(解毒藥)으로서 옹종(擁腫), 유종(乳腫), 악창(惡瘡), 치질(痔疾), 나력등 증상에 응용한다. 주로 외용(外用).
▶ 용량 :내복(內服)- 0.5∼1g.
▶ 금기: 내복신용(內服愼用), 임부와 체허자( 虛者)는 복용(服用) 말 것.
▶ 수치: 껍질을 벗기고 인(仁)을 부수어서 생용 하면 창(瘡), 양(瘍), 선(癬)을 다스린다.(외용). 제상(製霜)은 약력완화(藥力緩和).
▶ 처방예 : 신효천추고(神效千膏).

▶빈랑자
 
▶ 산지: 중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스리랑카, 인도.
▶ 선품 :씨앗이 크고 질이 단단하고 무거우며 파열(破裂)되지 않은 것이 좋다. 음편(飮片)은 색이 선명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쓰고 맵고 떫다. 살충, 파적(破積), 하기(下氣), 행수(行水) 효과가 있다.
▶ 효능 :건비(健脾), 소화, 수렴, 구충제로서 식체(食滯), 완복창통(脘腹脹痛), 각기, 변비, 조충구제등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기허하함(氣虛下陷) 및 식체(食滯)가 없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얇게 절편으로 만들어 그늘에 말려서 생용한다. 살충, 초초(炒焦), 소도(消導) 작용을 증가한다. 초탄(炒炭)- 학질을 고친다.
▶ 처방예 : 목향빈랑환(木香檳 丸), 여신탕(女神湯).

▶검실
 
▶ 산지: 중국.
▶ 선품: 과립(顆粒)이 고르고 껍질이 없으며, 부서진 것이 없고 속이 흰 것이 좋다. [남당검]이라는 것이 가장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감미(甘味), 떫고, 고신삽정(固腎 精), 보비지사(補脾止瀉)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양강장(滋養(强壯), 진통약으로서 통풍(痛風), 요슬관절통(腰膝關節痛), 유정대탁(遺精帶濁), 소변실금(小便失禁), 대변설사(大便泄瀉), 대하(帶下)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하면 쓰지 않는다.
▶ 수치
①단초(單炒)- 감삽작용(甘 作用)을 증가시킨다.
②부초- 건비(健脾), 증숙(蒸熟)- 찧어서 분말로 만들어 쓴다. 또는 색정(精藥)으로 한다. 검실 ▶ 처방예 금쇄고정환(金鎖固精丸).

▶백과(白果)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겉껍질이 희고 살이 알차며 흰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감미(甘味), 고미(苦味), 삽미(澁味) 이고 염폐(斂肺), 정천(定喘), 지대(止帶), 축뇨(縮尿)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진(해鎭咳), 정천, 고정약 으로서 담수(痰嗽), 백대(白帶), 백탁(白濁), 유정(遺精), 임병(淋病), 소변빈수(小便頻數)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실사(實邪)가 있으면 쓰지 않는다.
▶ 수치 :껍질을 벗기고 <백과인(白果仁)> 생용- 강담(降痰), 소독(消毒), 살충. 숙용(熟用)- 온폐익기(溫肺益氣), 정천해(定喘咳), 축소변(縮小便), 지백탁(止白濁), 제백대(除白帶).
▶ 처방예 : 정천탕(定喘湯).

▶산조인(酸棗仁)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알이 크고 살이 많으며, 외피(外皮)는 자적색(紫赤色)이고 핵각(核殼)이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감미(甘味)하고 양간(養肝), 영심(寧心), 안신(安神), 염한(斂汗)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성(强壯性) 진정약(鎭靜藥)으로서 실면(失眠), 번조 불안(煩躁不安), 허번 불면(虛煩不眠), 경계 건망(驚悸健忘), 처허다한(虛多汗)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실사(實邪), 울화(鬱火)가 있으면 쓰지 않는다.
▶ 수치 :생용- 간(肝)담의 열을 내리고 안신(安神) 시킨다. 담열다면(熱多眠)하는 데 쓴다. 초제(炒製)- 간혈(肝血)을 만들고 안신 시킨다. 담허불면자(虛不 眠者)에게 쓴다.
▶ 처방예 : 산조인탕(酸棗仁湯), 귀비탕(脾湯),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견우자(牽牛子)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백축(白丑)은 알이 크고, 피각(皮殼), 잡질(雜質)이 없는 것이 좋다. 흑축(黑丑)은 질(質)이 실하고 순흑색(純黑色)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고신미(苦辛味)이고, 사수(瀉水), 하기(下氣), 살충(殺蟲)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사하(瀉下), 이뇨(利尿), 살충약(殺蟲藥)으로서 대변비결(大便秘結), 소변불리(小便不利), 수종천만(水腫喘滿), 각기식체(脚氣食滯), 담음(痰飮), 충적(蟲積)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3∼6g.
▶ 금기: 위약기허(胃弱氣虛)하거나 임부(姙婦)는 쓰지 않는다.
▶ 수치 :①초숙(炒熟)- 하기통변(下氣通便), 거옹체(祛壅滯), 축수종(逐水腫).
②초제(炒製)- 이수작용(利水作用)을 완화(緩和)한다.
③초탄(炒炭)- 이수소종(水消腫).
▶ 처방예 우공산(禹功散), 견우환(牽牛丸).

▶백편두(白扁豆)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알이 굵고 알차며 색이 흰 것이 좋다. 척강산이 가장 좋다.
▶ 용도,성능: 성미온(性微溫), 감미(甘味)하고 건비화중(健脾和中), 소서화습(消暑化濕)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건위(健胃), 해독약(解毒藥)으로서 서습토사(暑濕吐瀉), 비허구역(脾虛嘔逆), 소갈(消渴), 적백대하(赤白帶下), 소아감적(小兒疳積), 만성하리(慢性下痢) 등에 응용한다.
▶ 용량 5∼12g.
▶ 금기: 한열병(寒熱病)에는 쓰지 않는다.
▶ 수치: 종피(種皮)를 벗기고 생용-서습병증(暑濕病症). 단초용(炒用單)- 건비지사(健脾止瀉). 초제(醋製)- 토사를 다스린다. 토초(土炒)- 지사(止瀉).
▶ 처방예 : 향유산(香油散)

▶송자인(松子仁)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알이 굵고 종인(種仁)이 유백색(乳白色)이며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감미(甘味)하고 양액(養液), 윤폐(潤肺), 활장(滑腸)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자양(滋養) 강장(强壯), 생진약(生津藥)으로서 풍비(風 ), 두현(頭眩), 조해(燥咳), 토혈(吐血), 변비(便秘)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변당 정활자(便 精滑者)나 습담(濕痰)이 있으면 쓰지 않는다.
▶ 수치 :껍질을 벗기고 초용(炒用)한다.
▶ 처방예
①송자죽(松子粥)- 송자인(松子仁) 을 쌀과 끓여서 죽을 만들어 먹는다. 심(心), 폐(肺)를 윤활(潤滑)하게 하고 통변(通辯)을 좋게 한다.
②송자인(松子仁)30g, 호도60g을 갈아서 꿀15g과 반죽한다. 1회 6g씩 식후 끓여서 복용한다. 폐조 해수(肺燥咳嗽)를 다스린다.
③송자인(松子仁)240g, 맥문동(麥門冬)480g, 금앵자(金櫻子)240g, 구기자 (杞子)240g을 볶아서 꿀에 개어 엿처럼 만들어 보존하고 조석(朝夕)으로 백탕(白湯)에 풀어서(10찻술) 복용한다. 오장 노상(五臟勞傷), 해수토담(咳嗽吐痰), 골증 도한(骨蒸盜汗), 심신 황홀(心神恍惚), 유정활설(遺 精滑泄) 등 증상을 다스린다.

▶결명자(決明子)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과립(顆粒)이 거의 고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량(性凉), 쓰고 단맛이 있으며, 청간익신(淸肝益腎), 거풍(祛風), 명목(明目) 윤장(潤腸), 통변(通辯)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완하(緩下), 강장약(强壯藥)으로서 청맹내장(靑盲內障), 목적다루(目赤多淚), 두통, 만성변비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설사에는 피한다.
▶ 수치: 햇볕에 말려서 생용 한다. 부수어서 쓴다. 초용(炒用)- 이뇨 거서.
▶ 처방예: 결명자산(決明子散).

▶보골지(補骨脂)
 
▶ 산지 :중국.
▶ 선품 :알이 크고 색은 검으며, 알차고 견실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대온(性大溫), 신고미(辛苦味)하며, 보신조양(補腎助陽)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흥분(興奮) 강장약(强壯藥)으로서 비신허한(脾腎虛寒), 냉사(冷瀉), 유뇨(遺尿), 요슬(腰膝) 냉통(冷痛), 소변 빈수(小便頻數), 양위(陽胃)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음허화왕(陰虛火旺), 뇨혈(尿血), 변결(便結)하면 쓰지 않는다.
▶ 수치: 염수초- 보신작용(補腎作用)을 증가한다.
▶ 처방예: 사신환(四神丸), 보골지환(補骨脂丸).

▶아마인(亞麻仁)
 
▶ 산지 :중국, 일본 등 세계 각지에 난다.
▶ 선품: 색이 적갈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알찬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감미(甘味)하고 조습(燥濕), 살충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强壯), 완하(緩下), 살충약으로서 마풍(麻風), 피부 양진(皮膚痒疹), 장열(腸熱), 단독(丹毒), 폐옹 토농혈(肺癰吐膿血)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위약(胃弱)하고 구토(嘔吐)가 있으면 쓰지 않는다.
▶ 수치: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생용(生用) 또는 초용(炒用)한다.
▶ 처방예 : 아마인유(亞麻仁油)- 경사제(輕瀉劑), 1회 10∼25㎖.

▶담두시
 
▶ 산지 :중국.
▶ 선품 :색이 검고 알차며 막이 붙어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 효능
▶ 용량
▶ 금기
▶ 수치
▶ 처방예

▶축사(縮砂)
 
▶ 산지 :축사: 태국, 베트남, 인도. 양춘사(陽春砂): 중국.
▶ 선품: 축사: 알이 포실(飽實)하며 기미가 짙은 것이 좋다.
양춘사: 성숙과일은 견실하고 포만하며 인(仁)이 적갈색, 유성(油性)이 풍부하고 방향이 있고 맛은 단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맵다. 행기조중(行氣調中), 화위(和胃), 성비(醒脾) 효능이 있다.
▶ 효능: 방향성건위, 지사제(止瀉劑)로서 복만복통(服滿腹痛), 소화불량, 오심(惡心), 구토, 설사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1.5∼3g.
▶ 금기 :음허(陰虛)하고 열이 있는 사람은 금할 것.
▶ 수치: 껍질을 제거하고 부수어서 생용 한다. 염수초- 음허(陰虛)인 사람에게 이용된다. 숙지황즙증(熟地黃汁症)- 이신기(理腎氣) 강즙초(薑汁炒)- 구토, 비민(肥悶)을 고친다.
▶ 처방예 : 향초육군자탕(香炒六君子湯), 향초지출환(香炒枳朮丸).

▶육두구
 
▶ 산지: 원산지는 몰루카 제도이며 현재는 각 열대 지방, 특히 동인도제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 선품 :알이 크고 질이 무거우며 결실이 되고 냄새가 짙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신미(辛味)이며, 온중하기(溫中下氣), 소식(消食), 고장(固腸)의 효능이 있다.
▶ 효능 방향(芳香), 구풍(驅風), 건위약(健胃藥) 으로서, 심복창통(心腹脹痛), 허사냉리(虛瀉冷痢), 구토, 토유(吐乳)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3∼5g.
▶ 금기: 열사열리(熱瀉熱痢)에는 쓰지 않는다.
▶ 수치 :대량의 유질(油質)을 포함하고 있어 활(장滑腸)하기 쉬우므로 반드시 외육두구(肉豆 )로 해서 쓴다. 기름을 제거하고 열성(烈性)을 감소시켜 냉리복통(冷痢腹痛)을 다스린다.
▶ 처방예 : 사신환(四神丸).

▶대풍자(大風子)
 
▶ 산지: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타이, 베트남.
▶ 선품: 씨가 알차고 색이 희며 기름기가 많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열(性熱), 신미(辛味) 유독(有毒)하고 거풍조습(祛風燥濕)과 공독살충(攻毒殺 蟲)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살충(殺蟲), 살균약(殺菌藥)으로서 마풍(麻風), 양매독창(楊梅毒瘡), 개라(疥癩), 개선(疥癬) 등에 응용한다. 내복(內服)하면 오심(惡心), 구토(嘔吐)를 일으키므로 주로 외용한다.
▶ 용량: 내복(內服): 전제(煎劑) 1.5∼3g 외용(外用): 적의(適宜).
▶ 금기: 음허혈열(陰虛血熱)한 데는 쓰지 않는다.
▶ 수치 :제상(製霜), 신렬(辛烈)한 독성(毒性)을 감저(減低)시킨다. <기름을 제거하지 않으면 구토한다>.
▶ 처방예: 대풍외용방(大風外用方).

▶파두(巴豆)
 
▶ 산지: 중국, 인도, 사이론, 말레이시아, 타이 등.
▶ 선품 :종자는 크고 알차며 종인(種仁)의 색이 백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열(性熱), 신미 유독(辛味 有毒)하며, 사한적(瀉寒積), 파징가 적취(積聚), 축담(逐痰) 행수(行水)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준하약(峻下藥), 토약(吐藥)으로서 냉적 응체(冷積凝滯), 흉복 창만 급통(胸腹脹滿急痛), 혈가, 사리(瀉痢), 수종(水腫) 등의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0.15∼0.3g.
▶ 금기 :임부 및 허약자는 쓰지 않는다.
▶ 수치 :제상(製霜)- 기름을 제거하고 독성을 감저시켜 사하 작용(瀉下作用)을 완화(緩和) 시킨다.
▶ 처방예 : 삼물 비급환(三物備急丸).

▶의이인(薏苡仁)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타이.
▶ 선품: 알이 굵고 색이 희며 체질이 찹쌀을 닮은 것이 좋다. 요령성(遼零省)에서 나는 것은 관이인(關苡仁)이라고 해서 품질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감미(甘味)이고 건비(健沸), 보폐(補肺), 청열(淸熱), 이습(利濕)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이뇨(利尿), 배농(排膿), 소염(消炎), 진통, 자양약(滋養藥)으로서 설사, 습비(濕痺), 수종(水腫), 각기(脚氣), 백대(白帶), 폐위(肺胃), 장옹(腸癰), 근맥(筋脈) 근련(攣)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10∼30g.
▶ 금기 :임부는 삼가 쓴다.
▶ 수치: 생용(生用)- 이수(습利水濕), 초용(炒用)- 건비(健脾) 지사(止瀉), 생·초(生·炒) 각 반용- 건비이습(健脾利濕).
▶ 처방예 : 의이인탕(薏苡仁湯), 의이부자(薏苡附子) 패장산(敗醬散), 천금위경탕(千金葦湯), 마행의감탕(麻杏薏甘湯), 삼인탕(三仁湯).

▶도인(桃仁)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과립(顆粒)이 균등하고 알차며 부서진 것이 없는 것이 좋다. 산동성(山東省)산이 알이 커서 '대편도인(大扁桃仁)'이라고 부른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고감미(苦甘味)이며 파혈행어(破血行瘀), 윤조(潤燥), 활장(滑腸)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소염성구어혈약(消炎性驅瘀血藥)으로서 하복부(下腹部)의 만통(滿痛), 방광축혈(膀胱蓄血), 경폐징가. 혈조변비(血燥便秘), 장옹(腸癰)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무어체자(無瘀滯者) 및 임부는 쓰지 말 것.
▶ 수치: 껍질끝을 제거하고 생용(生用): 행혈(行血), 초제(炒製): 활혈윤조(活血潤燥), 제상(製霜): 기름을 제거하고 활장작용(滑腸作用)을 감소시킨다. 초흑(炒黑): 지혈(止血)<소존성(燒存性). 거피첨(去皮尖): 독(毒)을 제거하기 위해서.
▶ 처방예 : 계지복령환(桂枝茯羚丸), 도핵승기탕(桃核承氣湯), 대황모란피탕(大黃牡丹皮湯).

▶토사자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과립(顆粒)이 알차고 잡질(雜質)이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감신미(甘辛味)이고 보간신(補肝腎), 익정수(益精髓), 명목(明目), 장양(壯陽), 강근골(强筋骨)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자양성(滋養性) 강장약(强壯藥)으로서 양위(陽胃), 요슬동통(腰膝疼痛), 유정(遺精), 소갈(消渴), 뇨혈(尿血), 목암(目暗)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10∼12g.
▶ 금기 :강양 불위(强陽不 ) 하거나 대변 조결(大便燥結)이면 쓰지 않는다.
▶ 수치 :증제(蒸製)- 토사떡을 만든다. 염수초- 보신기(補腎氣) 주초(酒炒)- 난근육(暖筋肉) 주미초(酒米炒)- 설사(泄瀉)를 다스린다.
▶ 처방예 : 복토단.

▶차전자(車前子)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알이 크고 색이 검으며 알찬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감미(甘味)하고, 이수(利水), 청열(淸熱), 명목(明目), 거담(祛痰)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이뇨(利尿), 소염(消炎), 지사약(止瀉藥)으로서 소변 불리(小便不利), 임탁(淋濁), 대하(帶下), 노혈, 서습(署濕) 사리(瀉痢), 해수(咳嗽) 다담(多痰), 습비(濕痺), 목적(目赤) 장예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소변 과다, 대변 비결자(秘結者), 습열(濕熱)이 없으면 쓰지 않는다.
▶ 수치: 생용- 청열(淸熱) 이뇨(利尿), 염수초- 이수작용(利水作用)을 돕는다. 주제(酒製)- 자보약(滋補藥)이 된다.
▶ 처방예 : 팔정산(八正散), 우차신기환(牛車腎氣丸).

▶동과자(冬瓜子)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백색, 알차고 살이 두터운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량(性凉), 감미(甘味)하고, 윤폐(潤肺), 화담(化痰), 배농(排膿), 이수(利水)의 효과가 있다.
▶ 효능 :진해(鎭咳), 거담(祛痰), 배농(排膿), 소염성 이뇨약(消炎性 利尿藥)으로서 열담(熱痰) 해수(咳嗽), 수종(水腫), 각기(脚氣), 폐옹(肺癰), 임병 등에 응용한다.
▶ 용량 3∼12g.
▶ 금기 :구병활설(久病滑泄)에는 피한다.
▶ 수치: 부초- 화위(和胃).
▶ 처방예 : 대황모란피탕(大黃牡丹皮湯), 천금위경탕(千金葦莖湯).

▶행인(杏仁)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과립(顆粒)이 균정(均整)함 포만 비후(飽滿肥厚)하고 맛은 쓰다. 지방유(脂肪油)가 많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맛은 쓰다. 거담, 지해, 정천(定喘), 윤장(潤腸) 효능이 있다.
▶ 효능: 진정, 진해제로서 외감 해수(外感咳嗽), 후비경간(喉脾驚肝), 장조변비(腸燥便秘) 등 증세에 이용된다.
▶ 용량 5∼10g.
▶ 금기 :음허해수(陰虛咳嗽)인 사람은 삼가서 사용할 것.
▶ 수치: 종피(種皮)를 제거하여 생용. 증숙(蒸熟)- 기름을 제거하고 독성을 감소 한다. 상제(霜製)- 행혈락(行血絡), 선폐(宣肺), 거담, 정천(定喘). 초제(炒 製)- 독성을 억제한다.
▶ 처방예: 마행감석탕(麻行甘石湯), 마황탕(麻黃湯), 대청룡탕(大靑龍湯), 계지가후박행인탕(桂枝加厚朴杏仁湯), 행소산(杏蘇散).

▶천금자(千金子)
 
▶ 산지 :중국.
▶ 선품: 알차고 기름기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신미(辛味), 유독(有毒)하여 행수(行水) 파혈(破血), 공적취(功積聚), 축담음(逐痰飮)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이뇨(利尿), 준하(峻下), 통경약(通經藥)으로서 수종 창만(水腫脹滿), 담음징가(痰飮  痂), 심복통(心腹痛), 어혈(瘀血) 충독(蟲毒), 혈결(血結) 경폐(經閉) 등 증세에 응용한다.
▶ 용량: 0.3∼1.5g <환(丸), 산용(散用)>.
▶ 금기 :불가다용(不可多用) <구복(久服)>.
▶ 수치: 제상(製霜)<천금자상(千金子箱)>-기름을 제거하여 약효를 완화(緩和) 시킨다.
▶ 처방예 :속수자환(續隨子丸).

▶마자인
 
▶ 산지: 중국.
▶ 선품: 과립(顆粒)이 알차고 잡질(雜質)이 없으며 인(仁)이 하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감미(甘味)하고 윤조(潤燥), 활장(滑腸), 통림(通林), 활혈(活血)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자양(滋養), 윤조(潤燥), 진해약(鎭咳藥)으로서 변비(便秘), 소갈, 열림, 풍비, 월경불순(月經不順)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10∼15g.
▶ 금기 :장활변설(腸滑便泄)에는 피한다.
▶ 수치 :껍질을 벗기고 생용(生用), 초용(炒用)한다.
▶ 처방예 : 마자인환(麻子仁丸), 자감초탕(炙甘草湯), 윤장탕(潤腸湯).

▶호로파(胡蘆巴)
 
▶ 산지 :중국, 남유럽, 인도, 북아프리카.
▶ 선품: 씨가 알차고 잡질(雜質)이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감미(甘味)하고 보신양(補腎陽), 거한습(祛寒濕)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자양(滋養), 완화(緩和), 건위(建胃), 구풍약(驅風藥)으로서 신장허냉(腎臟虛冷), 산기(疝氣), 각기(脚氣), 양위(陽胃)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3∼5g.
▶ 금기: 음허화왕(陰虛火旺)하면 쓰지 않는다.
▶ 수치 :물에 씻고 햇볕에 말려서 생용한다. 주침(酒浸)-온신 작용(溫腎作用)을 강화한다. 증숙용(蒸熟用)- 자보작용(滋補作用)이 있다. 초용(炒用)-원양(元陽)을 북돋는다.
▶ 처방예: 호로파산(葫蘆巴散).

▶호마자

▶노감석(爐甘石)
 
▶ 산지 ;중국.
▶ 선품 :덩어리가 크고 백색∼담적색이며 질이 가벼운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감미(甘味)이고 수습거부(收濕去腐), 생기(生肌), 거예명목(去豫明目)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지혈소종(止血消腫), 살균약(殺菌藥)으로서 안병(眼病), 창상(創
傷)의 출혈(出血), 습진(濕疹) 등에 응용한다.
▶ 용량: 외용적량(外用適量).
▶ 금기
▶ 수치: 단제, 목적종통(目赤腫痛)을 다스린다, 약즙비(藥汁飛), 소염작용(消炎作用)을 증가시킨다. 청화명목(淸火明目)의 작용을 증강시킨다.
▶ 처방예 : 팔보단(八湺丹)

▶주사(朱砂)
 
▶ 산지 :중국.
▶ 선품 :선홍색(鮮紅色)이며 광택(光澤)이 있고, 약간의 투명도(透明度)가 있으며, 분말(粉末)로 해서 안에 흰 점이 없는 것이 좋다. 다음과 같은 상품(商品)이 있다.
① 주보사, 작은 덩어리 또는 과립(顆粒) 상태, 색이 붉고 광택이 있으며 손에 묻지 않는다. ② 경면사(鏡面砂), 사방형(斜方形)∼장조형의 편상(片狀), 주사(朱砂)중에서 가장 상질이다.
③ 두판사, 두상(頭狀)이며 적홍색이다.
④ 영사(靈砂), 합성품(合成品)이며 수은(水銀)과 유황(硫黃)이 원료(原料)이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감미유독(甘味有毒)하며,
정신(定神), 정경(定驚), 명목(明目), 해독(解毒)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진정(鎭靜), 진통(鎭痛), 해독약(解毒藥)으로서 정신불안정증(精神不安定症), 불면증(不眠症), 두현(頭眩), 종독(腫毒), 개선(疥癬), 심번(心煩) 등에 응용한다.
▶ 용량: 20∼35g (丸·散劑).
▶ 금기 :실열(實熱)이 없으면 쓰지 않는다.
▶ 수치: 수비용(水飛用), 진심안신(鎭心安神), 해독(解毒).
▶ 처방예 주사안신환(朱砂安神丸).

▶용골(龍骨)
 
▶ 산지 :중국.
▶ 선품 :질(質)이 연하고 분층(分層)이 있으며 오색 화문(五色花紋)이 있고 흡습력(吸濕力)이 강한 것이 좋다. 오화 용골(五花龍骨)은 점설력(粘舌力)이 강하고 상품이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감삽미이고, 진경(鎭驚), 수렴고색(收斂固塞), 생기(生肌)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진정(鎭靜), 수렴(收斂), 고정약(固精藥)으로서 경간유정(驚癎遺精), 붕루대하(崩漏帶下), 자한(自汗), 사리(瀉痢)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10∼15g.
▶ 금기: 습열(濕熱), 실사(實邪)가 있으면 쓰지 않는다.
▶ 수치 :생용(生用), 잠양안신(潛陽安神), 단제, 수렴고삽(收斂固澁), 주반(朱拌), 영심 안신 작용(寧心安神作用)을 증강한다. 외용(外用), 염창생기(斂瘡生肌)
▶ 처방예 금쇄고정환(金鎖固精丸), 계피가룡골모려탕(桂皮加龍骨牡蠣湯), 시호가룡골모려탕(柴胡加龍骨牡蠣
湯).
▶대자석(代紫石)
 
▶ 산지: 중국, 일본.
▶ 선품: 적갈색(赤褐色)이며 단면(斷面)은 층첩상(層疊狀)이고 층마다 고르게 정두(釘頭)가 있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고미(苦味)이고, 평간진역(平肝鎭逆), 양혈지혈(凉血止血), 지구평천(止嘔平喘)의 효능이 있다.
▶ 효능: 보혈(補血),수렴(收斂), 지혈(止血), 진정(鎭靜), 진토약(鎭吐藥)으로서 애기구토(嘔吐), 반위(反胃)열격, 위출혈, 자궁출혈(子宮出血), 토육(吐肉), 장풍변혈(腸風便血), 여자붕대(女子崩帶)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10∼30g.
▶ 금기 :하부허한(下部虛寒)하거나 임부는 쓰지 않는다.
▶ 수치: 부수어서 생용(生用)한다. 진잠강역, 평간사열(平肝瀉熱), 단제, 강역평천(降逆平喘), 지혈(止血), 초쉬, 간(肝)에 들어가서 수렴작용(收斂作用)을 증강하고 유간(柔肝)의 효능을 강화한다.
▶ 처방예 선복화대자석탕(旋覆花代紫石湯).

▶활석(滑石)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청백색(靑白色) 편괴상(片塊狀)이며 윤활(潤滑)하고 잡석(雜石)이 없는 것이 좋다. 강서성(江西省)산을 '서활석(西滑石)'이라 하며, 청백색 광활(光滑)하여 가장 상품이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감미(甘味)하며 청열(淸熱), 이뇨(利尿), 삼습(渗濕)의 효능이 있다.
▶ 효능 :부형(賦形), 살포(撒布), 이뇨약(利尿藥)으로서 임병, 수종(水腫), 수사(水瀉), 번갈(煩渴), 서열(暑熱)등에 응용한다.
▶ 용량 10∼15g.
▶ 금기 :음허(陰虛)하고 습열(濕熱)이 없거나 임부는 쓰지 않는다.
▶ 수치 :연세수비(硏細水飛)하여 생용(生用), 청서이뇨(淸暑利尿), 수렴거습(收斂祛濕).
▶ 처방예 : 육일산(六一散), 저령탕(猪笭湯), 팔정산(八正散).
▶우여량(禹餘糧)
 
▶ 산지 :중국.
▶ 선품 :적갈색(赤褐色)이며, 단면(斷面)에 층문(層紋)이 있고 잡석(雜石)이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미한(性微寒), 감(甘), 색미이고 삽장지혈(澁腸止血)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수렴지사(收斂止瀉), 지혈약(止血藥)으로서 만성장염(慢性腸炎), 하리(下痢), 자궁출혈(子宮出血)에 쓴다. 외용(外用)은 살포제(撒布劑)로서 궤양(潰瘍)을 다스린다.
▶ 용량 10∼15g.
▶ 금기 :실사(實邪)가 있거나 임부는 쓰지 않는다.
▶ 수치: 분말(粉末)로 해서 생용(生用), 지사(止瀉), 지혈(止血), 단제, 고색성(固塞性)을 강화한다. 단후도미수쉬(檀後淘米水), 보비(補裨),
▶ 처방예 : 적석지우여량탕(赤石脂禹餘糧湯), 신효태을단(紳效太乙丹).

▶망초(芒硝)
 
▶ 산지: 중국.
▶ 선품 :무색투명(無色透明)하고 괴상결정(壞狀結晶)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고(苦), 함미(鹹味)하고 사열(査閱), 윤조, 경견(輕堅)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사하(瀉下), 이뇨약(利尿藥)으로서 만성변비(慢性便秘), 만성소화불량(慢性消化不良)에 응용한다.
▶ 용량 3∼10g.
▶ 금기 :위허실열(胃虛實熱) 및 임부는 쓰지 않는다.
▶ 수치 :생용(生用), 청열사화(淸熱瀉火), 사하(瀉下)통변(通辯), 현명분(玄明粉), 사하작용완화(瀉下作用緩和).
▶ 처방예 : 대승기탕(大承氣湯), 대함흉탕(大陷胸湯),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

▶석고(石膏)
 
▶ 산지 :중국.
▶ 선품: 덩어리가 크고 희며, 섬유상(纖維狀), 잡석(雜石)이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감신미(甘辛味)이고, 청열강화(淸熱降火), 지갈제번(止渴除煩)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解熱), 진정(鎭靜), 지갈약(止渴藥)으로서 열병장열(熱病壯熱), 자한번갈(自汗煩渴), 구건설조(口乾舌燥), 헛소리, 중서자한(中署自汗), 폐열수해(肺熱嗽咳), 위화두통(胃火頭痛), 치통(齒痛)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15∼20g.
▶ 금기: 위약(胃弱)하고 습열(濕熱)이 없으면 쓰지 않는다,
▶ 수치: 생용(生用), 해기청열(解肌淸熱), 제번지갈(除煩止渴), 단제, 수렴생용(收斂生用)의 효가 있으며, 옹저(癰疽)창양(瘡瘍), 탕상(湯傷)등에 외용(外用)한다.
▶ 처방예 백호탕(白虎湯),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 마행감석탕(麻杏甘石湯), 백호가계지탕(白虎加桂枝湯), 대청룡탕(大靑龍湯).

▶적석지(赤石脂)
 

▶ 산지: 중국.
▶ 선품: 적색(赤色), 광활(光滑)하고 쉽게 부수어지며 혀로 핥으면 점성(粘性)이 강한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온(性溫), 감(甘), 함미(鹹味) 깔깔하고, 색장(塞腸), 지혈(止血
), 수습(收濕), 생기(生肌)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수렴성지혈(收斂性止血), 지사약(止瀉藥)으로서 급성위장염(急性胃腸炎), 구사구리(久瀉久痢), 탈항(脫肛), 붕중대하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10∼15g
▶ 금기: 습열적체(濕熱積滯)하거나 임부는 쓰지 않는다.
▶ 수치: 생용(生用), 삽장지사(澁腸止瀉), 지혈생기(止血生肌), 단제, 수렴작용(收斂作用)을 증강하고, 진구작용(鎭嘔作用)이 있다.
▶ 처방예: 도화탕(桃花湯), 적석지우려량탕(赤石脂禹餘糧湯).

▶명반(明礬)
 
▶ 산지 :한국, 중국.
▶ 선품 :무색투명(無色透明)하고 질은 굳고 연하며, 잡질(雜質)이 없는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산삽미(酸澁味)이고 조습(燥濕), 살충(殺蟲), 해독(解毒), 소담(消痰), 지사(止瀉), 지혈(止血)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수렴(收斂), 지혈(止血), 지사(止瀉)해독약(解毒藥)으로서, 개선(疥癬), 창양(瘡瘍), 구설생창(口舌生瘡), 목질(目疾)에 외용(外用)하며, 후비(喉痺), 담연(痰延), 풍담(風痰), 전간(癲癎), 백대(白帶), 황달(黃疸) 등에 내복한다.
▶ 용량 0.5∼3g (丸·散).
▶ 금기: 음허(陰虛) 증상에는 쓰지 않는다.
▶ 수치 :명반(明礬), 연마(硏磨)해서 분말(粉末)로 생용한다. 지혈(止血) 지사(止瀉) 거담(祛痰), 고반(枯礬) 외용(外用), 수색력이 강하고 수렴조습(收斂燥濕)의 효능이 있으며 습진(濕疹) 등에 응용한다.
▶ 처방예 : 백금환(白金丸), 증안일방(蒸眼一方).

▶뇌환(雷丸)
 
▶ 산지: 중국.
▶ 선품: 균핵(菌核)이 크고 알차며 질(質)이 굳고, 외피(外皮)가 회색(灰色)이며 내부는 백색인 것이 좋다.
▶ 용도,성능: 성한(性寒), 고미(苦味), 소독(小毒)하며 소적(消積), 살충(殺蟲)의 효능이 있다. 조충 구제약(條蟲驅除藥)으로서 응용한다. 또한 소아감적(小兒疳積)에도 쓴다.
▶ 효능
▶ 용량 3∼10g.
▶ 금기 :충적(蟲積)이 없으면 쓰지 않는다.
▶ 수치 :윤절(潤切), 쇄간(碎干)해서 생용(生用)한다.
▶ 처방예 :뇌환산(雷丸散).

▶복령I(茯笭)Ⅰ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① 개령(個笭): 질이 무겁고 견실(堅實)하며, 외피(外皮)가 흑색(黑色)이고 광택(光澤)이 있으며, 주름이 깊고 단면이 백색이며 점액력(粘液力)이 강한 것이 좋다.
② 복령피(茯笭皮): 질이 유연(柔軟)하고 탄력(彈力)이 있는 것이 좋다.
③ 적복령(赤茯笭): 침적색(沈赤色)인 것이 좋다.
④ 백복령(白茯笭): 흰 것이 좋다.
⑤ 복신(茯神): 살이 두껍고 송근(松根)이 작은 것이 좋다.
▶ 용도,성능
▶ 효능
▶ 용량
▶ 금기
▶ 수치
▶ 처방예

▶복령II(茯笭)Ⅱ
 
▶ 산지
▶ 선품
▶ 용도,성능: 성평(性平), 감미(甘味)하고 이수삼습(利水渗濕), 보비영심(補脾寧心)의 효능이 있다.
▶ 효능 진정(鎭靜), 이뇨약(利尿藥)으로서 위내정수(胃內停水), 심계항진(心悸亢進), 근육경련(筋肉痙攣), 소변불리(小便不利), 구갈(口渴), 현기증(眩氣症) 등 증상에 응용한다.
▶ 용량 6∼12g.
▶ 금기 소변과다(小便過多)하면 쓰지 않는다.
▶ 수치 ①복령피(茯笭皮): 이수소종(利水消腫)의 효능이 있고 수종(水腫)복통(腹痛)에 응용한다.
②적복령(赤茯笭): 사습열(瀉濕熱), 이규(耳竅), 행수의 작용이 있다.
③복신(茯神): 영심, 안신(安神), 이수(利水)의 효능이 있다. 심허경계(心虛驚悸), 건망(健忘), 실면(失眠), 경간(驚癎), 소변불리(小便不利)에 응용한다.
④백복령(白茯笭): 건비삼습(健脾渗濕)에 쓴다. 주반복령(朱拌茯笭): 영심안신(寧心安神)의 작용을 증강한다.
▶ 처방예 : 오령산(五笭散), 영계출감탕(笭桂朮甘湯), 소반하가복령탕(小半夏加茯笭湯), 복령음(茯笭飮), 육군자탕(六君子湯), 영계감조탕(笭桂甘棗湯), 계지복령환(季指茯笭丸), 오림산(五淋散), 복령택사탕(茯笭澤瀉湯), 오피음(五皮飮), 삼령백출산(參笭白朮散), 사군자탕(四君子湯), 복령사역탕(茯笭四逆湯), 저령탕(猪笭湯).

▶동충하초(冬蟲夏草)
 
▶ 산지: 중국.
▶ 선품
▶ 용도,성능: 성온(性溫), 감미(甘味)하고 폐신(肺腎)을 도우며, 정수(精
髓)를 보하고 지혈화담(止血化痰)의 효능이 있다.
▶ 효능 :강장(强狀),수렴(收斂), 진정약(鎭靜藥)으로서 허약증(虛弱症), 폐결핵토혈(肺結核吐血), 노인쇠약(老人衰弱)의 만성천해(慢性喘咳), 도한(盜汗), 자한(自汗), 빈혈제증(貧血諸症)에 응용한다.
▶ 용량 5∼10g.
▶ 금기: 혈증(血症)으로 폐(肺)에 열이 있거나 표사(表邪)가 있으면 삼가서 쓴다.
▶ 수치: 니설(泥屑)을 체로 쳐서 생용(生用), 자폐보신(滋肺補腎), 지혈화담(止血化痰).
▶ 처방예
① 동충하초(冬蟲夏草) 15∼30g과 숫오리 한 마리를 증복(蒸服)하면 허천(虛喘)이 낫는다.
② 돈육(장시간 삶아서 물러진 고기)과 동충하초(冬蟲夏草) 15∼30g을 전복(煎服)하면 빈혈(貧血), 양위(兩位), 유정(遺精)이 낫는다.

▶저령(猪笭)
 
▶ 산지 :한국, 중국, 일본.
▶ 선품: 균핵(菌核)이 크고 외피(外皮)는 흑갈색(黑褐色)이고 윤이 나며, 육백(肉白)하며, 질이 무거운 것이 좋다. 섬서성(陝西省)산이 가장 좋다.
▶ 용도,성능 성평(性平), 감미(甘味)하고, 이뇨(利尿), 제습(除濕)의 효능이 있다.
▶ 효능: 해열(解熱), 지갈(止渴), 이뇨약(利尿藥)으로서 소변불리(小便不利), 구갈(口渴), 신장질환(腎臟疾患), 수종창만(水腫脹滿), 임탁대하(淋濁帶下) 등에 응용한다.
▶ 용량 6∼12g.
▶ 금기 습열(濕熱)이 없으면 쓰지 않는다.
▶ 수치 윤투후(潤透後) 약 2㎜의 조각으로 잘라서 쇄간 생용(生用)한다. 이뇨삼습(利尿渗濕).
▶ 처방예 저령탕(猪笭湯), 오령산(五笭散), 위령탕(胃笭湯).

▶해인초(海人草)
 
▶ 산지: 중국, 일본.
▶ 선품
▶ 용도,성능: 성평(性平), 함미(鹹味)이고, 구충작용(驅蟲作用)이 있다.
▶ 효능 :회충구제약(蛔蟲驅除藥)으로서 보통 전제(煎劑)<10:100>로 쓴다. 일반적으로 대황(大黃) 하제(下劑)와 병용한다.
▶ 용량 :7∼10g 돈복(頓服).
▶ 금기
▶ 수치 :4∼9월에 채집(採集)하여 세정(洗淨)하여 잡질(雜質)을 제거(除去)하고 선용(鮮用) 또는 쇄간용.
▶ 처예 : 자고채탕, 청기안회탕(淸肌安蛔湯), 자고채 대신에 해인초(海人草)를 써도 좋다.




'▣자유게시판 > ▶지혜 및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관문, 비수리  (0) 2009.11.17
누런치아 하얀치아  (0) 2009.11.03
신종인플루엔자 예방 안내  (0) 2009.08.22
암 관련 음식  (0) 2009.08.17
여드름에 최악인 야채 vs 최고인 야채   (0) 2009.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