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상이 자주가는곳

▣자유게시판/▶지혜 및 건강

토복령(土茯苓)

낚시천국 2019. 8. 16. 10:26

토복령(土茯苓) 

 

무독, 평平, 태음인

다른이름 硬飯(경반),冷飯團(냉반단),白餘糧(백여량),山歸來(산귀래),山猪糞(산저분),山地栗(산지율),仙遺糧(선유량),禹餘糧(우여량),

刺猪苓(자저령),草禹餘糧(초우여량),土萆薢(토비해)

 

약맛 감(甘) 담(淡)  

귀경 간(肝) 위(胃)  

주치 疥瘡,輕粉中毒,筋骨疼痛,帶下,瘰癧,梅毒,水銀中毒,濕熱淋濁,癰腫,牛皮癬,肢體拘攣,喉痺

 

 

약용부위 뿌리줄기

 

금기

肝腎陰虧者는 服用을 忌한다.

身體虛弱者에게는 용량을 상태에 따라서 減弱해야 한다.

 

효능

除濕,通利關節,解毒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陳藏器(진장기): 이것을 복용하면 배가 고프지 않으며, 비위를 조절하고 설사를 멎게 하며 수행할 때 잠이 오지 않는다.

 

李時珍(이시진): 脾胃(비위)를 돕고 筋骨(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風濕(풍습)의 邪氣(사기)를 물리치고 關節(관절)을 부드럽게 하고

泄瀉(설사)를 멎게 한다. 근육경련과 뼈마디가 아픈 것을 치료하고 예후가 나쁜 부스럼을 치료한다. 수은 제재의 독을 없앤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土萆薢(토비해), 刺猪苓(자저령), 山猪糞(산저분), 草禹餘糧(초우여량), 仙遺粮(선유량), 冷飯團(냉반단),

硬飯(경반), 山地栗(산지율)이 있다.

 

李時珍(이시진): 陶弘景(도홍경)의 에 의하면 石部(석부) 禹餘糧(우여량)에서 남방과 중앙 지역의 평평한 습지에는

일종의 넝쿨식물이 자라는데 그 잎이 菝葜(발계)와 비슷하고 그 뿌리는 덩어리 모양이며 마디가 있는 것이 菝葜(발계)와 유사하고

색은 붉으며, 맛은 薯蕷(서여:마)와 비슷한데 이것 역시 禹餘糧(우여량)이라고 한다.

 

옛날에 禹(우)씨가 산길을 가다가 식량이 떨어져서 이것을 캐서 식량을 충당하고 나머지는 버렸기 때문에

이러한 명칭이 생겼다고 전해진다고 하였다.

 

도홍경은 이 이야기를 듣고 바로 지금의 土茯苓(토복령)이라고 하였다. 그

러므로 지금도 仙遺粮(선유량), 冷飯團(냉반단) 등의 명칭에 그 의미가 남아있다.

 

陳藏器(진장기)의 본초서적에는 草禹餘糧 (초우여량) 이라는 것이 있고, 蘇頌(소송)의 에는 猪苓(저령)의

아래 항목에 刺猪苓(자저령)이라는 것이 있는데, 모두 이 약재를 말하는 것이므로 지금 모두 함께 언급한다.

 

茯苓(복령), 猪苓(저령), 山地栗(산지율)은 모두 그 모양으로 명명한 것이다.

일반인들은 또한 過岡龍(과강룡)이라고도 하는데 틀린 말이다.








'▣자유게시판 > ▶지혜 및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꽃,나팔꽃   (0) 2019.08.16
배롱나무   (0) 2019.08.16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정확히 구분하는 방법  (0) 2019.08.16
나물  (0) 2019.08.16
나물  (0) 2019.08.16